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d라이브러리
"
면적
"(으)로 총 1,9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많다는 소문이!). 명왕성은 지름이 2372km 즉 지구 지름의 18.5% 정도 된다.
면적
은 러시아
면적
과 유사하다. 이중 ‘하트’ 모양의 얼음 지형(NASA는 명왕성을 처음 발견한 천문학자 이름을 따 이 지역을 ‘톰보 영역’이라고 부른다)의 폭은 2000km이다. 명왕성의 하트 지형은 태양빛을 반사해 명왕성을 더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안쪽의 공기는 바깥으로 나가려고 한다. 또 거품 표면에는 물 분자가 서로 잡아당겨 표
면적
을 줄이려는 힘(표면장력)이 있다. 결국 이 힘들이 서로 평형을 이루지 않으면 거품은 금세 터져버리고 만다. 이럴 때 마요네즈를 만들 때처럼 유화제를 넣으면 오랫동안 거품이 무너지지 않는다.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중에 노출돼 피부가 빠르게 마르게 돼요. 노래주머니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표
면적
이 늘어나면 수분이 더 빠르게 마르지요. 게다가 크기도 작아 몸속에 저장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이 적어요. 즉, 비올 때만 노래하는 것은 조금이라도 수분 손실을 줄이기 위한 청개구리의 생존 방식인 셈이에요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자동차의 속도를 그래프로 그려보면 어떨까요? 시간-속도 그래프에서 그래프 아래
면적
을 모두 더하면 자동차가 달린 거리가 나옵니다. 이건 적분입니다. 미분과 적분이 아주 가까운 사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덧셈을 거꾸로 하면 뺄셈이 나오고 곱셈을 뒤집으면 나눗셈이 나옵니다. 수학적으로 ... ...
해마 꼬리가 사각인 이유 있었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구조물의 내구성을 비교했다. 두 ‘꼬리’에 힘을 가했을 때, 직육면체 구조물은 단
면적
이 30% 가량 줄어들 때까지 버틴 반면, 원통형 구조물은 10% 밖에 버티지 못했다. 직육면체 구조물이 변형에 더 잘 견딘다는 의미다. 포터 교수는 “원에 비해 꼭지점이 적은 정사각형이 더 쉽게 접힌다”며 “현재 ... ...
공유경제 ‘프로포즈 공식’으로 거듭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카셰어링 업체가 주차장 공유를 요청하면 그 지역의 인구 수를 토대로 공유
면적
을 결정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그렇다면 유휴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쓰는 방법은 없을까. 엄상일 KAIST 수리과학부 교수는 “2012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미국 UCLA의 로이드 샤플리 교수와 하버드대 앨빈 로스의 ... ...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논문에서 각질층을 통과할 수 있는 경로로 모공을 제시했다. 하지만 모공이 차지하는
면적
은 전체 피부의 0.1%로, 이 경로가 피부 흡수에 기여하는 바는 매우 적다고 밝혔다.쉽게 망가지는 단백질, 화장품에 넣는 순간 분해모공을 통해서 EGF나 FGF가 통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의문은 쉽게 가시지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주로, 1968년에 완성한 세계 최대의 인공섬이에요. 크기가 무려 970km²나 되지요. 서울시
면적
이 600km²인 것과 비교하면 정말 어마어마하게 큰 섬인 셈이에요.플레볼란트 주는 도시와 각종 생활 공간이 들어서면서 인공섬이라는 것을 알 수 없을 정도로 완벽한 육지로 자리잡았어요. 특히 식물 품종 ... ...
소라가 해저 압력 이기는 비결은 나사 모양!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고, 소라껍데기는 빙글빙글 말려 있는 생김새 덕분에 넓은
면적
이 외부 압력을 골고루 나눠 지탱한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나사처럼 길쭉하게 생긴 소라껍데기는 조개처럼 껍데기가 한 장일 때보다 외부 압력을 2배 이상 지탱할 수 있었습니다.연구팀은 나사처럼 생긴 ... ...
광장에 몇 명 모였나? WIFI로 센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광장 내 사람 수를 추정하는 수학 모델을 개발했다고 6월 8일 보도했다.연구팀은
면적
이 약 70m2인 공간을 지정해 실험했다. 공간 양 끝에 2대의 WIFI 신호기를 설치한 뒤 지나다니는 사람 수에 따라 신호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했다. WIFI 신호가 사람 몸에 닿으면 반사파가 생성돼 원래 신호와 서로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