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랙
경주장
경마장
뉴스
"
주로
"(으)로 총 4,392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필요악' 스트레스 활용법도 중요하다
2024.03.16
항상 피하는 것이 좋을까? 일상 생활 속 대화에서도, 학술지 속에서도 스트레스란
주로
부정적인 일들을 지칭하는 용도로 쓰인다. 또한 그 범위 또한 방대해서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사람이 많은 지하철을 타야 하는 비교적 작은 일부터 입시나 취직을 위한 극심한 경쟁에서 살아남는 것같이 삶에 ... ...
[정치에 도전한 과학자들] ⑤황정아 "출연연 연구과제중심제도 개선에도 힘쓸것"
과학동아
l
2024.03.15
연구비와 인건비를 충당합니다. 이를 연구과제중심제도라 부릅니다. 특히 응용 연구를
주로
하는 출연연은 국가 출연금 비율이 낮습니다. 그러니 돈을 벌기 위해 실패 가능성이 높고 잠재력이 높은 연구를 하지 못하고 단기 연구에만 매달리게 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연연 인건비를 ... ...
"아동기에 약시 겪으면 성인기에 대사 질환 나타날 수도"
연합뉴스
l
2024.03.13
질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아이들이 시력이 발달하는 시기에
주로
나타나는 약시는 일종의 발달 장애로 한쪽 눈이 제대로 자극받지 못해 정상적으로 나타나야 할 시력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은 것이다. 이 때문에 두 눈으로부터 뇌에 입력된 정보가 서로 매치되지 않아 ... ...
멍게에서 추출한 항암 치료제 원리 찾았다…"암세포 DNA 복구 차단"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달 15일 게재했다고 13일 밝혔다. 항암 치료에 쓰이는 약물은
주로
암세포의 DNA를 공격해 암세포 증식을 억제한다고 알려졌다. 암세포는 이에 대응해 DNA 손상을 스스로 복구하며 항암 치료를 어렵게 한다. 트라벡테딘은 암세포의 DNA 복구를 방해해 항암 치료 효과를 높이는 ... ...
국산 소자·부품 우주서 검증…2025년 검증위성 첫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도달했다”며 “반면 가혹한 우주환경으로 인해 높은 신뢰도를 요구하는 소자·부품은
주로
외국에서 도입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우주 선진국으로서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우주방사능, 급격한 온도 변화, 고진공 등에서 견딜 수 있는 높은 신뢰도의 국산 우주급 소자·부품 개발과 ... ...
포유류 추위 감지 단백질 발견…"추위 통증 이해·치료 기대"
연합뉴스
l
2024.03.12
조작해 GluK2 단백질을 생산하지 못하는 쥐를 만들어 그 기능을 확인했다. GluK2는
주로
뇌 신경세포(뉴런)에서 발견되고 뉴런 간 통신을 촉진하기 위해 화학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지만, 뇌와 척수 외 말초신경계의 감각 신경세포에서도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유전자 조작 생쥐에게 ... ...
대한의학회 "전공의 사직 비판할 수 있지만 범죄자 취급은 폭압"
동아사이언스
l
2024.03.12
대표기관이다. 의사들의 이익과 권리를 대변하기 위해 출범한 대한의사협회와 달리
주로
학술 분야에서 활동한다. 의대 학습목표 제정, 의사국가시험 과목 출제 기준 수립 등 의료인력 양성에도 관여한다. 개원의가 중심인 의협과 달리 임원 전원이 대학병원 교수로 구성됐다. 그간 의료계의 ... ...
의협 "정부, 한국을 국제사회 웃음거리로…비대면 진료·PA 허용 강력 비판"
동아사이언스
l
2024.03.07
비대면 진료 허용에 대해서는 ‘의료계 괴롭히기’라고 비판했다. 의협은 “수련병원이
주로
담당하는 중증환자, 응급환자 치료와 아무런 관련 없는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하겠다고 하고 성분명 처방을 통한 대체조제 활성화 등을 발표하는 치졸한 의료계 괴롭히기 행태를 자행하고 있다”며 ... ...
AI 거대언어모델 0.4초만에 처리…삼성 28나노공정으로 초저전력 AI반도체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06
것이 특징이다. 기존 뉴로모픽 컴퓨팅 기술은 합성곱신경망(CNN)에 비해 부정확하며
주로
간단한 이미지 분류 작업만 가능했다. 연구팀은 뉴로모픽 컴퓨팅 기술의 정확도를 CNN과 동일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단순 이미지 분류를 넘어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상보형-심층신경망(C-DNN)을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김대덕 교수…약물전달시스템 새 패러다임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3.06
전달하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표적화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하다. 하지만 기존에
주로
사용됐던 나노 약물전달시스템은 항암제를 종양으로 잘 전달하지만 크기가 커서 신장을 통해 체외로 배설을 어렵게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 결과 암 조직과 관련 없는 정상 조직이 약물에 노출될 가능성이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