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연료전지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채택된 이후 이를 훌륭한 에너지기술로 전환시키려는 노력이 60년대 후반부터 미국의 과
학자
들에 의해 적극 추진됐다. 에너지 여건이 열악한 일본도 미국의 개발계획에 일찍부터 참여하면서 자체개발을 추진해 왔다.10여년의 연구결과로 80년대 초반 미국에서는 출력 40KW급 연료전지를 개발, 호텔 ... ...
'파이어니어'와의 안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분화구들의 절반 가량은 그 가장자리가 어둡게 나타나지만 중앙 분화구는 없다. 지구물리
학자
인 자늘은 많은 유성들이 금성대기의 '공기 역학적 압력'속으로 빠져들어 조각으로 부서져서 지난 1908년 6월 30일 시베리아 퉁구스카 지역의 숲에 떨어져 소동을 일으켰던 것과 유사한 충격효과를 유발했을 ... ...
(1) 공룡은 어떤 동물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그런데 약 30년 전에 공룡이 온혈동물이었다고 생각하는
학자
들이 나타났다. 그런
학자
들은 공룡이 온혈동물이라는 과학적 증거들을 그들 논문에서 많이 제시하고 있다. 지면관계상 이에 대한 논의는 후일로 미루겠다. 어떤 동물이든 많은 운동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어야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 ...
21세기초 착륙대비 화성지도를 완성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온도변화가 심하지만 먼지가 움직이면서 기상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아닐까 추측하는
학자
도 있다. 화성에는 2년에 한번 정도 먼지폭풍이 일어 난다. 그 원인을 밝히는데 마르스옵서버는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1898년에 발표된 H.G. 웰즈의 과학소설 '우주전쟁'에는 화성인이 점점 추워지는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속주룡)는 큰 뇌의 용적과 더불어 뇌의 생김새로 보아 그들이 영리한 동물이었다고 많은
학자
들은 주장한다.진화의 법칙 실증한 공룡 절멸공룡 연구에서 가장 관심의 대상이 돼온 의문은 왜 갑자기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추었느냐는 점이다. 현존하는 공룡의 멸종원인설은 대단히 다양하다. 그 ... ...
"우리 꽃을 우리 땅에"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자생하는 식물들을 조사하고 연구하는 모임이 자생식물연구회다. 회원들 중에는 식물
학자
도 있고 꽃농사 짓는 사람도 있긴 하지만 많은 회원은 우리나라 산천을 굳건히 지키고 있는 자생식물에 대한 순수한 관심으로 출발한 아마추어들이다.아마추어 10년올해로 10년을 맞은 자생식물연구회는 ... ...
Out Of The Sun 태양으로부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문제는 그렇다면 태양뮤온과 타우온을 찾아내는 탐지기를 개발하는 것이다.만약 과
학자
들이 이 세가지 형태 사이에서 중성미자들의 변화함을 증명할 수만 있다면 그 변화는 중성미자들이 어떠한 질량이든 조금이라도 갖고 있음을 시사하는 셈이 된다. 그렇다면 우주학은 갑자기 활기를 띄게 될 ... ...
(3)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생각하지만 확실한 분류명칭의 판단은 유보한다. 이밖에 최근에 발견된 분화석은 관련
학자
들의 매우 높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대한 연구는 한국의 공룡이 무엇을 먹고 살았으며 당시 공존생물이 무엇인지를 판단하는 데 결정적인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이는 앞으로 연구를 기대해야 ... ...
하늘의 그리니치 물고기자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아버지로 부르고 있는 덴마크의 티코 브라에(Tycho Brahe, 1546~1601)는 가장 위대한 천문
학자
중의 한 분이다.그는 굉장한 천재였을 뿐 아니라 대단한 노력가였다. 티코 브라에는 14살에 일식을 보고 감동한 후로 하루에 2시간만 잠을 자며 소년시절의 대부분을 별을 관측하는 데 보냈다고 한다. 17살에 이미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볼 수 없는 초미시세계를 대상으로 하므로 실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물리
학자
들이 기본입자로 생각하고 있는 쿼크의 크기는 1천조분의 1㎝보다 작다.이러한 실험에서 측정대상이 눈으로 볼 수 없는 대상이므로 이 소립자들이 만들어낸 현상을 가시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즉 ... ...
이전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