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d라이브러리
"
투과
"(으)로 총 590건 검색되었습니다.
토리노의 수의는 이렇게 찍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반사를 하며 그 반사가 필름에 도달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카메라 앞에 L-42(Barrier: 장파장
투과
필터, 자외선흡수필터)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흡수가 가능해 질 수 있다. 카메라와, 사용할 2개의 광원은 장비를 지지하기 위해서 제작되어진 틀에 그것이 평행 혹은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할수 있도록 ... ...
검사 분석 보존의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상태와 함께 그위에 다시 수정한 사실들을 알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적외선은 좀더 강한
투과
력을 가지고 있는데 완성된 작품을 만들기 전의 초안 데생, 지워진 서명 등을 식별해 낸다. 검사방법중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은 X선이다. X선은 문화재와 미술품의 역사를 가장 잘 밝혀주는 전통적 ... ...
한국화약 그룹 연구소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개질연구도 한창이다. 비닐하우스 안에 들어가면 비닐에 물방울이 송송히 맻혀 빛의
투과
를 막는 현상을 볼 수 있다. 햇빛이 자연스럽게 비닐하우스내에 들어오는 것이 어려우면 그 속에서 자라는 작물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좀더 쾌청한 환경을 조성해주는 비닐하우스 재료가 요구된다. ... ...
3차원 입체영상의 실현 홀로그래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네째로 재생방식에 따라서
투과
형 홀로그램과 반사형 홀로그램으로 분류한다.
투과
형 홀로그램은 재생상을 만들기 위하여 회절된 광속이 기록매질을 관통할 경우이고, 반사형 홀로그램은 회절된 광속이 기록매질을 통과하지 않고 기록매질에서 반사되는 경우이다. 다섯째로 기록하는 광원의 ... ...
탄산가스로 인한 온실효과 더워지는 지구, 그 결과는?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온실효과'(溫室效果)가 그 원인이다.온실을 덮고 있는 투명한 유리는 태양광선은
투과
시키지만 온실내에서 방사하는 적외선(열선)은 완전히 흡수해 열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이런 현상이 지구적인 규모에서 일어나는 것이 온실효과이다. 이때 유리의 역할을 하는 것이 주로 화석연료를 ... ...
PART6 광자공학재료 광컴퓨터가 탄생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알아냈다. 이런 재료에서는 입사하는 빛의 강도를 조금 증가시키기만 하면 이것을
투과
혹은 반사하는 출력광의 강도를 급격히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 효과를 이용하여 간단한 광정보처리기능이 실현되고 있다. 그러나 광자공학, 스위칭 등 광컴퓨터에 필요한 기능소자의 개발이 이제까지는 ... ...
액정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외광을 패널로 모이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형광등도 외광도 모두 효율적으로
투과
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벽걸이 TV를 향하여액정포켓컬러TV가 출현함으로써 액정컬러디스플레이의 기초기술은 일단 이루어진 셈이다. 앞으로는 대형화에 따른 비용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가에 벽걸이TV ... ...
눈은 왜 육각형 모양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그 복제는 배율이 낮은 현미경으로 반사광이나
투과
광을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다.
투과
광을 이용하면 눈 결정의 모양과 내부구조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반사광을 이용하면 검은 배경에 흰 상의 눈결정사진을 얻을수 있으며 결정 표면의 뚜렷한 기복을 관찰할 수 있다. 또 눈의 결정사진을 ... ...
PART1 하이테크에서의 일본의 기술력 세계제일은 시간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선두경쟁에 뛰어들었다. 1979년 석영섬유의 이론 한계치에 근사한 0.2dB(1km당 빛의
투과
율 97.6%)의 극저손실 광섬유를 개발, 10년 가까이 지속되었던 이 분야의 기술개발경쟁에 종지부를 찍었다.이를 가능하게 했던 것은 미국의 MCVD법과는 다른 독창적인 VAD법. 이는 연속적 생산이 가능하고 투명도를 ... ...
주사형 터널링 전자현미경(STM) 육안으로 원자를 본다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전자 현미경 발명의 실마리가 되었다.여기서 개발된 것이 반사식 전자 현미경(SEM)과
투과
식 전자 현미경(TEM)이다. TEM은 분해능(分解能)이 좋아 광학 현미경으로는 도저히 볼 수 없었던 결정막 내의 원자의 배열과 원자 궤도까지도 관찰할 수 있었다.전자 현미경이 이렇게 높은 분해능을 가지게 ... ...
이전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