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Frog-And More In Space 우주공간에서의 개구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점은 등은 푸르고 배는 흰 귀여운 호주산 나무개구리의 피부 분비물을 분석한 호주과
학자
들의 최근 보고서에서 나타났다. 이 호주과학은 항균성(抗菌性)과 항 바이러스성을 갖춘 화합물을 발견했는데 이는 인간에게 매우 유용하며 약리학적 연구대상이 될 만하다.이 모든 것들은 양서류를 연구하며 ... ...
(2) 공룡은 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각지의 80개 이상 지점의 K/T 경계 혹은 경계 가까이에서 '이리듐 이상(異常)'이 발견됐다.
학자
들은 충돌한 천체가 소행성만이 아니라 혜성도 된다고 생각하게 됐다. 대량 절멸은 충돌 자체로 인해서가 아니라 그것이가 져온 핵겨울 때문이었다고 생각하고 있다. 충돌이 일으킨 먼지로 지구 표면의 ... ...
핵 폐기물 경고용 '스톤헨지' 건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메시지를 담고 떠난다. 이 메시지를 작성하는 캘리포니아 대학(산타 크루즈 분교) 천문
학자
프랭크 드레이크는 "되도록 여러가지 방법으로 메시지를 전해야 한다. 그래야 그중 하나가 미래인들에게 바로 해석될 것이다"라고 말한다. 아무튼 핵폐기물처리장 주변에 세워질 스톤헨지에는 '위험'(Danger ... ...
"우리 꽃을 우리 땅에"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자생하는 식물들을 조사하고 연구하는 모임이 자생식물연구회다. 회원들 중에는 식물
학자
도 있고 꽃농사 짓는 사람도 있긴 하지만 많은 회원은 우리나라 산천을 굳건히 지키고 있는 자생식물에 대한 순수한 관심으로 출발한 아마추어들이다.아마추어 10년올해로 10년을 맞은 자생식물연구회는 ... ...
별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그 값은 소련의 란다우(Landau) 등에 의하여 2~3M⊙인 것으로 밝혀졌다.1987년은 모든 천문
학자
들에게 아주 반가운 사건이 '터졌다'. 우리 은하의 위성은하라고 할 수 있는 대마젤란 은하에서 (사진3)과 같은 초신성이 발견된 것이다. 비교적 밝은 초신성이 가장 최근에 발견된 것은 1604년 케플러(Kepler)에 ... ...
여성과
학자
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심리적인 안정이 연구의욕을 고취시킨다는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국내의 기혼 여성과
학자
들의 상당수가 같은 길을 걷고 있는 배우자의 '외조'를 받고 있다는 점이다. 서로 같은 학문을 하기 때문에 이해의 폭도 그만큼 넓어지는 것일까 ... ...
Out Of The Sun 태양으로부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문제는 그렇다면 태양뮤온과 타우온을 찾아내는 탐지기를 개발하는 것이다.만약 과
학자
들이 이 세가지 형태 사이에서 중성미자들의 변화함을 증명할 수만 있다면 그 변화는 중성미자들이 어떠한 질량이든 조금이라도 갖고 있음을 시사하는 셈이 된다. 그렇다면 우주학은 갑자기 활기를 띄게 될 ... ...
농약 대신에 논거미로 농사짓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박사(동국대 생물학과 교수), 고등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다 거미연구에 빠진 '재야' 거미
학자
남궁준 선생 등과 대학원 과정에서 거미를 전공한 몇 안되는 학생들이 고작이다.한국거미연구소 주도로 한국거미동호회를 출범시켰으나 40여명의 동호인(초중고교 생물 교사들 중심) 밖에 모으지 못한 ... ...
퀘이사와 전파은하는 동일한 천체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제시되어 있다.무소츠키 박사(메리랜드에 있는 NASA의 고다드 우주비행센터의 천체물리
학자
)는 표준모델은 아직 과학이론으로서는 유아에 지나지 않지만 계속해서 성장하고 변화할 것이라고 말한다. "그 모델은 물론 모두는 아니지만 많은 테스트를 통과했다. 아직은 완전하지 않다. 약간의 수정이 ... ...
블랙 홀 탱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엄청난 은하계의 핵 세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든 간에 천문
학자
들이나 천체물리
학자
들은 진실을 찾아내고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도 이 칼럼에선 간간히 블랙홀에 관한 새로운 정보나 이론을 논하게 될 것이다. 필자와 블랙홀을 논하는 탱고를 함께 출 사람은? The tango is a ... ...
이전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