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최고 성과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꼽았다. 지난해에는 급기야 중국에서 원하는 대로 유전자를 수정한 맞춤형 아기인 ‘디자이너 베이비’가 태어나 생명윤리 논란을 야기했다.많은 성과를 낳은 또 한 번의 10년이 마무리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성과는 시계 태엽처럼 딱딱 맞춰서 움직이지 ... ...
- 굿바이 2019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양자컴퓨터용 칩은 양자우월성(양자우위)을 처음으로 달성했다. '디자이너 베이비'는 유전자 교정 기술에 대한 논란을 불러왔고, 죽은 돼지의 뇌세포 부활은 삶과 죽음에 대한 생물학적인 정의를 곱씹게 했다. 과학동아는 동아사이언스 기자 29명을 대상으로 투표를 진행해 올해 과학기술 분야에서 ...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관한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후폭풍이 거셌습니다. 그리고 올해는 이 유전자 교정 기술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연구들이 발표됐습니다. 디자이너 베이비가 돌연변이 등으로 또 다른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입니다. 올해 2월 미국 로스앤젤레스 ... ...
- ‘알라딘’의 파란 피부 지니는 청색증 환자?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이후 대를 이어 계속 파란 피부의 자녀가 태어났고, 파란 피부는 약 150년 동안 후대에 유전됐다. 1964년 ‘미국의사협회지 내과학(JAMA Internal Medicine)’에는 디아포라아제 결핍으로 선천적으로 파란 피부를 가지고 태어난 푸가트 가문을 연구한 논문이 실리기도 했다. 황과 헤모글로빈 결합하면 피가 ... ...
- 2020년 전망, 어떤 과학 이슈가 주목 받을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정보가 공개돼 자유롭게 연구에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암뿐만 아니라 각종 질병에 대한 유전자 수준의 연구가 한층 수월해질 전망입니다. 화학┃새로운 신재생에너지 기술 등장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기후변화는 점차 피부로 느낄 만큼 심해질 것이며, 지금이라도 당장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한파가 죽음에 미치는 영향...저체온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변사자의 양 손톱을 깎아 채취하고, 당시 택시기사가 입었던 옷을제출받아 미세증거물과 유전자 감정을 의뢰했다. 그리고 더 정확한 사인을 알아보기 위해 부검을 진행하기로 했다. 2010. 01. 19 심장과 두개골에 남은 저체온사의 흔적부검을 이야기하기 전에 저체온증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 ...
- [과학뉴스] 청소년 음주, 위험한 이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치면 성인기에 해당하는 생후 92~98일이 지났을 때 쥐의 뇌에서 편도를 추출한 뒤,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마이크로 RNA의 일종인 miR-137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청소년기에 알코올에 노출된 쥐는 성인이 된 뒤 뇌에서 miR-137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miR-137은 건강한 뉴런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LSD1)의 ... ...
- ‘배민 떡볶이 마스터즈’ 결선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2017년 ‘전통식품저널(Journal of Ethnic Foods)’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고추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고추는 아히와는 계통학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oi: 10.1016/j.jef.2017.08.010만약 일본으로 들어온 아히가 우리나라에까지 넘어왔다면, 우리나라 고추는 아히와 계통학적으로 ... ...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오늘의 요리 생물의 진화를 모방한 유전 알고리듬으로 맛있는 한 끼를 해결해볼까요? 유전 알고리듬은 ‘선택’, ‘교차’, ‘돌연변이’라는 주요 연산으로 다양한 식단을 만듭니다. 먼저 사용자에 맞게 여러 요리를 ‘선택’하는데, 그 기준은 칼로리, 영양소, 선호도예요. 예를 들어 다이어트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카보네이트나 디에틸 카보네이트로 액체 전해질을 만들면, 두 액체 전해질 사이의 유전율이나 점도는 비슷하다. 하지만 이온전도도는 디메틸 카보네이트로 만들었을 때가 2배 이상 높다. 고속 충·방전에는 디메틸 카보네이트로 만든 전해질이 유리하다는 뜻이다. 이 교수는 “디메틸 카보네이트가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