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능×
유전
지능도 노력하면 좋아지나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브레인(The Bipolar Brain)’ 집필에도 참여했다.kjieun@ewha.ac.kr *용어정리단일염기다형성(SNP)
유전
체에서 평균 300개의 염기에 하나꼴로 일어나는 변이. 인간의 DNA는 99% 이상 동일한데 SNP가 개인마다 다른 특성을 만들어낸다 ... ...
몸속으로 들어간 바다의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유전
자를 변형하는 방법을 이용했어요. 미생물의
유전
자 속에 홍합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
자를 집어넣으면 홍합 단백질을 만드는 미생물이 된답니다. 이미생물을 배양하면 홍합이 없어도 홍합의 단백질을 얻을 수 있죠. Q 미생물에서 홍합단백질을 얻는다고요?네, 정말 신기하죠? 게다가 이 방법을 ... ...
지구사랑탐사대 7기 발대식! 2500명이 생태계 지키러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미치는 영향을 알아낼 계획”이라고 설명했지요. 선충 탐사를 이끌 서울대학교
유전
과발생연구실의 김준 연구원도 눈길을 끌었어요. 투명한 몸이 뱀처럼 꼬불거리는 선충을 보여주었지요. 김 연구원은 “곰팡이가 필 정도로 새카맣게 썩은 과일 에 선충이 많이 살고 있다”며, “이런 과일을 ... ...
산호와 맹그로브의 천국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꿈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는 시간이었다.이상진 군(경기 충훈고 2학년)은 “원래는
유전
자 재조합으로 식물을 개량해 아프리카의 기아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하고 싶었다”며 “이번 캠프에서 다양한 해양동물을 보며 심해생물을 연구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 ...
너는 지금 달리기가 하고 싶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같은 체형을 갖게 된 이유와 결부시켰다. 약 300만 년 전에서 200만 년 전 우리 몸에서 CMAH
유전
자에 돌연변이가 나타난 이후 사냥에 유리한 길고 탄력 있는 다리, 큰 발, 엉덩이 근육이 발달하게 됐다는 것이다. 바르키 교수는 “온몸을 덮은 털이 사라지고 효율적으로 열을 발산할 수 있는 땀샘 체계도 ... ...
[수학뉴스] 물고기의 움직임 포착해 해양 생태계 지킨다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뒤 몇 주 동안 이동하면서 정착지를 결정하는 아기 물고기의 움직임에 집중했죠. 그리고
유전
자를 분석해 물고기 가족별로 움직이는 패턴을 분석했습니다. 이 결과를 바다의 조류 데이터와 합쳐 수학 모형으로 만들었습니다.그 결과 아기 산호 송어가 어떻게 여행하고 어디에 정착할지 설명할 수 ... ...
[과학뉴스] 위장크림처럼 세포막 바른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8월 6일자에 발표했다. 박테리아는
유전
자 조작이 쉽고 증식이 빠르며 특정 질병 부위를 표적으로 삼을 수 있어 조영제나 약물 전달 등 진단과 치료에 광범위하게 이용됐다. 하지만 박테리아로 인해 부작용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인체 면역체계가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연구해보고 싶다”며 새로운 목표를 밝혔다. 출산과 같은 신체 변화가 어떤 후성
유전
적
유전
자 발현을 야기할지 관심이 생겼기 때문이다. 두 아이의 엄마인 그는 “출산과 육아는 분명 힘든 일이지만 여성이라는 것을 한계가 아닌 장점으로 활용하고 싶다”며 “과학을 하겠다는 목표가 있다면 ... ...
26개 뼈와 33개 관절의 정교한 하모니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다르듯, 아치의 높이와 아치가 성장하는 속도도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 안 교수는 “
유전
적인 영향에 따라 발의 모양도 다양한 정상 변이를 보일 수 있다”며 “특히 아치 구조는 정상 범위가 매우 넓은 편”이라고 강조했다. 성별에 따라서도 성장 속도가 다를 수 있다. 발의 성장은 출생 후 5세까지 ... ...
통증은 고통스럽기만 한 걸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못한다”며 “피부나 각막 손상, 근골격계 문제가 주로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NTRK1
유전
자는 땀샘에 연결된 신경에도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CIPA 환자는 땀을 흘리지 않는 무한증을 동반한다. 박 교수는 “땀을 흘리지 못하기 때문에 체온을 제대로 조절할 수 없다는 점도 문제”라고 했다.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