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노"(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방식으로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이론적인 계산에 따르면나노선의 양쪽 끝에 두 개의 마요라나 페르미온이 나타나는데 그걸 실제로 확인했다는 것이다.하지만 이 연구 결과는 마요라나 페르미온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입자와 반입자의 상태를 동시에 가져야 한다는 조건은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여러 개 만들 수 있다. 이것으로 3진법 상태를 구현하겠다는 것이다.하지만 탄소나노튜브의 두께 자체가 nm단위로 워낙 얇아서 0.1nm 단위로 정교하게 조절해야만 하는데, 관련 기술이 아직은 없는 상황이다. 게다가 집적회로 안에 들어 있는 약 10억 개의 트랜지스터를 일일이 정밀하게 조정해야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과학자들과 개발한 나노 엔진의 우수한 점을 장황하게 늘어놨습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나노 엔진이라 하더군요.“그래서?”“뼈는 뼈보다도 우수한 폴리머로 대체할 거야. 그 부위만 정교하게.”“장기는?”“지극히 국소적인 항암 치료를 하는 거지.”“근데 이건 엔진이지 로봇이 아니잖아 ... ...
- Part 5. 작게 더 작게! 진짜 작은 마이크로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세포보다 더 작은 마이크로 로봇들도 개발되고 있어. DNA나 분자로 만드는 로봇으로, 너무너무 작아서 맨눈으로는 물론 광학현미경으로도 볼 수가 없어. 전자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로봇 친구들을 보여 줄게!DNA로 로봇을 만들다독일의 뮌헨공과대학교 연구팀이 DNA 가닥을 이어 붙여 약 100*nm의 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지원군 선배의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계획을 밝혔지요.메타물질은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인공적인 물질로, 주로 나노 구조를 제어해 전자기파나 빛에 대한 성질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어요. 메타물질을 이용하면 사물의 주변에 있는 빛을 굴절시켜 사물을 숨길 수 있지요.캐나다의 한 벤처회사 ‘하이퍼스텔스 바이오 ... ...
- [과학뉴스] 2016년 노벨상의 주인공은 아주 작은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베르나르트 페링하 교수가 공동 수상했어요. 분자기계는 머리카락의 1000분의 1 정도인 나노미터(nm, 1nm=10억 분의 1m) 크기에 불과해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로 불린답니다.노벨 화학상 수상자들은 분자 한 두 개를 연결해 외부 자극을 받으면 기계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었어요. 이들이 만든 ... ...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연구원은 “서로 연구해 온 분야가 달랐기에 각자 사용하는 언어는 익숙하지 않았지만 나노물질의 독성을 알고 싶다는 목표가같았기 때문에 성공적으로 융합 연구를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인 교수는 ‘열린 마음’을 강조했다. ‘안 될 것 같다’는 선입견이나 비판적인 태도를 가지면 억지로 ... ...
- [Info] “노벨상 수상 업적 한 자리에”과학동아 l2016년 12호
- IBS) 단장이기도 한 화학 분야의 석학 김기문 포스텍 화학과 교수였다. 김 교수는 나노 다공성 물질과 자기조립분자 등 초분자 화학 분야의 세계적 전문가로, 기계적으로 맞물린 분자를 개발하는 등 분자기계 분야에서도 활약을 펼쳐왔다. 김 교수는 “분자기계 연구 상황을 보면, 1900년대 초 ... ...
- [포커스 뉴스] 4세대 방사광가속기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바로 이전의 3세대보다도 1억 배나 밝고, 햇빛보다도 100경 배 밝다. 파장의 폭도 짧아서 나노미터 단위(100만분의 1mm)로 작은 물질을 펨토초 단위(1000조분의 1초)로 분석할 수 있다. 말하자면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분자나 원자가 움직이는 현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나뭇잎에서 광합성이 ... ...
- [과학뉴스] ‘마술종이’로 감쪽같이 사라지는 전자소자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감쪽같이 사라져버리는 마술종이의 재료다. 최 교수팀은 니트로셀룰로스 종이 위에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전자 장치의 기본이 되는 반도체용 트랜지스터를 제작했다.특히 무선 조작이 가능한 전기 히터를 새겨 넣어 원하는 시점에 히터의 열로 종이 기판을 파괴할 수 있게 했다. 최 교수는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