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노"(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3D 프린팅에 적합한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합금, 초내열 합금 등이 개발됐다. 펄프, 탄소나노튜브, 생체조직 등 금속이 아닌 신소재개발도 활발하다. 이를 출력할 하드웨어도 함께 개발되고 있다. 아이언맨 수트와 초콜릿, 피자 등이 3D 프린터로 출력돼전 세계가 깜짝 놀랐던 것처럼, 올해는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수소차에 딱! 저렴한 탄소촉매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교수는 백금 대신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물질로 눈을 돌렸다. 그러다 우연히 탄소나노튜브에 이온성 액체를 입히고 열처리를 하면 질소나 황, 인과 같은 원소가 많이 들어있는 탄소층이 만들어져 촉매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새로운 ‘탄소 촉매’는 가격이 백금의 10분의 1인 데다, ...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우리가 아는 대부분의 물질은 전기가 잘 흐르면 열도 잘 흐른다. 이 때 재료를 특정 나노구조로 만들면 우리가 원하는 대로 열은 차단한 채 전기만 흐르게 할 수 있다. INSIDE ◀ 캐나다의 바이오닉 파워(Bionic Power)사가 개발한 군인용 에너지 하베스팅 장비. 무릎을 구부릴 때 압전소자에서 ... ...
- [Knowledge] 그 많던 플라스틱은 누가 다 먹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자세히 설명했다. “바다에 떠 있는 플라스틱은 자외선 때문에 마이크로미터 크기에서 나노미터 크기로 쪼개지고, 최종적으로 가장 기본물질인 단량체로 분해됩니다. 여기에 미생물이 붙어 얇은 생물막이 형성되고, 유기체도 달라붙어 물 밑으로 가라앉게 만듭니다.” 갈가니 원장은 “일부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투명하고 안전한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바로 방직기와 원리가 유사한 전기방사기를 이용해 두께가 500nm(10억분의 1m)로 얇은 금속 나노선을 뽑아 투명 전극을 만들었다. 웨어러블 제품에 적용하려면 전극의 탄력도 좋아야 했다. 그동안 개발된 스프링 구조의 전극 소재는 너무 두꺼워서 빛 투과율이 좋지 않았다. 연구팀은 거미줄을 본 딴 ... ...
- [화보] 작은 겨울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찾아 이동하는 동물들과 극지방에 있을 법한 얼음 성벽은 어디서 찾아 볼 수 있을까? [나노 조형물 I 임도선(제1회 바이오예술상)얼음으로 쌓은 견고한 성벽에 눈보라가 몰아쳤다. 찌꺼기가 붙어 있는 인공 치아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5000배 확대 촬영한 후, 컴퓨터로 파란색을 입힌 것이다. ... ...
- 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과학동아 l2015년 01호
- 1위는 달랐지만, 일반인과 물리학자 집단의 전체 투표결과는 비슷했다. 국형태 가천대 나노물리학과 교수는 “현대과학의 성과가 사회전반에 상당히 잘 알려진 것을 반영한다”고 말했다.몇 가지 눈에 띄는 차이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빅뱅과 현대우주론’이 일반인에서는 4위(37%)를 한 반면 ... ...
- 어렵지 않아요! 투명 망토 만드는 세 가지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바로 과학으로 말이에요. 하나 ㄱ자 거울로 투명하게!너무 어렵잖아! 마이크로파니, 나노 구조니…. 그런 복잡한 건 딱 질색이야. 이래서 머글이 마법사보다 뒤떨어졌다는 소릴 듣는 거라고! 뭐? 거울과 물만 이용해서도 투명 망토를 만들 수 있다고?물체가 투명하다는 것은 물체 뒤에 있는 배경이 ... ...
- 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소재로 만든다. 하지만 아무리 방수가 잘 되는 옷이라도 이음새가 부실하면 그 틈으로 나노미터 크기의 바이러스가 침투할 수 있다.보호복의 모든 솔기를 양면테이프를 이용해 단단히 고정하고 그것도 모자라 손목 소매 부분은 테이프를 감아 붙였다. 바이러스가 바로 침투할 수 있는 코와 입은 ... ...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지상에서 원격으로 조종하는 일은 상상조차 하기 어렵다. 지상에서 조립할 때부터 나노미터(10억분의 1m) 단위 정확도로 렌즈와 거울을 배열, 조립해야 한다. 해상도가 높아진 만큼 이미지 처리 능력도 빨라졌다. 렌즈를 통해 이미지 센서에 감지된 빛을 실제 사진으로 뽑아내는 과정이다. 처리해야할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