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면적"(으)로 총 1,9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떨어지지만 양쪽 눈이 각각 볼 수 있는 단안시가 뛰어나다. 입체시로 볼 수 있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초식동물 눈에 보이는 세상은 납작하다. 또 초식동물은 대부분 눈동자가 네모나다. 이런 눈동자는고양이 눈과는 반대로 동공 위아래에 근육이 달려 있다. 가로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달리 물에 잘 젖지 않고, 젖더라도 얇게 퍼져서 시야를 가리지 않아요. 작은 돌기가 표면적을 넓혀서 물방울이 달라붙더라도 최대한 얇고 넓게 퍼지기 때문이지요. 김서림이 없는 유리는 짙은 안개에도 끄떡없기 때문에 무인자동차에 쓰이는 카메라 렌즈 등을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답니다. * ... ...
- [과학뉴스] 지구 나무 절반으로 줄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나무가 살고 있을까. 미국 예일대 토머스 크라우더 연구원팀은 위성사진을 토대로 단위면적 당 나무 수를 계산해 전세계 삼림의 전체 나무 수를 추정했다. 조사 결과 현재 지구에 남아 있는 나무는 총 3조 그루. 10년 전 예상했던 수치(4000억 그루)보다는 7배 많지만 인류 문명이 시작된 1만2000년 전에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40% 줄일 수 있다”며 “전력 생산 효율은 기존 발전기에 비해 30% 가량 낮지만, 같은 면적에 더 많은 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다”고 밝혔다.풍성한 고(高)고도풍으로 에너지 UP높은 고도의 바람을 이용하려는 시도도 있다. 한전전력연구원 녹색성장연구소가 펴낸 ‘공중 풍력발전기술개발 현황 및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공통점을 하나 추가했다. 살림을 탈탈 털어 경기도 양평에 약 2975m2 (900평, 사용면적 600평)에 이르는 개인 야외 곤충연구소를 마련한 것이다.늘 야외로 돌아다니며 관찰할 수 있는데, 왜 굳이 개인 연구소를 차렸을까. 늘 전국으로 누비다 보니 베이스캠프가 필요했다. 곤충을 찾아다니는 것도 좋지만,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겉표면에 공기방울이 일어나요. 그러면서 녹말 보풀이 일어나 감자와 기름이 맞닿는 표면적이 커져요. 그 결과 더욱 바삭바삭한 감자 튀김을 만들 수 있지요.”모던니스트 퀴진은 왜 이런 요리에 도전하는 걸까요?“요리는 예술이자 과학이에요. 모든 예술이 그렇듯이 재료와 기술에 대해 잘 알아야 ... ...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흙에 섞어 양질의 흙을 만들기로 했다. 거주용 막사는 일종의 밭으로 변했다. 막사의 면적은 약 92m2다. 10cm 깊이로 흙을 덮는다고 생각하면 화성의 흙이 9.2m3만큼 필요하다. 그리고 작물을 키우려면 흙 1m3당 물 40L가 필요하다. 즉, 밭 전체를 충분히 적시려면 물 368L가 필요하다. NASA는 비상 식수를 대원 ... ...
- 오감만족 수학 놀이터 군포수학체험관에 가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쉽다.하지만 놀랍게도 정사면체 안에서 비누막끼리 만나 새로운 선을 만든다. 비누막은 면적이 최소가 되는 형태를 이루기 때문이다. 신기한 실험은 끝이 아니었다. 이곳에는 성인 남성의 키보다 훨씬 높은 미끄럼틀이 있다. 실제로 사람이 탈 수 있는 미끄럼틀은 아니지만, 대신 공을 굴린다.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많다는 소문이!). 명왕성은 지름이 2372km 즉 지구 지름의 18.5% 정도 된다. 면적은 러시아 면적과 유사하다. 이중 ‘하트’ 모양의 얼음 지형(NASA는 명왕성을 처음 발견한 천문학자 이름을 따 이 지역을 ‘톰보 영역’이라고 부른다)의 폭은 2000km이다. 명왕성의 하트 지형은 태양빛을 반사해 명왕성을 더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거대한 쓰레기 구역(Great Pacific Garbage Patch, GPGP)’이라고 불리는 이 섬은 남한 면적의 14배나 될만큼 커요. 섬을 이루고 있는 쓰레기의 90%는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바다에 가라앉지 않고 둥둥 떠다니지요. 이렇게 플라스틱 쓰레기가 한곳에 모이게 된 것은 이 지역의 바람이 시계 방향으로 타원형을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