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1 세계 입자물리 실험의 총본산 CERN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사이의 대칭성을 연구하는 실험도 그중의 하나다. 그동안 몇몇 한국인이론 및 실험 물리
학자
들이 이곳에서 연구하였으며 현재 연구소측은 한국이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를 바라고 있다.CERN은 유럽 물리학계의 상징적 존재로서, 적어도 당분간 전세계 입자물리학 실험을 계속 주도해 나가며 중추적 ... ...
공룡시대 지구를 뒤덮었던 양치식물 생태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있다.물속생활을 하다가 육지로 올라온 최초의 관속식물이 바로 솔잎란이라고 대다수의
학자
들은 말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제주도 남쪽바닷가의 바위 틈에서 자라고 있다.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산 백마강가에 위치한 고란사 뒤에는 고란정이라는 샘이 있다. 이 고란정 뒤 절벽에서 고란초가 ... ...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플랑크 곡선의 아주 작은 부분, 즉 마이크로파 영역에서만 얻어진 결과라는 사실을 과
학자
들은 인식하게 되었다. 하지만 1970년대에 이르면 다른 진동수 영역에서도 배경복사가 플랑크 법칙을 따른다는 사실이 밝혀짐으로써 1970년대 말에는 거의 모든 정상우주론자들이 두손을 들었다.1965년 이후 ... ...
지중해를 지배하는 물의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Mira라고만 부른다)란 이름을 붙였다. 이 이름을 최초로 붙인 사람은 1662년 폴란드의 천문
학자
헤벨리우스(J.Hevelius. 1611-1687)다.오즈마 계획(Ozma Project)지성을 가진 다른 생명체(이른바 우주인)가 우주에 존재한다는 전제 하에, 그들이 우주 멀리에서 보내오는 전파를 포착하기 위해 미국 서버지니아주 ... ...
우리은하는 얼음덩어리에서 출발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은하수의 회전과 나선은하의 회전에 관한 설명이 가능해진다. 이미 수년 전에 천문
학자
들은 나선은하의 별들이 헤일로에 있는 보이지 않는 '암흑물질'의 중력에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했다.사실 이 모델은 은하구조에 관한 많은 관측현상을 설명해주고 있다. 그러나 그 얼음 덩어리가 어떻게 ... ...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의 만남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믿는 것과 같은 것이 그것이다. 광속으로 달리는 입자들은 전우주에 영향미쳐물리
학자
들은 장이론(場理論)의 맥락에서 비슷한 유추를 사용한다. 즉 장이론에서 물질적 실체에 대한 환상은 운동하는 입자에 의해 생겨난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현대 물리학에서 전자와 같은 물질 ... ...
새끼 낳는 「태생」개구리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성체가 될때까지 자신의 위 속에서 키우는 개구리 종류도 있다고 한다.1758년 독일의 박물
학자
로센호프트는 개구리는 알에서 올챙이를 거쳐 성체(개구리)가 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지금까지도 만고불변의 진리로 많은 사람에게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두엘만 교수의 신학설로 수정이 ... ...
촉매 건조제 이온교환제로 유망한 신비의 「끓는돌」 제올라이트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규소 알루미늄 산소로만 국한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인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 그래서
학자
들은 규소 알루미늄 이외의 성분을 찾아 나섰다. 이로써 두 성분에 한정되지 않은, 그야말로 완전히 새로운 골격구조를 지닌 분자체가 합성됐다. 예컨대 인산알루미늄 분자체가 출현했으며 그밖에 여러 ... ...
미래의 과
학자
키우는 전세계 화학인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자랑스럽게 여기는 듯 행사 준비와 진행에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끈기」가
학자
의 제일 관건이번 대회에는 34개국에서 1백 35명의 고교생이 참여하여 화학 실력 대결을 벌였다. 작년에 참관인으로 왔던 한국 멕시코 뉴질랜드 대만이 금년에 모두 학생들을 데리고 정식 참가하였다. ... ...
환태평양 인공지능 학술대회 조직위원장 김진형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뉴로, 퍼지선풍이 불어 이들이 일반인들에게 인공지능의 대명사로 인식되어버렸다.
학자
들 중에 "기호처리는 한물간 이론이다. 무조건 신경망으로 풀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나타났다. 70년대 신경망 이론을 공격해 이 이론을 시들게 했던 민스키(MIT 교수)조차도 "인공지능의 하부구조는 ... ...
이전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