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노"(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화학실험도 아~트하게, 느낌있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연구팀은 금속이온과 할로겐화물을 이용해 빛을 내는 나노물질을 만들었다. 이 나노물질은 화학반응의 부산물과 반응하면 할로겐 이온을 방출한다. 처음에는 빨간색 빛을 내지만 화학 반응이 진행돼 할로겐 이온 농도가 높아질수록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등 파장이 짧은 빛을 낸다. 화학반응의 ... ...
- [과학뉴스] 뜨는 소재 흑린, 그래핀도 뛰어 넘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차세대 반도체 물질로 불리는 ‘흑린(검은 인)’의 독특한 열전현상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열전현상이란 온도가 다른 두 금속을 접 ... 위해서는 흑린과 기판의 상호작용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 레터스’ 5월 2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더 강렬하게 기억될 것이다. 사람의 후각이 유독 지오스민에 예민하기 때문이다. 1L에 수 나노그램(ng, 10억 분의 1g)만 있어도 감지할 수 있을 정도다.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일부 학자들은 진화적으로 설명한다. 호주 퀸즐랜드대 인류학과 다이아나 영 교수는 기고문에서 “과거 ... ...
- [과학뉴스] 암 RNA 이용한 만능 항암백신 나올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연구팀은 논문에서 “대부분의 단백질 기반 항원은 RNA로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나노입자 백신을 다양한 암에 대한 만능백신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Photo] 광물이야기 17 화려한 무지개 여신의 깊은 속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무지갯빛을 띠게 된 걸까.광물의 색은 태양에서 오는 전자기파 중 파장이 약 393~760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인 보라색부터 빨간색까지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어떤 파장을 흡수, 반사 또는 통과시키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보라색부터 빨간색까지 모든 파장의 빛을 흡수하면, 광물은 검은색으로 ... ...
- [과학뉴스] 낮과 밤을 마음대로 바꾸는 유리창?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하지만 이 물질은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을 갖고 있었지요.연구팀은 수십 나노미터(1미터의 10억 분의 1) 굵기의 은을 이용했어요. 유리창에 말랑말랑한 재질의 투명 고무를 얹고 그 위에 짧은 길이의 은 실을 뿌렸답니다. 평소엔 은 실이 너무 가늘어 유리가 투명해 보여요.여기에 전기를 흘려 주면 은 ...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에디슨으로 그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에디슨 플랫폼에는 전산열유체, 나노물리, 계산화학, 구조동역학, 전산설계 등 크게 5개 분야의 시뮬레이션 콘텐츠 249종이 탑재돼 있다. 현재 국내 43개 대학에서 에디슨을 활용하고 있는데, 수업 교과목 수로 따지면 785개에 이른다.에디슨의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모양이었다.이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나노세일-D를 만들어 2008년 8월에 발사했다. 나노세일-D는 코스모스 1호와는 다르게 한 변이 10m인 사각형 돛을 적용했다. 하지만 역시나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처음으로 심우주 탐사에 성공한 우주범선은 일본 JAXA의 이카로스다. 이카로스는 2010년 5월 20일에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몸 안에 이식해 혈액 노폐물을 거를 수 있는 인공 신장을 개발 중이다. 실리콘나노필터가 피의 노폐물을 걸러내면, 공여자의 신장 세포가 든 생물 반응기가 물을 재흡수한다. 예비 실험 결과 면역거부반응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현재 60일 정도인 생물반응기 내 신장 세포의 생존 기간을 늘리고 ... ...
- [지식] 스파이더맨 될 수 없다vs있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발바닥 주름을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주름마다 눈에 보이지 않을만큼 아주 작은 나노 단위(10억분의 1미터 단위)로 미세한 털이 빽빽하게 나 있었다. 연구팀은 게코도마뱀이 발을 디딜 때마다 수십억 개의 털과 벽면 사이에 반데르발스 힘★이 생겨나 중력과 수직 또는 반대 방향으로 쉽게 붙어 있을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