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지능을 둘러싼 쟁점 I SF에 묻는다 ❹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살고 있습니다. 모든 인간이 육체를 갖고 살지는 않습니다. 대부분의 인간은 의식이
유전
자코드로 중앙컴퓨터에 저장된 상태이며, 번갈아서 육체를 입고 살아가다 다시 컴퓨터로 돌아가기를 반복합니다. ‘나의 마더’는 2019년 넷플릭스에서 공개한 SF영화입니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인간은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질병 진단의 패러다임 전환 스마트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역할을 하는 물질입니다. 투명하면서 변형이 가능한 고무와 같은 실리콘 탄성 중합체를
유전
체로 사용합니다. 안압에 따라 실리콘 탄성 중합체의 두께가 변하면서 센서를 누르는 압력이 달라지는데, 이를 정전 용량 값으로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투명하고 신축성을 ... ...
호금조, 다양한 머리 색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균형선택이 있었단 걸 증명한 점이 특별하다”고 말했어요. 한편 노란 머리를 결정하는
유전
자는 완전히 다른 염색체에 있어 일정 수가 유지되는 확실한 이유를 아직 찾지 못했답니다 ... ...
몸속으로 들어간 바다의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유전
자를 변형하는 방법을 이용했어요. 미생물의
유전
자 속에 홍합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
자를 집어넣으면 홍합 단백질을 만드는 미생물이 된답니다. 이미생물을 배양하면 홍합이 없어도 홍합의 단백질을 얻을 수 있죠. Q 미생물에서 홍합단백질을 얻는다고요?네, 정말 신기하죠? 게다가 이 방법을 ... ...
[출동!기자단] 유산균이 태어나는 곳, 쎌바이오텍 연구소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확인하는 데 쓰여요. 그래서 연구실 한 켠에는 길러진 유산균의 비율을 분석하는 기기와
유전
자 분석 도구 등도 놓여 있었답니다. 이런 분석을 거쳐야만 유산균은 일반인들이 섭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으로 만들어지지요. 유산균이 우리에게 오기까지 기자단 친구들은 마지막으로 ... ...
산호와 맹그로브의 천국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꿈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는 시간이었다.이상진 군(경기 충훈고 2학년)은 “원래는
유전
자 재조합으로 식물을 개량해 아프리카의 기아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하고 싶었다”며 “이번 캠프에서 다양한 해양동물을 보며 심해생물을 연구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 ...
지구사랑탐사대 7기 발대식! 2500명이 생태계 지키러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미치는 영향을 알아낼 계획”이라고 설명했지요. 선충 탐사를 이끌 서울대학교
유전
과발생연구실의 김준 연구원도 눈길을 끌었어요. 투명한 몸이 뱀처럼 꼬불거리는 선충을 보여주었지요. 김 연구원은 “곰팡이가 필 정도로 새카맣게 썩은 과일 에 선충이 많이 살고 있다”며, “이런 과일을 ... ...
[과학뉴스] 철새의 야간 이동, 단백질 변이 덕분?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단백질을 가진 비둘기의 CRY4 단백질의 결정화 구조를 분석했다.그 결과 특정 부위에
유전
적 변이가 생긴 일부 철새의 CRY4 단백질이 빛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적은 빛에도 CRY4 단백질이 활성화돼 밤에도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는 뜻이다.논문의 제1저자인 브라이언 졸토스키 ... ...
[검시관사건노트] 물속에서 떠오른 억울한 죽음 수중시체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것으로 검시를 마쳤다.정황상 발견된 수중시체는 피해자가 분명했다. 하지만 지문이나
유전
자를 통해 신원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수중시체는 물속에서 인체의 지방이 가수분해돼 지방산염 등으로 변하는 시랍화가 진행된다. 또 손가락과 발가락에서는 표모피(피부가 물을 흡수해 하얗게 ... ...
[에디터노트] 과학에서 머리카락이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최근 확인됐다. 일단은 호킹 박사가 틀린 것이다.적어도 과학에서는 머리카락이 첨단 법
유전
학의 시료이자 우주에 대한 인류의 원초적인 궁금증에 대한 답을 찾는 직관을 상징하는 존재다. 과학에서는 머리카락의 존재감이 높아지고 있는데, 정치에서는 ‘신체발부수지부모(身體髮膚受之父母)’와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