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나노"(으)로 총 68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2015.05.11
- - 네이처 제공 보통 세포를 물이 들어 있는 풍선에 비유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나노미터 굵기의 바늘로 콕 찔러도 퍽 하고 터지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원핵생물은 단단한 세포벽을 만들어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진핵세포는 세포벽이 없지만 대신 세포내부에 액틴 같은 필라멘트 단백질로 ... ...
- 전 세계 나노 분야의 허브 센터 꿈꾼다IBS l2015.05.07
- 연구단 여름캠프'를 열고 있다. - IBS 제공 연구단은 2013년부터 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나노구조물리 연구단 여름캠프'도 개최하고 있다. "IBS 연구단의 모토는 와해성 기술(disruptive technologies)을 가져올 수 있는 기초과학을 연구하는 것이죠. 그런데 학생들이 이공계로 안 오면 소용없잖아요. 그래서 ...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2015.04.27
- 원뿔세포에서 발현하는 아이오돕신은 세 종류가 있는데 각각 최대 흡수 파장이 420, 534, 564나노미터다. 최근 발표된 동물실험 결과를 보면 파란색에 민감한 빛수용체가 있는 원뿔세포가 일주리듬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 - 위키피디아 제공 동물은 왜 일주리듬을 정하는데 이처럼 중복된 정보를 ... ...
- 화학결합의 처음과 끝을 봤다IBS l2015.03.27
- 빨리 게재과정을 밟았다”고 밝혔다. 일반적 화학결합, 복잡한 생체분자 본다 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 이효철 그룹리더는 연구단 내에서 화학반응 제어 및 메커니즘 연구 실험실을 운영하고 있다. - 김상현 제공 연구팀은 앞으로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 일반적인 화학결합을, 좀 더 ...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2015.03.23
- 80여 편이나 나왔다. 그런데 다들 결과가 들쭉날쭉해 혈액에서 이리신 농도가 0.01~2000ng(나노그램)/㎖까지 엄청난 편차로 펼쳐져 있다. 연구자들은 좀 더 정교한 실험방법으로 인간의 혈중 이리신 농도를 측정했지만 존재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 사람뿐 아니라 운동을 상징하는 동물인 말의 ... ...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IBS l2015.02.26
- 메디컬 분야만 있는 NIH와 달리 바이오 분야 외에도 공학, 과학 관련 연구자가 모여 있어 나노 분야, 화학 분야, 재료공학 분야, 물리 분야의 연구자와 융합 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 언젠가 가능하다면 울산시의 병원과 연계해 신약, 새로운 진단법 개발과 관련된 응용 연구도 진행할 수 있을 겁니다." ... ...
- 독일 녹색기술 경제와 제조업 4.02015.02.26
- 저장과 같은 에너지 관련 독일 녹색기술이 우세를 점했고, 미국에서는 복합재료, 나노기술, 경량화기술과 같은 소재 관련 독일 녹색기술이 상위를 차지했다. 한편 지역별로는 아프리카, 중남미, 동유럽에서 농업 물사용 효율화 기술의 매력도가 높이 평가됐고, 아시아(일본, 중국, 인도 제외)에서는 ... ...
- 즐기다 보니 우수연구원 됐다IBS l2015.02.24
- 어려운 상황에서도 학문을 즐기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는 많다. 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의 김경환 연구원도 그중 하나다. 공부 안 하던 중학생이 우수 논문상까지 수상 KAIST(한국과학기술원) KI 빌딩에서 만난 김경환 연구원은 대구과학고등학교를 나와 KAIST에 ... ...
- [혁신의 열쇠] ‘십대의 낙관’으로 췌장암 조기진단에 성공하다KOITA l2015.01.26
- 위에 고정시킨 것이다. 이렇게 만든 종이센서는 항체가 메소텔린과 엮여 커지면 탄소나노튜브를 흐트러뜨리고 전기 전도에 따라 모양이 변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게 해줬다. 이로써 간단하게 암을 진단할 방법이 마련된 것이다. 이 계획을 구체화하기 위해 안드라카는 예산, 필요한 자재,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2015.01.20
- 아래로 연결하는 기술이다. 연구진은 부드러운 폴리이미드 전극에 약물이 들어 있는 나노섬유를 넣어 생체 부작용을 없앴다. 연구진은 이 전극을 하반신이 마비된 토끼의 척수에 연결하고, 척수 신경신호를 근육에 연결해 다리를 움직이게 하는 데 성공했다. 수술 없이 뇌파를 읽어내는 장치도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