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당
타당성
합당
타당
도리
조리
올바름
스페셜
"
적절
"(으)로 총 662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문의가 본 당뇨병] 임신 중 고혈당, 20년 내 당뇨병 확률 최대 50%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박미혜 이대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임신 중에는 산모와 태아에게 영양분을
적절
하게 공급하기 위해 태반에서 태반성 락토겐, 에스트로젠, 프로제스테론 같은 호르몬이 분비된다”며 “이 호르몬이 분비되면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해 당뇨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④첫 번째, 코딩 준비 운동하기
2019.02.25
코딩 교육을 위한 환경 구성. 전문 학원의 빔프로젝터 대신 거실 TV를 이용했다.
적절
한 해상도 조정만 해준다면 아이와의 1 대 1 교육 환경으로 손색이 없다. 직접적인 코딩을 가르치기 앞서 몸풀기 과정이 필요했다. 코딩이 무엇이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소개를 진행했다. 코딩의 결과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나의 지옥일 때
2019.01.19
에너지를 소모하는 것은 힘든 일이요 가급적 일하지 않으며 에너지를 보존하거나 최소한
적절
한 페이스로 일하며 에너지를 한번에 다 태워버리지 않는 것이 어쩌면 더 자연스럽고 ‘인간적인’ 삶의 방식일 것이다. 그걸 알고있으면서도 누군가 저런 비인간적인 기준을 꺼내면 아 저렇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날개로도 날 수 있다. 이들에게는 하늘을 날아다닌다는 것보다 헤엄친다고 하는 게 더
적절
한 표현이다. 이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학술지 ‘네이처’ 10월 18일자에 실렸는데, 같은 호의 사설에서도 다뤘다. 우리가 익숙한 주변에서도 때때로 놀라운 발견을 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준 멋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책 한 권을 만들기에 무리다. 즉 분량을 고려하면 두 이야기를 한 권으로 묶은 게
적절
한 판단으로 보인다. 아무튼 미크로네시아 여행기로 희귀한 풍토병을 다루고 있다는 공통점은 있으니 말이다. 1부 ‘색맹의 섬’은 선천적인 전(全)색맹, 즉 망마가에 색을 감지하는 원뿔세포가 없어 흑백으로 ... ...
[팩트체크] 어설픈 과기계 캠코더 인사 의혹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18.09.05
‘공공기관 친문 백서: 문재인 정부 낙하산·캠코더 인사현황’ 중 과학기술 분야에서 부
적절
인사 의혹을 받은 기관별 직위에 대한 바른미래당 측의 주장 근거와 팩트 체크. - 자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인슐린 투약만으로 혈당조절이 잘 안 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약물로 가능성이 있다.
적절
한 용량을 찾고 특별한 부작용이 없다는 게 확인된다면 머지않아 청자고둥 인슐린이 등장할 것이다. 지난 2015년 청자고둥이 지나가는 고기(오른쪽)에 인슐린을 내뿜어 저혈당 쇼크를 일으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olfactory receptor)라는 용어 대신 ‘화학수용체(chemoreceptor)’라는 일반적인 용어가
적절
하다는 언급도 나온다. 참고로 후각과 미각처럼 분자가 직접 수용체에 달라붙어 신호를 전달하는 감각을 화학감각(chemical sense)이라고 부른다. 후각수용체 유전자가 코 이외의 장기에서도 발현된다는 사실이 처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사람을 기준으로 한 투여량으로는 약효를 내기 어렵다. 따라서 이번 게놈 연구가 약물의
적절
한 복용량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한편 코알라는 유칼립투스 잎을 먹기 전에 냄새를 맡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 즉 냄새로 잎의 상태를 확인한 뒤 먹을지를 결정한다는 말이다. 특이하게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새로운 암 치료법을 찾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즉 단세포 유전자의 득세로 부
적절
하게 활성화된 경로를 다시 잠재우는 방법을 찾는다면 효과적으로 암을 통제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어떻게 보면 다세포생물이란 공(公, 개체)을 위해 사(私, 개별 세포)는 언제라도 희생될 수 있는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