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뉴스
"
투과
"(으)로 총 579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드’ 노트북에 쓰일 ‘누드’ 메모리소자 탄생
과학동아
l
2014.04.23
리포트(Scientific Reports)’ 9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ITO/RGO/ITO 메모리소자의 개략도와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왼쪽)과 ITO 층 위에 흡착된 RGO 플레이크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오른쪽). ※ITO=투명전극. - 고려대 ... ...
산소 원자 빈 자리로 전기 만들어
과학동아
l
2014.04.22
간단히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성이 클 것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김 연구원은 “
투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박막형 산화물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규명할 수 있었다”며 “이번 연구가 차세대 메모리나 소자용 신물질을 발굴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 ...
거미줄처럼 쭉~쭉~ 신기한 단백질 필름
과학동아
l
2014.04.15
전자
투과
현미경으로 찍은 필름 조각. 연구진은 필름을 가로세로 10cm 크기까지 만드는 데 성공했다. -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생체 단백질 성분으로 아주 얇은 필름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몸 속이나 피부에 붙이는 바이오 소재 또는 디스플레이나 태양전지에 쓰이는 전자소재로 활용 가능할 ... ...
거실 유리로 TV 볼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4.14
10억 분의 1m) 이하 파장대역을 차단해 내부 반도체를 지키는 동시에 가시광선이
투과
할 수 있도록 해 투명성과 안전성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았다. 연구팀은 “실내외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투명디스플레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제조공정이 비교적 쉬워 사업화도 ... ...
적외선 렌즈, 뭘로 만들면 좋을까요?
과학동아
l
2014.04.07
발견했다. 이 물질을 0.001~0.2mm 두께로 얇게 편 뒤 렌즈 모양으로 만들었더니 굴절률과
투과
율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이 개발한 적외선 렌즈를 이용하면 기존 플라스틱 렌즈로 찍은 영상(왼쪽)보다 훨씬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 서울대 제공 실제로 어두운 실내에서 이 ... ...
바이러스로 정수기 필터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4.04.06
시험한 결과 단위 시간 동안 1m2당 1000리터 이상의 물을 걸러내며 기존 분리막보다
투과
능력이 2~4배 뛰어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10nm 크기의 초미세입자를 걸러내는 정확도도 95% 이상이었다. 유 교수는 “바이러스를 분리막 소재로 이용해 친환경적이면서 대면적으로 제작하기 쉽다는 장점이 ... ...
[단독] 임대주택 거주자 '초미세먼지' 더 마신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6
자연풍을 이용하는 자연환기설비를 갖춰야 한다. 기계환기설비의 에어필터는 빛
투과
성을 이용해 공기 중 입자 포집율을 측정하는 광산란 적산법 기준으로 60% 이상, 자연환기설비용 필터는 입자 무게를 재는 중량법 기준으로 50% 이상 먼지를 걸러낼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박사는 ... ...
뇌CT “2분만에 끝”… MRI ‘쿵덕쿵덕’ 소음에 깜짝 놀라
동아일보
l
2014.02.24
만에 끝났다. ‘아니 이렇게 빨리 끝나다니….’ 의사는 “CT는 X선을 인체에 여러 각도로
투과
시켜 이를 컴퓨터로 영상화하는 촬영기법”이라며 “검사 시간 2분 중 X선이 머리에 노출된 시간은 단 10초뿐이었다”고 말했다. CT 촬영시 방사능 피폭량은 복부의 경우 약 8밀리시버트(mSv), 흉부는 5∼6mSv, ... ...
X-선으로 나노세계 손바닥 보듯 들여다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관찰할 수 있는 'X-선 광원'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 덕분에 X-선의 강한
투과
성과 짧은 파장을 활용해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내 단백질을 간단하게 촬영할 수 있는 기술도 조만간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물리광과학과 노도영 교수는 21일 오후 6시 30분 광주 ... ...
악몽과 개꿈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2.04
좋게 말하면 어른스러운 사람이지만 한편으로는 재미없는 사람이기도 하다. 악몽의 경계
투과
성 이론에 따르면 악몽을 자주 꾼다는 건 그만큼 감수성이 풍부하다는 말이므로 약간의 위안이 되기도 한다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