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노"(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3D 프린팅에 적합한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합금, 초내열 합금 등이 개발됐다. 펄프, 탄소나노튜브, 생체조직 등 금속이 아닌 신소재개발도 활발하다. 이를 출력할 하드웨어도 함께 개발되고 있다. 아이언맨 수트와 초콜릿, 피자 등이 3D 프린터로 출력돼전 세계가 깜짝 놀랐던 것처럼, 올해는 ... ...
- PART3. 4D 프린팅의 마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바이오 장기까지 다양하다. 또 몸 안에 들어가 암세포를 잘라내고 끊어진 혈관을 잇는 나노로봇도 만들 수 있을 것이다.4D프린팅 연구는 한동안 지금처럼 소재 개발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다. 현재는 플라스틱 합성수지가 많지만, 앞으로는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금속이나 유리, 목재 등 다양한 ...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우리가 아는 대부분의 물질은 전기가 잘 흐르면 열도 잘 흐른다. 이 때 재료를 특정 나노구조로 만들면 우리가 원하는 대로 열은 차단한 채 전기만 흐르게 할 수 있다. INSIDE ◀ 캐나다의 바이오닉 파워(Bionic Power)사가 개발한 군인용 에너지 하베스팅 장비. 무릎을 구부릴 때 압전소자에서 ... ...
- [Knowledge] 그 많던 플라스틱은 누가 다 먹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자세히 설명했다. “바다에 떠 있는 플라스틱은 자외선 때문에 마이크로미터 크기에서 나노미터 크기로 쪼개지고, 최종적으로 가장 기본물질인 단량체로 분해됩니다. 여기에 미생물이 붙어 얇은 생물막이 형성되고, 유기체도 달라붙어 물 밑으로 가라앉게 만듭니다.” 갈가니 원장은 “일부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투명하고 안전한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바로 방직기와 원리가 유사한 전기방사기를 이용해 두께가 500nm(10억분의 1m)로 얇은 금속 나노선을 뽑아 투명 전극을 만들었다. 웨어러블 제품에 적용하려면 전극의 탄력도 좋아야 했다. 그동안 개발된 스프링 구조의 전극 소재는 너무 두꺼워서 빛 투과율이 좋지 않았다. 연구팀은 거미줄을 본 딴 ... ...
- 거미 다리 보고 만든 진동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번에 개발된 진동센서는 기존 것보다 감도가 최대 1000배 가량 높다고 해요.*nm : 나노미터. 100만 분의 1mm다.다재다능한 너희와 지구를 정복하고 싶구나!글쎄요, 닥터 그랜마. 나는 여러 재주가 있지만 수명이 평균 2년을 넘지 못해요. 게다가 마음이 약해서 지구 정복은 체질에 맞지 않아요. 우리 ...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수학동아 l2015년 01호
- 플라즈모닉스는 정보 처리 속도를 좌우하는 전자 회로, 광학 회로 연구에 쓰입니다. 50nm(나노미터) 이하의 가는 선으로 만들 수 있으면서 빛에 가까운 속도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거든요.국내에서는 이병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이끄는 액티브 플라즈모닉스 응용시스템연구단이 ... ...
- [화보] 작은 겨울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찾아 이동하는 동물들과 극지방에 있을 법한 얼음 성벽은 어디서 찾아 볼 수 있을까? [나노 조형물 I 임도선(제1회 바이오예술상)얼음으로 쌓은 견고한 성벽에 눈보라가 몰아쳤다. 찌꺼기가 붙어 있는 인공 치아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5000배 확대 촬영한 후, 컴퓨터로 파란색을 입힌 것이다. ... ...
- 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과학동아 l2015년 01호
- 1위는 달랐지만, 일반인과 물리학자 집단의 전체 투표결과는 비슷했다. 국형태 가천대 나노물리학과 교수는 “현대과학의 성과가 사회전반에 상당히 잘 알려진 것을 반영한다”고 말했다.몇 가지 눈에 띄는 차이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빅뱅과 현대우주론’이 일반인에서는 4위(37%)를 한 반면 ... ...
- 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소재로 만든다. 하지만 아무리 방수가 잘 되는 옷이라도 이음새가 부실하면 그 틈으로 나노미터 크기의 바이러스가 침투할 수 있다.보호복의 모든 솔기를 양면테이프를 이용해 단단히 고정하고 그것도 모자라 손목 소매 부분은 테이프를 감아 붙였다. 바이러스가 바로 침투할 수 있는 코와 입은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