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노"(으)로 총 3,667건 검색되었습니다.
- 獨 막스플랑크 회장 "한국에도 막스플랑크 센터 세울 것"동아사이언스 l2024.04.11
- 공동연구, 교육 협력 프로그램 등을 구축한다는 내용이다. 크래머 회장은 "우리는 나노의학 외에도 기후, 나노, 인공지능(AI) 등 여러 분야에 대한 협력이 열려 있다"고 말했다. 11일 연세대 백양누리에서 'IBS-막스플랑크연구회 라운드 테이블'이 진행됐다. IBS 제공 이날 라운드테이블에서는 MPG 소장 ... ...
- 젊어진 ‘미세아교세포’로 치매 치료 가능성 제시동아사이언스 l2024.04.11
- 이를 확장해 혈관뇌장벽 통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초음파활용 약물전달기술, 또는 나노입자 특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분자 신경퇴화’에 지난달 18일 게재됐다. ... ...
- 하이브리드 소듐 전지 개발…"수 초 만에 급속 충전"동아사이언스 l2024.04.11
- 최적화된 전극 소재를 합성했다. 먼저 이종원소가 도핑된 다공성 탄소 소재에 미세한 나노물질을 포함시킨 음극 소재를 개발했다. 입자의 작은 크기 덕분에 표면적이 넓고 이온 확산이 빨라 에너지 저장 속도가 향상됐다. 연구팀은 이온 확산 채널을 극대화해 저장 용량이 높은 축전지용 양극 소재를 ... ...
- [과기원NOW] GIST,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환경공학-에너지 분야 연구협력 外동아사이언스 l2024.04.09
- 9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AI를 기반으로 역설계 기법을 사용해 메타표면이 420~720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사이 10개 파장에서 서로 다른 색과 모양을 가지는 홀로그램을 구현하도록 인코딩했다. 이어 전기장과 온도 자극에 따라 메타 표면이 특정 파장을 반사하도록 해 독립적인 홀로그램 10개를 ... ...
- 4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한신희·박용대동아사이언스 l2024.04.08
-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한 수석연구원은 기존 개발된 것 중에서도 가장 작은 28나노미터(nm) eMRAM 비트셀 추가 공정을 개발해 eMRAM의 메모리 동작 시 저장 동작 횟수를 108배, 에너지 효율을 70%까지 높였다. 한 수석연구원은 “앞으로도 자기저항 메모리 기술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 ...
- 암세포만 골라 '유전자 가위'로 교정 치료하는 항암신약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4.08
- 난소암세포와 동물모델에서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나노복합체가 암세포 내에서 세포주기를 관장하는 유전자를 교정해 암세포 분열을 억제하는 항암 효과가 잘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최초로 크리스퍼 단백질과 항체를 결합해 효과적으로 암세포에 ... ...
- 막스플랑크연구회-IBS, 국제협력 강화 위한 포럼 개최·MOU 체결동아사이언스 l2024.04.08
- 연구단과 MPI 의학연구소는 나노의학 국제 연구 협력 플랫폼 추진을 위한 MOU를 체결한다. 나노의학 연구단과 MPI 의학연구소는 지난해 5월 MOU를 체결하고 글로벌 공동연구 허브 등 장기 협력 추진체계 구축에 나선 바 있다. 이번에 추가로 체결하는 MOU에는 IBS-막스플랑크 센터 설립 추진과 교육 협력 ... ...
- 가볍고 유연한 '탄소나노튜브 섬유', 에너지 저장 33배동아사이언스 l2024.04.07
- 줄로 제작했을 때도 구부림, 접기, 세척 후 잘 작동됐다. 정현수 책임연구원은 “탄소나노튜브 섬유는 우리가 보유한 원천기술과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크지 않아 경쟁력이 있는 분야”라며 “비정형 에너지 저장 핵심 소재로 응용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 [사이언스게시판] ETRI, 기업 반도체 설계 및 제작 돕는다 外동아사이언스 l2024.04.05
- ETRI반도체팹(FAB)에서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ETRI 제공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150나노 질화갈륨(GaN) 반도체 기술 국산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시범서비스를 본격 시작한다. ETRI는 4일 원내에서 산·학·연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개발한 세계적 수준의 150나노(0.15um) 질화갈륨 ... ...
- 맞춤형 나노소재 빠르게 개발하는 AI 연구실 등장동아사이언스 l2024.04.04
- 기술을 접목해 연구자가 원하는 소재의 물성을 입력하면 요구물성을 정확히 충족시키는 나노소재를 합성해주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이 AI 기술은 기존의 베이지안 최적화 방법에 얼리 스톱핑을 접목해 단순 자동화 장치에 대비해 소재탐색 시 효율성을 500배 이상 높였다. 베이지안 최적화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