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d라이브러리
"
투과
"(으)로 총 590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복기록과 지우는 것이 가능한 광디스크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있다.자기광학 기억의 기본원리‘자기─광학’효과란 자화(磁化)된 특수한 재료를 빛이
투과
하거나 반사하게 되면 빛의 특성에 독특한 변화가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자기광학 기억방식은 (그림1)과 같이 반사광의 편광면이 회전하는 ‘커’(Kerr)효과를 주로 이용하게 된다. ‘커’회전방향은 입사 ... ...
PART 4 초신성 폭발의 수수께끼 「초신성1987A」는 청색초거성이었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방출이야말로 초신성 이야기의 처음이자 끝이라고 할 수 있다. 뉴트리노는 이처럼
투과
성이 크기 때문에 초신성1987A로부터의 최초의 빛이 지구에 도착하기 3시간 전에 지구에 도착했다. 뉴트리노를 검출한 곳은 미국 클리블랜드의 지하에 설치된 장치와 일본 가미오카광산의 측정장치. 이 장치들은 ... ...
제1회 한국과학대상 수상자 김진의 교수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이제까지 전자와 충돌해 산란되던 광자가 전자들이 원자속으로 갇힘에 따라 우주로
투과
해 나오기 때문이다. 우주탄생 후 10만년이 지나면 퀘이사와 거대 블랙홀이 생기고 이어 은하와 항성도 모습을 나타낸다. 그리고 1백억년 후에는 행성과 함께 생명체가 우주에 탄생하게 된다. 그런데 이처럼 ... ...
보다 편한 잠을 위한 안내 침구속의 기상을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말려야 한다. 투습성(透湿性·humidity transparency)이란 말이 있다. 수분을 빨아들이지 않고
투과
시켜버리는 성질이다. 무명은 섬유자체에 흡습성은 있으나 방습성은 아주 나쁘고 투습성도 좋지않다. 양모는 흡습성은 낮으나 방습성은 높고 투습성도 있다. 깃털(새털)은 얽힌 단섬유 틈에 수분을 ... ...
포항공과대학 단숨에 명문으로 떠오르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확보수준은 선진국의 명문대학에 비견할 정도라는 게 학교측의 주장이다. TEM(
투과
전자현미경, 10억원상당), ESCA(전자분광화학분석기, 5억원), FT-NMR,300MHZ(핵자기공명분광기, 5억원)등 국내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첨단기기들을 예로 들고 있다. 한편 앞으로 설치될 예정인 방사광가속기(Synchrotron Radiation ... ...
방사능 측정에 사용되는 단위 해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X선이 위험요소로 작용한다. α선은 물질과 상호작용이 강한 반면 종이를 뚫지 못할만큼
투과
력이 약하다. 방사선의 세기는 전자볼트(eV)로 나타내며 1ev는 1.6 × ${10}^{-19}$주울(J).인체가 방사선을 맞았을 경우 영향을 측정하는 단위로 선량당량인 렘(rem)이 쓰인다. 또 같은 단위로 시버트(Sv)가 ... ...
어떻게 감지하고 어떻게 적응하나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대사과정이 억제되어 나타나는 경우와, 산소나 수분을
투과
시키지 않는 종피의 불
투과
성에 의한 경우를 들 수 있다.배가 성숙하지 못하여 발아되지 않는 종자는 물속에서 10일내지 몇달동안 침윤시켜 미숙한 배의 분화를 완성시킴으로써 휴면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바람꽃의 ... ...
에너지가 있는 곳으로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흡수되고 그 나머지는 산란되며, 더우기 먼지로 인해 광도가 약해지고 구름은 빛의
투과
를 더욱 차단한다. 게다가 매일 밤은 빛을 완전히 없애 버린다.그렇다면 왜 에너지가 있는 곳으로 나가지 않는가? 왜 우주공간으로 찾아나가지 않는가? 대기권을 넘어서면 태양광은 안정된 광도로 방사되며, ... ...
방사선처리식품 과연 안전한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일어나는 물리적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막대한 에너지를 가진 감마선이 식품에
투과
되면서 식품의 원자와 부딪쳐 그 전자에 에너지를 전이하게 된다. 이러한 에너지전이는 원자를 이온화시켜 전자를 방출하게 함으로써 원자를 내포하는 분자는 분열을 일으킨다. 방출된 전자는 또다른 원자를 ... ...
영국에서 새로운 전자현미경 MEATSEM 개발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높아 살아있는 시료는 타버리거나 손상되기가 일쑤다. 이런 결점을 극복해 나온 현대식
투과
전자현미경도 두껍고 입체적인 시료는 조사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었다. 그 다음 세대의 전자현미경인 주사형 전자현미경은 2차전자를 이용하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채택해 위의 문제들을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