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교수로 재직하다가 1973년 사망했다.또 하나의 의문점은 왜 이 두뇌가 '별볼일 없는' 병리
학자
토머스 하비에게 보관돼 있는가하는 점이다. 하비는 아인슈타인의 두뇌를 찾아오는 경우(1956년 6월에는 '뉴욕 포스트' 기자에게, 1978년에는 스티븐 레비에게)가 있을 때마다 자신이 1년내에 연구성과를 ... ...
하늘에서 본 한국의 산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솟아 있는 것이 특징.소백산맥 남단의 덕유산과 지리산은 토산의 특징을 많이 갖고 있다.
학자
에 따라서는 지리산과 덕유산은 고립성이 강해 이를 소백산맥으로 연장시키는 것은 잘못이라고 주장한다. 즉 산맥세는 추풍령 육십령에서 끊기고 덕유산 지리산은 독자적으로 형성된 산지라는 설명.서울 ... ...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움직여 만든 'IBM'이란 세 글자는 보통 인쇄된 활자 크기보다 50만배나 작다.그 이후 과
학자
들은 반전 슬로건에서부터 발렌타인 날의 메시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안으로 원자를 배열하기 시작했다. 아직 먼 훗날의 얘기가 될지도 모르겠지만 이러한 원자 이동기술이 발달하면 마이크로 머신의 ... ...
메탄올 식물 성장제로 큰효과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불러 일으킬지도 모른다. 같은 전망은 미국의 식물
학자
아더 노노무라와 생화
학자
앤드류 벤슨의 오랜 연구결과에 바탕 한 것. 아리조나주에 있는 노노무라의 농장에 16% 희석된 메탄올 용액을 살포한 결과 일부 작물은 소출이 두배로 늘고 물소비량이 반으로 줄어들었다.이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 ...
코비의 우주배경복사 온도차이 재확인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작년 4월의 코비 데이터를 확인해주는 유일한 증거라는데 천문
학자
들은 의미를 두고있다. 금명간 코비가 더욱 자세한 관측결과를 내놓게 되면 불안감은 씻은 듯이 가실 것이라고 연구팀은 입을 모은다.코비와 기구의 관측결과가 가지는 공통적인 결점은 해상도가 대단히 ... ...
라플레시아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Raffles) 부부와 조셉 아놀드 박사(Joseph Arnold)가 여기에서 이 꽃을 발견한 후 많은 식물
학자
들이 이곳을 찾았다.그러나 이 꽃에 관해 학술적으로 알려진 바는 많지 않다. 최근 자연이 훼손되면서 이 꽃의 수가 해마다 줄어든다는 바룬(Bahrun, 인도네시아 자연보호국 주재원)씨의 말을 듣고 보니 ... ...
3천개의 은하로 이루어진 처녀자리 초은하단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기인한다.이 분출은 1918년 릭 천문대의 커티스가 찍은 사진에서 발견되었다. 천문
학자
들은 강력한 에너지의 분출이 M87의 핵으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믿고 있다. 많은 다른 활동적인 은하들의 핵으로부터도 이러한 현상이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결국 이러한 가정은 은하의 중심에 거대 질량을 ... ...
조개·콜라겐 이용, 손상된 뼈·피부 재생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의사도 활약중이다.여기서는 진주조개와 콜라겐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생리
학자
이베얀 로페스 박사는 진주조개의 안쪽에 붙은 진주층이 인간의 뼈와 같은 다공체임을 밝혀내면서" 조개의 겉껍데기는 조직이 치밀해서 사용하기 어려우나 안쪽의 진주층은 이용 가치가 있다"고 언명한 바 ... ...
「범죄와 유전의 관련성」 논쟁 활발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있고, 양 눈썹이 붙어 있다는 비과학적인 주장을 펴기도 했다. 최근 하버드대학의 심리
학자
인 헤르스타인은 흑인은 백인보다 생래적으로 범죄성향이 높다는 것을 시사하는 발언을 해 지탄을 받기도 했다.미국 과학아카데미는 범죄에 유전적 성향이 있다고 단정하는 것은 아직 증거가 충분치 않다고 ... ...
뱀장어 생태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바다에서 산란장까지 먼 거리를 헤엄쳐 갈까? 아직 정확한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학자
들은 지구의 자기장을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먼거리를 이동하는 철새가 정확하게 목적지를 찾아가는 것이 지자기를 이용한 것으로 보는 것과 마찬가지 이치다. 동물들이 지진이 나기 2~3일 전 미리 ... ...
이전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