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6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물질 없이도 반도체에 패턴 깎는 기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26
있다"며 "기존 반도체 공정에서 쓰이는 화학 물질과 고가의 장비 없이도 낮은 비용으로
나노
구조를 만들 수 있어 산업적 활용 잠재력이 있다"고 내다봤다 ... ...
조용히 차 따르려면…커피와 차의 과학
과학동아
l
2024.03.23
가장자리부터 표면에 달라붙는 커피 링 효과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나노
입자를 아주 얇은 막 형태로 씌우는 반도체 공정이나 코팅 공정 등이 대표적 사례다. 4. 아인슈타인이 이런 연구도? 찻잎 패러독스 디스코 팡팡을 떠올려보자. 빙글빙글 돌아가는 원반 위 사람들은 모두 원 ... ...
마그네슘 첨가제로 고품질 방열 소재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1
이용해 이런 문제점을 해결했다. 소결 공정에서 첨가제를 넣으면 소재의 표면에 얇은
나노
결정질 복합층이 생겨 수분과 반응하는 방어층이 형성된다. 방어층 덕분에 소결 온도까지 낮춤으로써 열전도도를 늘다. 방열 소재는 열전도도가 높으면 열이 잘 방출된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기존 ... ...
빛으로 알츠하이머 일으키는 뉴런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1
세포가 에너지를 이용해 단백질 같은 분자를 세포 내로 옮기는 과정을 말한다.
나노
입자엔 형광물질로 구성된 화합물인 '형광 프로브'가 들어 있다. 형광 프로브는 살아있는 세포를 활성화시켜 뉴런의 막에 결합한 뒤 형광 성분을 특정 파장의 빛으로 방출한다. 이를 통해 뉴런의 막을 시각화하면 ... ...
[과기원NOW] 태양으로 이산화탄소→친환경 에너지 변환...고효율 광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20
인수일 DGIST 에너지공학과 교수(왼쪽 상단) 연구팀.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인수일 에너지공학과 교수팀이 태양 빛을 이용해 지구온난화 주범인 이 ... 있도록 해 전자 이동도 및 전자 포화 속도도 대폭 향상시켰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
’에 19일 게재됐다 ... ...
피부에 생긴 염증성 상처 재생 돕는 생분해성 패치
동아사이언스
l
2024.03.20
많이 쓰이는 하이드로겔에 첨가해 생분해성 패치를 개발했다. 쥐 실험 결과 패치 속
나노
입자는 대식세포가 상처 조직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촉진했다. 대식세포는 조직 재생 단백질과 성장인자 발현을 통해 혈관과 조직의 재건을 원활히 유도했다. 연구팀은 "새로운 상처 패치가 기존에 치료가 ... ...
나무도 3D 프린터로 '인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0
수 있는 잉크를 만들었다. 리그닌과 또 다른 세포벽의 주요 구성성분인 셀룰로오스와
나노
결정을 알맞은 비율로 섞어 잉크로 사용할 수 있는 최적의 구성을 맞췄다. 이렇게 만들어진 잉크는 3D 프린터에서 천연 목재를 매우 유사하게 구현해냈다. 질감뿐만 아니라 향과 강도에서도 목재와 큰 ... ...
[과기원NOW] GIST 학부생들, 캠퍼스의 청춘과 열정 담은 '지스트의 온도' 출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19
화학생물공학부 교수팀, 곽상규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팀, 이태경 경상국립대
나노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공동연구를 통해 리튬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전압이 높을 때도 안정적인 리튬 금속배터리 용매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리튬 전지를 고전압에서 오래 쓰려면 전극 표면을 ... ...
뒷마당 사는 곤충에게 얻은 '투명 망토'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4.03.19
처음이라고 밝혔다. 브로코솜의 지름은 약 600
나노
미터(nm, 10억분의 1미터)로, 지름 200
나노
미터의 구멍이 뚫려 있다. 이 구조와 크기는 매미충의 종류와 관계없이 거의 비슷했다. 연구팀은 브로코솜 모형에 다양한 파장의 빛을 쏘며 관찰했다. 그 결과 가시광선은 브로코솜과 부딪히면 산란했고 ... ...
[과기원NOW] GIST 연구진 "지구온난화, 대규모 대기 흐름 증폭시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유연한 기판에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메도 다공성 금속 산화물은 2~50
나노
미터(nm) 크기의 구멍을 가진 금속 산화물로 표면적이 매우 커 이온이나 전자 등을 전달하는 데 유리하다. 이 산화물을 웨어러블이나 플렉서블 기기에 활용하려면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해야 한다.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