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봄바람과 더불어 기지개 켜는 바람꽃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통하기도 한다.이스라엘에서는 성서시대부터 이 꽃이 자라왔기 때문에 일찍 알려졌는데
학자
들은 복음성서 중에 나오는 백합꽃들 중의 하나가 양귀비바람꽃일 것이라고 여기고 있다.이스라엘은 지중해성 기후대 안에 속해 있다. 따라서 겨울비가 2월까지 계속된다. 우기가 지나서 3월이 되면 온갖 ... ...
인공수정과 체외수정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임신사례를 보고한 이래 20여명의 신생아가 이 방법으로 태어나자 1963년 9월 국제유전
학자
회의에서 냉동정자로 인공수정을 실시하면 정상아의 출산이 가능하다고 발표했다. 그때부터 냉동보존정자(정자은행)에 대한 일반의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냉동정자에 의한 인공수정 아(兒)는 날로 증가하게 ... ...
심혈관질환 연구의 메카 THI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임시변통으로 활용하기도 한다.현재 THI에는 외과의사 연구자 심장
학자
마취
학자
병리
학자
등을 포함한 1백50여명의 전문연구자들이 재직중이다. 수석외과 의사는 덴톤 쿨리박사이고, 의학담당 책임자는 로버트 홀박사.이미 4백50건 이상의 심장이식수술을 수행해낸 THI는 세계 최고의 수술 성공률을 ... ...
국내배출 '천문학 박사 1호' 박홍서 천문대장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맞아서 알찬 국제학술대회를 하나 계획하려 합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에도 우수한
학자
들이 많이 배출돼 천문학 전 분야에 전공자가 골고루 퍼져 있습니다. 천문대에만도 박사 17명을 포함해 47명의 연구원이 있지요. 이들의 연구성과를 모으는 계기를 만들어야지요. 또하나 대학 천문대를 활성화해 ... ...
② 인간과 기계와의 대화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대한 구체적 생각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암호를 해독하는 데 성공했던 미국의
학자
들에 의해 처음으로 제기됐다. 그들은 언어를 암호 체계로 파악해 두 언어는 단순히 두개의 다른 암호 체계로서, 번역은 암호 체계를 파악하는 데 필요한 도구, 즉 두 언어의 사전과 그 대응관계를 밝힘으로써 ... ...
① 말은 동물의 소리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되는 것은 일종의 전환(轉換)이 생긴 때가 아닐까. 과거 펜실베이니아 대학에 있던 심리
학자
프리맥(David Premack)이 말한 바대로 그 음성이 가진 본질이 '소리' 그 자체인 것이 그것이 지시하는 물체로 변했을 때 '음성'이 '언어'로 변하는 것이 아닐까.벨벳 원숭이가 음성을 어떠한 기준으로 비교하고 ... ...
4. 원자핵·전자 속의 또다른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겉보기에 필요없는 기본입자를 자연이 강요하고 있는지는 아무도 모르고 있다. 다만 물리
학자
들은 이렇게 쌍으로 들어오는 구조를 SU(2)라는 수학용어로 표시하고 여덟개의 글루온으로 된 구조를 SU(3), 한종류의 광자로 나타나는 구조를 U(1)이라고 하여 이 세상의 구조가 SU(3)×SU(2)×U(1)으로 ... ...
앵무새·구관조의 비밀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하자. 1백여종의 앵무새가 말을 한다지구상에는 약 8천7백여종의 조류가 있다.
학자
에 따라 다소 다르기는 하나 조류는 보통 27목으로 구분된다. 이들은 다시 1백63과로 나누어진다. 그중에서 말 잘하는 새로 유명한 새는 앵무새다.앵무새는 전세계에 3백28종이 서식하고 있는데 그중 50여종이 쉽게 ... ...
5. 87㎞돌아 입자를 충돌시키는 SSC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총력을 기울여 국제 공동연구에 참가하고 있다. 이 때 한국의 고에너지 물리
학자
들 또한 이 시대적 소명에 동참할 수 있도록 각계 각층의 아낌없는 지원과 격려가 적극 요구된다 ... ...
우리 식물 5백가지를 바르게 안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교수도 신종일 거라며 기뻐하셨는데, 외국의 문헌을 조사한 결과 1926년 소련의 식물
학자
코마로프가 만주에서 발견한 꽃이라고 기록돼 있더군요. 또 백운란은 그 개체가 매우 희소해 동경 대학에 가야 표본이나 볼 수 있는 꽃이죠. 그런데 지난 88년 여름 한국자연보존협회의 내장산 학술조사단에 ... ...
이전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