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노"(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 바이러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0×50) 들어간다.간단한 비유를 들면 바이러스가 얼마나 작은지 더 실감할 수 있다. 만약 100나노미터 크기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180cm의 성인 남자 키만큼 커진다면, 0.1cm인 개미는 얼마나 커질까? 비례식을 계산하면 개미는 무려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인 에베레스트의 높이(약 8900m)의 두 배 정도가 ... ...
-
- 스마트폰 화면이 피부 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발광다이오드(QLED)를 사용해 이 디스플레이를 만들었어요. 양자점이란 지름이 수십 nm(나노미터, 1m의 10억분의 1) 이하인 반도체 결정이에요. QLED는 이 양자점에 전류를 흘려 보내서 크기가 서로 다른 양자점에서 빛의 삼원색인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 빛을 내도록 만든 거예요. 연구를 주도한 현 ...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도전! UNIST ➓ 로드니 루오프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삼박자’ 갖춘 인재와 함께 꿈의 재료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소재’ 등을 합성하는 것이다.초박막 다이아몬드 필름은 두께가 원자 한 층 정도인 1nm(나노미터·10억 분의 1m)에 불과한 소재로 열을 전달하는 성질을 비롯해 광학적, 전기적으로 굉장히 흥미로운 특징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음의 곡률을 갖는 탄소 소재 역시 많은 학자들이 주목하는 ...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때는 불가능했던 일이다. 전 교수는 “렁 온어 칩은 투명하기까지 해서 폐에 들어간 나노 입자가 세포에 어떻게 달라붙고 흡수되는지, 침투한 박테리아가 백혈구에 어떻게 잡아먹히는지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심장도 칩 위에 올라간다. 심장은 심근을 흥분시키는 전기 자극을 ...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느끼는 사소한 불편이나 미세한 오차를 과학으로 해결한 연구 사례들을 만나 볼 차례야! 나노미터에서 마이크로그램까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의 미세한 변화를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을 만나러 출발~! 엥~.뜨거운 라면 먹을 때도 김서림 걱정 없는 안경뜨거운 음식을 먹을 때, 찜질방에 들어갈 때 ... ...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휘었을 때 원래대로 펴지려는 성질이 있다. 이런 성질을 ‘탄성’이라고 한다. 두 교수는 나노 입자만큼 미세한 수준에서 보면 종이 띠가 휘면서 그 지점에 탄성 에너지가 쌓인다고 설명했다. 많이 휜 부분일수록 에너지가 더 많이 쌓인다. 만약 띠의 길이와 너비의 비율이 달라지면 띠의 곳곳에 ... ...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조혁진 씨는 과감히 루크 리 UC버클리 생명공학과 교수의 연구실을 두드렸다. 리 교수는 나노바이오융합 기술 분야의 세계 최고 석학이다. 혁진 씨는 UC버클리에 머물면서 여름학기 수업과 연구실 인턴을 병행했다. 한국계 미국인인 리 교수는 농담 삼아 “대학원생들을 화장실까지 따라다니면서 ... ...
-
- [지식] 축구공을 꼭 닮은 풀러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결합돼 마치 원기둥 모양을 이루는 ‘탄소나노튜브’를 발견했다. 이렇게 발견된 탄소나노튜브는 지금도 군사, 자동차, 반도체, 의학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풀러렌은 1985년까지 발견되지 않았지만, 사실 ‘불’이 발견되면서 만들어진 물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 ...
-
- 유명 학자 연구도 비판하는 정신 필요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기술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맞닥뜨릴 수 있는 사회적, 윤리적 문제를 심도 있게 다뤘다. ‘나노생체를 이용한 항암면역치료’라는 주제로 강연한 김재윤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교수는 “약물로 면역력을 높여 암을 치료하는 첨단 항암면역치료는 아직은 환자 일부에서만 효과를 보인다”며 “개발 ... ...
-
- [수학뉴스] 3차원 사진 찍는 ‘깊이 감지 카메라’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일반적으로 가시광선을 담아 사진으로 나타내지요. 사람의 눈은 파장이 380~800나노미터(nm, 1nm는 100만 분의 1mm)인 가시광선만 볼 수 있기 때문이랍니다.그런데 카메라가 깊이를 감지한다고요?네, 3차원 센서를 이용해 카메라와 사물 사이의 거리가 얼마나 멀고 가까운지 구분한다는 뜻이에요.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