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뉴스
"
투과
"(으)로 총 580건 검색되었습니다.
악몽과 개꿈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2.04
좋게 말하면 어른스러운 사람이지만 한편으로는 재미없는 사람이기도 하다. 악몽의 경계
투과
성 이론에 따르면 악몽을 자주 꾼다는 건 그만큼 감수성이 풍부하다는 말이므로 약간의 위안이 되기도 한다 ... ...
생물학의 역사를 바꾼 X선 분광기술 100년
동아사이언스
l
2014.02.02
그 결과 1914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X선 분광결정학의 핵심은 X선이 결정을
투과
하며 일어나는 간섭무늬를 해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1913년 다이아몬드, 1925년 수정의 결정 구조가 밝혀졌다. 이후 점점 해상도가 높아져 1952년에는 DNA가 이중나선 구조라는 사실이 밝혀냄으로써 ... ...
‘나노횃불’로 생체현상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3
세포를 올려놓고 칩 아래에서 빛을 쪼였다. 그 결과 나노횃불이 세포 내 생체 분자를
투과
하면서 선명한 영상이 나타났다. 이 나노칩을 이용하면 생체 분자의 분포를 20nm 크기까지 분석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이 정도의 해상도를 관찰하려면 고가의 특수 영상장비가 필요했다. 일반 광학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달리 렌즈가 없고 대신 탐침을 물체 표면에 가까이 댄 뒤 전자를 쏘아 보내 전자가
투과
하는(터널링) 패턴을 스캔해 표면의 구조를 원자 차원에서 해석하는 장비다. STM과 함께 원자힘현미경(AFM) 등 탐침을 이용해 표면의 구조를 밝히는 장비가 개발되면서 나노분야는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 ...
창조경제 박람회 '속 빈 강정'?
동아사이언스
l
2013.12.15
개발한 ‘휴대용 뇌 영상 촬영 장비(NIRSIT)’. 파장이 다른 두 근적외선의 대뇌 피질
투과
성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뇌 활성화를 파악하는 이 장비를 머리에 쓰면 파란색과 빨간색으로 뇌의 산소 포화도가 나타난다. - KAIST 제공 ... ...
유리에도 전기가 흐르네
동아사이언스
l
2013.12.01
이동해 들어가 전류가 흘렀다. 아주 얇은 산화물질의 막 안에서는 전자 대신 양성자가
투과
되는데, 산화실리콘 막에서도 막 안의 양성자가 이동했던 것. 이 양성자와 산성 수용액에서 들어온 수소이온을 매개로 해서 실리콘 웨이퍼의 전자가 튀어나와 막을 타고 흘러 부도체인 ... ...
유리에 전기가 흐르다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1.25
만들어 전하가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그 결과, 가시광선 뿐만 아니라 자외선도 95%나
투과
시킬 수 있는 더 투명한 유리 투명전극을 만들 수 있게 됐다. 새 투명전극은 ITO와 전도성이 유사하면서도 반도체와 함께 썼을 때도 전도성이 떨어지지 않아, LED 뿐만 아니라, 자외선 LED, 태양광전지, ... ...
부작용 없이 탱탱한 피부 갖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신경세포로 흡수되었다. 이 과정에서 'L-PTC'라는 당이 특이적으로 결합해 소장의 벽을
투과
해 신경세포에 전달되도록 돕는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이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독소가 체내를 자유롭게 이동하고 소장에서 신경세포로 흡수될 때 특정 당이나 단백질과 결합됨으로써 ... ...
[기고/정광화]국가 연구시설-장비 관리가 허술하다
동아일보
l
2013.09.25
현대 과학기술 발전은 가속기, 풍동, 연구용 원자로 등 대형 연구시설과 초고전압
투과
전자현미경 등 첨단 연구 장비에 크게 의존한다. 이들 연구시설·장비들은 수백억 원에서 수천억 원을 호가한다. 2005∼2012년 국가 연구개발(R&D) 투자액은 총 81조7000억 원에 달하고 있다. 이는 국방 관련 R&D ... ...
'짠' 바닷물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철철~
동아사이언스
l
2013.09.15
반면 터빈이 없는 RED 방식에서는 멤브레인으로 특정 이온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반
투과
성막을 이용한다. 양 연구원이 보여준 RED 방식의 셀 안에는 양이온만 통과시키는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만 통과시키는 '음이온교환막'이 쌍을 이뤄 설치돼 있다. 바닷물의 짠맛 성분인 염화나트륨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