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d라이브러리
"
나노
"(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태양전지,
나노
디자인으로 재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중이다. 반도체가 흡수한 빛이 전기신호로 바뀔 때 금속이 있어야 하는데, 이 금속에도
나노
디자인을 입혀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효율을 높이는 게 목표이다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한층 더 강화했다(doi:10.1038/nature12202).▲범용 백신 후보① ‘페리틴에 줄기 붙인
나노
입자’HA 단백질의 머리 부분을 없애고 줄기 부분이 제 모양을 잃지 않도록인위적으로 지지한 뒤, 공처럼 뭉치는 성질을 가진 생체 단백질 페리틴에 붙였다.하나일 때보다 크기가 크고 줄기 부분도 여러 개 붙어 ... ...
[과학뉴스] 보안이 걱정된다면 ‘녹아 없어지는 메모리’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연구원은 “일반
나노
입자는 파장이 980nm인 빛만 흡수할 수 있는 반면, 이번에 개발한
나노
입자는 가시광선 영역대를 흡수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개인 데이터나 보안 시설의 중요 정보 등을 안전하게 관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 ...
[과학뉴스] ‘두께 없는’ 2차원 자석 만들 방법 찾아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국내 연구팀이 2차원 물질의 자성 상전이를 세계 최초로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향후 휘어지는 전자기기 제작에 필요한 휘어지는 자석을 만드는 데 발판이 될 ... 필요한 자석 소자를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나노
레터스’ 2016년 12월호에 게재됐다 ... ...
[과학뉴스] 얼음 구름의 생성 순간을 보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만들었다. 공동 연구자인 미국 뉴욕주립대 해양대기과학과 다니엘 노프 교수는 “
나노
크기의 해상도를 가진 전자현미경으로 수백만 번 촬영한 사진을 이어붙이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구름이 생긴다”며 “기후변화에 구름이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뉴스] 그래핀으로
나노
레이저의 성질 자유자재로 바꾼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통해 두 가지 색이었던 빛이 한 가지 색으로 바뀌는 현상을 최초로 관측했다.박 교수는 “
나노
레이저 빛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최초로 발견했다”며 “미래 광학컴퓨터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6년 12월 21일자에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전국의 기업들이 센서를 연구할 수 있는 반도체 클린시설과 MEMS 장비를 갖추고 있다.
나노
종합기술원은 이렇게 개발한 센서를 시제품으로 양산할 수 있는 시양산 시설 설립을 최근 정부에 제안했다. 김 부장은 “국내에서 MEMS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이 1990년대 초”라며 “드디어 때가 ... ...
[과학뉴스] 녹차 추출물로 당뇨 상처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들어 있는 고분자
나노
섬유 시트를 제작했다. 그리고 당뇨병성 창상이 생긴 쥐에게 이
나노
섬유 시트를 붙이고 관찰했다. 그 결과 시트를 붙이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치료 효과가 4배 이상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시트에 들어 있는 EGCG와 히알루론산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상처 부위에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여러 개 만들 수 있다. 이것으로 3진법 상태를 구현하겠다는 것이다.하지만 탄소
나노
튜브의 두께 자체가 nm단위로 워낙 얇아서 0.1nm 단위로 정교하게 조절해야만 하는데, 관련 기술이 아직은 없는 상황이다. 게다가 집적회로 안에 들어 있는 약 10억 개의 트랜지스터를 일일이 정밀하게 조정해야 ... ...
[과학뉴스] 새똥이 북극을 춥게 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실제 측정 결과와 비교했다.측정 결과 바닷새의 배설물이 있으면 북극 대기에 크기가 10nm(
나노
미터, 100만 분의 1mm) 이상인 입자의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했다. 이 입자들은 80nm 이상으로 커져 구름방울이 됐다. 그리고 북극 전체의 구름방울 농도가 10% 증가했다. 이는 실제 북극대기를 측정한 결과와도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