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나노"(으)로 총 6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 ‘단백질 구조’ 설계… 신개념 약물전달물질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6.07.24
- 점에서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이들이 만든 단백질 구조체의 크기는 지름이 24~40㎚(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수준이다. 약물이나 유전물질 등을 넣기 충분한 크기다. 킹 교수는 “우리가 이번에 만든 단백질 구조체는 컴퓨터로 설계해 만든 단백질 구조체 중 크기가 가장 크다”며 “사용 ... ...
- 나노과학의 대가, 세계 최고를 꿈꾼다IBS l2016.07.04
- 조금씩 다르지만 전체적으로 세계 3위권이라고 봅니다. 우리 연구단은 나노화학, 나노입자 분야에서 적어도 세계 5위권이라고 생각하는데, 앞으로 세계 최고가 되기 위해 더욱 열심히 연구하겠습니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 소수성-친수성, 두 가지 성질 동시에 갖는 신소재 개발2016.07.03
- 로듐과 질화붕소는 평면구조를 이루는 원자의 개수가 달라 잘 맞아떨어지지 않고 3.2㎚(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간격의 굴곡이 생겼다. 연구팀은 여기에 고압 전류를 흘려 표면의 굴곡이 사라지는 현상을 이용해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표면이 소수성이지만 전류가 흘러 표면이 ... ...
- 1300년 전 당나라 사람들은 오로라 봤다!2016.06.27
- 중저위도 지역의 오로라, 즉 적기(赤氣)는 고도 200km 이상에 있는 산소에서 나오는 파장 630나노미터의 빛이다. 따라서 이보다 드문 백홍(白虹)은 태양의 활동이 예외적으로 강할 때 관측되는 현상일 것으로 저자들은 추측했다.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에 같은 지역이고 천문기록 문화를 공유한 한국과 ... ...
- “부드러운 분야는 제가 최고입니다”IBS l2016.06.02
- 세계적 석학들로부터 인정받는 연구단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나노 크기의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요동을 잘 이해해 비평형계(외부 작용이 가해져 평형이 깨진 시스템)를 기술하는 열역학법칙을 이해하는 데 공헌하고, 액체와 고체 간의 계면에 대한 새로운 연구방법을 제안하고 싶어요 ... ...
- 13만 km 혈관에 숨어 있는 삶과 건강IBS l2016.06.01
- 변질되는 일산화질소의 특성 때문에 전달 시스템 개발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연구진은 나노입자를 활용해 이를 극복하고 빛을 이용해 자유자재로 일산화질소 방출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했다. 앞으로 각종 상처는 물론 혈관 질환, 암 등 다양한 질환에 적용할 수 있는 유망한 기술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2016.05.16
- 도 예외는 아니다. 보툴리움톡신은 1kg당 3나노그램꼴의 용량(몸무게 50kg인 경우 150나노그램)으로도 복용한 사람의 절반이 죽는다고 한다. 즉 70억 지구촌 사람들이 보툴리움톡신 1kg를 몸무게에 비례해 골고루 나눠먹는다면 35억 명이 죽는다는 말이다. pixabay 제공 이처럼 어마어마한 맹독임에도 ... ...
- 호킹 “나노 돛단배로 ‘인터스텔라’ 계획 실현하겠다”2016.04.13
- 마치는데 약 20년의 시간이 더 필요해 전체적으로는 대략 40년 이상 소요될 걸로 보인다. 나노 크래프트에는 카메라와 전원 장치, 항법 및 통신장비 등이 장착 돼 알파 센타우리 항성계의 상세 정보를 파악한다. 호킹과 함께 기자회견에 참석한 러시아의 부호 유리 밀너는 “오늘은 유리 가가린이 ... ...
- 만물의 중매쟁이 촉매, 환경 지키는 구원투수로 나선다IBS l2016.03.31
- 탄소원자막 생성 상태의 촉매합금(중,우) 의 전자현미경 사진 - IBS 제공 실제로 새로운 나노촉매를 수소연료전지의 환원극 활성 촉매로 적용해 실험한 결과, 백금 1g당 발전량이 기존 대비 10배 상승했고, 1만 회 구동했을 때도 성능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용화 연료전지 시스템에 적용했을 ... ...
- 리포솜 화장품, 깊숙이는 커녕 각질도 못 뚫는다2016.03.15
- 형광물질을 넣은 관찰대상에 레이저빔을 쏴 형광이 나오게 한 뒤 나노미터 크기의 부피를 제외한 다른 곳에 또 다른 레이저빔을 쏴 형광을 없애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얻어 기존 광학현미경의 해상력을 극복한 현미경이다. 연구자들은 기증 받은 사람 피부에 형광물질을 함유한 리포좀을 바르고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