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푸르름
선인
마법사
녹색
선령
뉴스
"
신선
"(으)로 총 939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비 부정 사용했다간…‘삼진아웃제’ 도입
2015.04.07
미래창조과학부는 연구개발(R&D) 예산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국가 R&D 연구비 비리 방지 대책(안)’을 마련해 7일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부패척결추진단이 최근 4년간 국가 R&D 예산에 투입된 9조5000억 원 규모의 사업에 대해 연구비 사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62개 기관에서 약 50억 원 규모의 비리 ... ...
“2020년까지 그래핀 핵심기술 85개 확보”
2015.04.07
정부가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 사업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그래핀 사업화 촉진 기술 로드맵’을 마련하고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완구 총리 주재로 열린 ‘제8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서 이 방안을 확정했다. 그래핀은 탄소로 이 ... ...
[미래를 듣는다 4] “독일 통일, 우리 실정에 맞춰 적용해야”
2015.04.06
김황식 전 국무총리는 지난달 31일 개최된 ‘국가발전포럼’에서 “통일을 이룬 독일의 경험을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춰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총리는 또 “과학기술은 경제 성장의 근간이 되는 만큼 과학기술에 더 많이 투자해야 한다”고 밝혔다.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 ... ...
올해 7월 1일, 1초 더 늘어난다
2015.04.06
올해 7월 1일 오전 9시에는 1초가 더 생긴 윤초(閏秒)가 적용된다. 이날 오전 8시 59분 59초에서 9시 0분 0초로 넘어갈 때 인위적으로 1초를 더해 1분을 60초가 아니라 61초로 만드는 것이다. 윤초는 표준시와 실제 시각과의 차이를 조정하기 위해 가감하는 1초를 말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이날 전 세계와 ... ...
우주 저 먼 곳, 원시별의 진화를 생중계로 보다
2015.04.03
지구에서 약 4000광년 떨어진 ‘W75N’ 안에 있는 어린별 ‘VLA 2’가 위아래 방향으로 먼지와 가스를 내뿜고 있다(파란색).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진은 2013년 이 과정을 세계 최초로 발표한 데 이어 최근 이를 한 차례 더 관측해 주목받았다. - 멕시코국립자치대(UNAM) 천문연구소 제공 제공 지구에서 약 400 ... ...
‘뉴요커 개미’는 정크푸드 좋아해
2015.04.01
미국 맨해튼 거리를 돌아다니는 ‘뉴요커 개미’ 중 일부는 햄버거처럼 사람이 즐겨 먹는 음식을 좋아하도록 입맛이 발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연구팀은 맨해튼 공원과 중심가 도로 등 12곳에서 21종의 개미 100마리를 모아 이들의 몸속 동위원소를 분석했다. 동물은 ... ...
KISTEP-주한 대사관 과학관 간담회 개최
2015.04.01
박영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원장은 간담회에 참석한 주한대사관 과학관들에게 ‘아시아 혁신 포럼과 젠더서밋(Gender Summit Asia Pacific 2015)’을 소개하고 협조와 관심을 요청했다. - KISTEP 제공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지난달 31일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 노보텔앰배서더강남 ... ...
줄기세포 잘 보면 백혈병 치료 결과 보인다
2015.03.31
국내 연구진이 줄기세포 주변 세포의 변화로 백혈병 환자의 치료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백혈병은 치료 뒤 완치되기도 하지만 재발위험이 높은 환자도 있어 이번 결과를 토대로 고위험군 환자를 미리 예측하면 더욱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할 전망이다. 오일환 가 ... ...
버려지는 실리콘이 전극 소재로 환골탈태!
2015.03.30
반도체나 태양전지용 실리콘 웨이퍼를 만들고 나오는 폐기물(슬러지)은 연간 1만 t을 넘는다. 폐기물의 주성분인 실리콘도 폐기물과 함께 모두 버려지는 것이다. 게다가 폐기물에는 제품의 재료가 될 수 있는 순도 99.99999999% 이상의 초고순도 실리콘 나노입자도 30%나 섞여 있다. 최근 장희동 한국 ... ...
오호~ 빛-열 이용해 나노반도체 도핑
2015.03.30
국내 연구진이 빛과 열을 이용해 2차원 나노반도체를 도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도핑은 전자나 정공(양전하를 띠고 전자처럼 움직이는 가상 입자)의 농도를 조절해 반도체의 특성을 n형이나 p형으로 바꾸는 과정이다. 박진홍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사진)팀은 종이처럼 얇은 이황화몰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