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적절"(으)로 총 66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2018.05.08
- 에 메르켈 세포(억제신호)와 미지의 세포(활성신호)가 균형있게 분포해 자극에 대해 적절한 가려움 반응을 일으킨다(위). 그러나 나이가 들거나 건성피부인 경우 메르켈 세포가 줄어 억제신호가 약해지면서 자극에 대해 과도한 가려움 반응이 일어난다(아래). 메르켈 세포는 척추의 개재뉴런(NPY+)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2018.03.10
- 저항할 수 없는 종류의 것이라면, 애초에 남성은 적응적인 사회인으로 기능하기 부적절한 존재임을 시사하는 것일까? 남성은 본능적으로 성폭력을 저지를 수 밖에 없는 존재라고 둘러대는 동시에 성폭력은 어쩌다 저지른 실수일 뿐이라고 하는 것도 앞뒤가 맞지 않게 들린다. 이렇게 뒤죽박죽 섞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2018.02.20
- “(연구 결과) 미 학술연구원의 권장 하루 섭취량은 너무 높다”며 “채식만으로도 적절한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비를 댄 미국육류협회로서는 환장할 노릇이었다. 댄버스 연구 역시 낙농업계가 연구비를 댔지만 1965년 5월 6일 영양학재단 모임에서 헤그스테드는 “설탕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판단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연습 2018.01.27
- 일로 속상해 하는 나를 싫어하는 내가 싫다’는 등, 어떤 감정이나 생각이 적절하다거나 적절하지 않다는 등의 판단 때문에도 괴로워한다. 하지만 최소한 명상을 할 때에는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에 대해 판단하기보다 마음의 상태를 있는 그대로 속속들이 관찰하는 연습을 하게 된다. 그 결과 그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메가3 지방산, 몸에 좋은 것만은 아니다2017.12.27
- 만들어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살펴봤다. 그 결과 망막에서 혈관생성에 문제가 생겼다. 즉 적절한 농도의 19,20-DHDP는 혈관생성 등 망막의 구조 유지에 관여하지만 지나치면 오히려 구조를 파괴한다는 말이다. 그런데 왜 당뇨인 사람들의 망막의 뮐러아교세포에서 sEH 효소의 활성이 높아지는 것일까. ... ...
- [지뇽뇽 사회심리] 숙련 VS 성과2017.12.16
- 환자의 정보를 주고 의사들로 하여금 여러 가지 약물 중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될만한 적절한 약물을 고르도록 했다. 약물을 선택하고 나면 선택의 결과로 인해 환자의 상태가 좋아졌는지 아니면 되려 나빠졌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주었다. 총 60회씩 두 세트에 걸쳐 환자를 치료하도록 했는데 여러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2017.12.12
- 한계, 즉 생물적 상한선에 도달했다는 것이다. 아무리 잘 먹고 건강보조식품을 챙기고 적절한 운동을 해도 인류 진화의 결과로 한계 지워진 생물적 상한선을 넘을 수는 없다는 말이다. 즉 현재 수준에서 완벽한 관리를 받더라도 호모사피엔스는 20대를 정점으로 생리적 지표가 꾸준히 떨어져 ... ...
- [지뇽뇽 사회심리] 자기 비하가 심하면 사랑도 멀어진다2017.12.09
- 지금 최선을 다해 상대의 좋은 면을 바라보고 내밀어진 손을 덥썩 잡을 수 있는 용기, 적절한 때에 방패를 조금 내려놓을 수 있는 용기를 가진다면 우리는 조금 더 나은 관계들을 만들어갈 수 있는 게 아닐까? ※ 참고문헌 Lemay, E. P., Jr., & Clark, M. S. (2008). How the head liberates the heart: Projection of communal ... ...
- 지뇽뇽 사회심리 I 끝없는 자기 비난은 도망의 다른 이름2017.12.02
- GIB 제공 어떤 일에 책임을 진다는 것은 올바른 결과를 내기 위해 올바른 선택을 내리고 적절한 노력을 하는 등 일의 과정 하나하나에 직면하며 개입하는 것이다. 일이 잘 되지 않거나 스스로가 실망스러울 때에도 도망치지 않고 그 당시의 내가 할 수 있는 만큼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끝없이 나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2017.11.29
- 실제 뇌섬엽은 의식(consciouness)에 전반적으로 관여하는 부위로 주변 상황을 인식해 적절한 판단을 내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다른 모듈과 네트워크가 활발해야 더 효율적으로 작동할 것이다. 한편 상전두회나 측두-두정 연접부는 디폴트모드 네트워크일 때, 즉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