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교수로 재직하다가 1973년 사망했다.또 하나의 의문점은 왜 이 두뇌가 '별볼일 없는' 병리
학자
토머스 하비에게 보관돼 있는가하는 점이다. 하비는 아인슈타인의 두뇌를 찾아오는 경우(1956년 6월에는 '뉴욕 포스트' 기자에게, 1978년에는 스티븐 레비에게)가 있을 때마다 자신이 1년내에 연구성과를 ... ...
한국과학원 설립 연구 보고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자료수집과 보고서 작성을 맡았다. 당시 30세의 뉴욕 공대 교수였던 필자가 세계적인
학자
들과 함께 한국 교육 역사의 한 장을 여는 일을 추진할 수 있었던 것은 김기형 초대 과기처 장관을 비롯한 이응선 국장(그후 과기처 차관) 김형기 조정관(그후 문교부 차관) 권원기 계획관(그후 과기처 차관) ... ...
생물종 보존에 냉동저장법 제안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캘리포니아 대학 아바인 분교의 물리
학자
이며 유명한 SF작가인 벤포드는, 지구상의 생물종이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는 생물
학자
들의 토론회에 참석한 후 충격을 받았다. 그는 "멸 ... 말처럼 약점은 있지만 획기적인 다른 대안이 없는 한 한번 시도해봄직하다는 것이 생물
학자
들의 견해다 ... ...
인간 눈의 기능을 하나의 칩에 구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능력을 엄지 손톱만한 칩에 집적시키는 연구를 진행시키고 있는 헝가리의 과
학자
들과 협력해, 고양이나 도롱뇽 눈의 기능을 하나의 칩으로 만들려는 연구를 진행중인 것이다. 신경회로를 가지는 이 생체눈은 포커스가 맞춰진 목표물을 주변의 물체와 식별하는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가까운 ... ...
나일 삼각주 침강 속도 1년에 약 2.6㎜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1백개 이상의 보링 굴착을 실시했다.여기서 채취한 샘플을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의 이집트
학자
인 드로티어 아놀드가 감정한 결과, 그 속에서 이집트의 18대 왕조(기원전 1552년-1306년)에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기원전305년-30년)에 이르는 시기의 도기 파편이 발견됐다.이 일대는 삼각주 윗부분에 ... ...
우주공간 무엇으로 채워져 있나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만져지지도 않는 이론적으로만 예측되는 암흑물질도 엄청난 양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학자
들도 많다. 이러한 이론 암흑물질이 진짜 존재한다면 아직도 미해결로 남아있는 우주의 수수께끼가 풀릴 수 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 ...
(1) 우리은하 중심부는 거대한 알코올공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활발히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연구들은 천문
학자
들 뿐만 아니라 물리
학자
화
학자
등 여러분야의 연구자들이 협력함으로써만 가능하다. 인류의 우주에 대한 이해를 크게 증진시키기 위해 앞으로도 더욱 많은 협력이 기대된다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주변지역에 존재하는 중성수소의 존재는 쉽게 21cm파를 잡아냄으로써 알아낸다. 지금
학자
들이 우리은하 내에서 중성수소 21cm파의 도플러효과를 이용해 계산해낸 '암흑수소'의 총량은 눈에 보이는 별들의 질량을 다 합한 양보다 몇배 많다. 실로 엄청난 양의 중성수소가 '암흑물질'의 일원으로 은하계 ... ...
인체시계는 하루가 25시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생체개일리듬의 유전자를 발견하는 것이다. 바다달팽이나 초파리를 재료로 하여 생물
학자
들은 열심히 연구하고 있다. 초파리의 돌연변이종으로 그 개일리듬의 주기가 19시간으로 정상에 비해 더 짧거나 28시간으로 더 긴 개일리듬을 갖는 표현형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그 유전자가 만드는 단백질의 ... ...
이름 잘못 불리는 식물 12가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이처럼 아카시나무는 아카시아와 전혀 다른 식물이므로 이를 구별하기 위해 식물
학자
들이 아카시나무라고 부르기로 했는데, 이를 잘못 알고 지금도 아카시아라 부르는 사람들이 많아 안타깝다. 이 아카시나무에는 뿌리혹이 있이 메마른 땅에서도 잘 자라므로 처음엔 사방공사용으로 들여와 ... ...
이전
555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