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번역"(으)로 총 2,5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FRUIT, BEER, MAKGEOLLI과학동아 l2019년 02호
- ● 09 FRUIT drinks - SNS 스타 아이 노우 ‘IdH’ “두유 노우 IdH?” 얼마 전부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갈아만든 IdH’가 숙취 해소에 좋다는 글이 꾸준히 올라오기 시작했다. 특히 해외 애주가들 사이에서 그렇게 인기가 좋다고. ‘갈아만든 IdH’가 대체 무엇인지 폭풍 검색을 했다. 아하, 해 ... ...
- [화보] 생활 속 화학물질, 예술이 되다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필수 영양소인 비타민 C, 탄산음료의 향을 내는 구연산, 그리고 아플 때 먹는 해열진통제까지.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화학물질이 핀란드의 사진작가 헨리 코스키넨에 의해 멋진 예술 작품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무지갯빛 거미줄 | 신선한 과일이나 채소에 들어있는 비타민 C가 유리판 위에서 ... ...
- Part 3. 반장 자유 발언대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네? 뭐라고요? 아직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잔뜩 남아 있다고요? 반장님들이 수학 이야기를 넘어 교육 정책 문제, 사회 문제까지 할 말이 많으시다고 합니다. 회의장을 뛰쳐나간 반장님들의 허심탄회하고 날카로운 자유 연설, 지금 들어 보겠습니다. ...
- Part 4. 제1회 수학동아 전국 반장회의, 소집해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아일랜드는 자유학년제를 시행하는 데 39년이 걸렸는데, 우리나라는 3년 전부터 갑자기 자유학기제를 시행하더니 2년 만에 자유학년제로 확대한다고 발표했어요. 빠른 변화가 혼란스러워요.” 이찬 학생은 우리나라의 교육 정책이 너무 빨리 바뀐다며 장기적으로 현실성 있게 제도를 시행해야 ... ...
- 새로운 도형이 나타났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새로운 도형이 나온 게 얼마 만일까요? 최근 일본에서 연구하는 수학자와 과학자가 뫼비우스 띠와 칼레이도사이클의 특징을 함께 가지고 있는 신기한 도형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을 만들었습니다.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발견의 뒷이야기를 한번 들어볼까요? 무한히 뒤집히는 ‘칼레 ... ...
- [INTERVIEW] 사람이 좋은 수학자, 천정희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2018년 12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천정희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가 받았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에서 매달 우수한 연구개발성과를 낸 과학기술인에게 주는 상이다. 수학자는 물론 과학자와 공학자를 통틀어 주는 상이다 보니 역대 261명의 수상자 ... ...
- [서술형 완전정복] 수학의 기초 집합 이해하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우리는 다양한 모임에 속해 있습니다. 가족, 학교, 동아리 등 많은 모임에서 각자의 역할을 하지요. 이 같은 모임은 그곳에 속한 대상을 명확하게 나타냅니다. 그렇다면 아름다운 사람들, 성격이 좋은 사람들과 같은 모임은 어떨까요? 그 대상을 정확하게 알기 어렵죠? 오늘은 수학에서 모임의 대상 ... ...
- [오일러 프로젝트] 길 찾기 달인 모여라! 경로 찾기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경로 찾기 문제라…. 이건 좀 복잡해 보이는군. 이쪽, 저쪽 경우의 수가 상당히 많은 걸? 후훗. 하지만 나는 이보다 더 어려운 문제도 푼 적이 있지. 어디 한번 시작해 볼까? 오일러 프로젝트 15번 문제는 격자 위에서 경로를 찾는 것이다. 아래 그림처럼 정사각형이 가로, 세로 2개씩 있는 2×2 격자의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일상용품을 예술 작품으로~ 마르셀 뒤샹의 ‘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100년 전만 해도 예술이란 예술가의 손을 거쳐 만들어야 한다는 암묵적인 법칙이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예술은 대상을 만드는 게 아니라 개념을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등장합니다. “예술적이지 않은 작품을 만들 수 있을까?” 시중에 파는 변기통을 두고 예술이라 말하는 ... ...
- Part 2. 특징 - 뇌가 크면 인간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침팬지가 인간으로 진화하지 않았다는 점, 이젠 알겠지? 그런데 저 많은 고인류가 가진 인류의 특징은 뭘까? 찰스 다윈은 인간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큰 두뇌와 작은 치아, 직립보행, 도구의 사용’을 꼽았지. 이것들이 정말 인류만의 특징일까? 두뇌가 크면 인간? 20세기 초, 고인류학자들은 인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