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프리카 최초 GM 모기 방사, 모기박멸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브라질에서 GM모기를 방사하고 있는 옥시텍 연구원. Oxitec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올해 초 2019년 주목해야 할 과학기술 연구(What's coming up in 201 ... 염색체 한 쪽만 망가진 암컷에게는 아무런 영향이 없으나, 이들은 집단 내에 망가진 유전자를 퍼뜨리는 역할을 한다. 관련기사과학동아 ...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최대 15%까지 계속 생존하는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됐다. 더불어 GM 모기에 삽입된 유전자가 다른 종에게 옮겨질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한다. 이는 GM 생물 전체에서 늘 문제로 지적되는 부분이다. 현재 옥시텍은 2018년 미국 환경보호청(EPA)에 냈던 GM 모기 방사 승인 요청을 철회하고, 2세대 GM ... ...
- 후보2. 도마뱀 피부색의 비밀은 세포 자동자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왔다갔다하며 계속 바뀐다는 거예요. 2017년 미카엘 밀린코비치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유전 및 진화학과 교수는 무려 4년 동안 제 피부를 관찰한 결과 ‘세포 자동자’라는 수학적 원리와 비슷한 과정으로 비늘 색을 바꾼다고 가설을 세우고 비늘 색을 바꾸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어요. 세포 자동자가 ... ...
- 후보1. 예술성·수학성 모두 갖춘 잠자리 날개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아이고, 날갯죽지야~.’ 수학의 아름다움을 전파하느라 눈코 뜰 새 없지만, 이 한 몸 희생해 더 많은 동물에게 수학을 알릴 수 있다면야! 자나깨나 날개 무늬로 수학 ... 겁니다. 그래서 더 열심히 날갯짓을 하며 수학을 알리고 있죠. 어쩌면 저희 몸속에 수학 유전자가 있는 건 아닐까요 ... ...
- 지구상 모든 생물은 염기쌍 2개 염기쌍이 4개인 생물은 없을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형태로 존재할 가능성을 열어줬다. 나아가 외계 생명체가 지구 생명체와는 전혀 다른 유전 체계를 보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DNA 데이터 저장 기술에 즉시 응용할 수도 있다. 마치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정보를 저장하듯 DNA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김하성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 영화 ‘맨 인 블랙’ 외계인 vs. 지구 생명체 능력 대결과학동아 l2019년 06호
- .1182 이런 행동변화는 이후 연구를 통해 톡소포자충이 쥐의 뇌에 침투한 뒤 후생학적으로 유전자 변화를 일으켜 바소프레신 등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doi:10.1111/mec.12888 영화에서는 로젠버그가 죽자 그가 조종하던 사람도 살아나지 못했다. 신성식 전남대 수의대 교수는 ... ...
- [수학 THE LOVE] 어디서나 사랑받는 팔방미인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물리학, 공학, 경제학 등 수학 이외의 다양한 분야에 널리 쓰인다. 김 교수는 “인산화나 유전자 조절 등 생화학 반응을 미분방정식으로 바꾼 뒤 이를 계산한다”며 “미하엘리스-멘텐 식* 등 기존에 알려진 식을 활용하기도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미분방정식을 직접 만들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 ...
-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다르다면 그것의 화학적 구조는 무엇인지, 그리고 이 다른 구조들이 어떻게 현재의 유전정보로 진화했는지도 이해해야한다. 타임머신을 만들어 시간을 거슬러 올라서 지구 최초의 생명체를 관찰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생명의 근원이라는 무모하면서도 어려운 질문에 완벽히 대답하는 건 영원히 ... ...
- 예쁜꼬마선충으로 ‘제6의 감각’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것으로 전망한다.김 교수는 “자기수용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세포를 찾고 이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발굴해 자기수용감각의 체내 신호전달체계를 밝혀내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 ...
- 난자, ‘불량’ 미토콘드리아 알아서 제거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영양소를 세포가 사용하는 에너지로 바꾸는 세포 소기관이다. 유전자와 달리 모계 유전이 돼, 이전 세대를 추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미국 뉴욕대 의대와 캐나다 토론토대 등 공동연구팀은 초파리의 난자에서 정상 미토콘드리아가 선택되는 메커니즘을 밝혀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1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