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0501
특수상대성이론과 일반상대성이론이라는 말은 아인슈타인과 동급으로 취급될 만큼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만약 이 이론들이 무슨 뜻이냐고 묻는다면 선뜻 대답하기가 쉽지 않다. 그렇다면 이제 이런 질문을 던져보자. 세상에서 제일 빠른 것이 있는가? 만약 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우주의 최대 ... ...
특수상대론 쉽고, 일반상대론 어려워
과학동아
l
200501
조사에는 모두 157명이 참가했다. 설문 문항은 과학문화진흥회 김제완 회장(서울대 명예
교수
)이 출제했다.조사 결과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에 대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99명(63%)이 ‘어느 정도 이해한다’고 밝혔다. ‘완전히 이해한다’고 답한 학생도 20명(13%)이나 됐다.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01
듯한 상대성이론이 사실은 매우 가까이 있는 셈이다.미국 콜로라도대 밀 애쉬비
교수
는 “1970년대 군사용 GPS위성을 처음 띄웠을 때 상대성이론 효과가 나타난다는 쪽과 그렇지 않다는 쪽으로 첨예하게 나뉘었다”며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최근호 인터뷰에서 밝혔다. 그는 ... ...
7.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는?
과학동아
l
200501
점수를 받았지만 나머지는 엉망이었다. 다행히 물리 부분을 채점했던 하인리히 베버
교수
덕분에 아인슈타인은 어떤 고등학교에서든지 졸업장을 받아오면 이듬해 입학을 시켜주겠다는 약속을 받을 수 있었다.아인슈타인은 취리히에서 40km 떨어진 아라우에 있는 고등학교를 선택하고 그곳 교사인 ... ...
9. 진동하는 끈이 만물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200501
통해 정리할 수 있다는 사실을 1968년 베네찌아노가 밝혔다. 그후 시카고대 남부
교수
등 다른 과학자들이 이 공식을 끈의 진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증명했다. 즉 점 입자의 충돌을 점이 아닌 끈의 산란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것이 끈이론의 탄생이었다.당시 끈이론에는 큰 결함이 있었다. ... ...
100억배 더 밝은 4세대로 탈바꿈한다
과학동아
l
200501
X선 발생기가 있다. 그런데 왜 포항방사광가속기처럼 큰 것이 필요할까. 오병하
교수
는 “가속기에서 나온 X선이 훨씬 강한데다 파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실험을 훨씬 쉽고 빨리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포항방사광가속기는 먼저 전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하는 장비가 필요하다. 전자는 ... ...
과학의 꿈은 어릴 때 움튼다
과학동아
l
200501
온 교생을 통해 학문의 즐거움을 깨달은 인지과학자 대니얼 데닛, 대학교에서 다양한
교수
들과의 만남을 통해 의대 대신 수학자의 길을 선택한 스티븐 스트로개츠, 보이스카우트 모임에서 만난 물리학자와 인연을 맺은 복잡계 과학자 도인 파머 등은 스승의 영향을 실감나게 들려준다.또 심리학자 ... ...
'지하철은 훌륭한 이동 연구실'-임지순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3
우연히 가늘고 긴 관 모양의 구조를 발견한 것이죠. 그 뒤로 미국의 물리학자 스몰리
교수
는 여러 가닥의 탄소나노튜브가 다발처럼 묶인 것을 만들어 냈답니다.그럼 임지순 박사님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탄소나노튜브 여러 개를 다발로 묶으면 반도체가 된다는 사실을 밝혀 냈어요. 반도체라는 ... ...
“꿈을 담아 쏘아 올린 로켓!”-채연석 원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2
것뿐이다.이런 당돌한(?) 결심은 더욱 더 그를 로켓에 빠지게 만들어서 대학 시절엔
교수
님이 출석을 부를 때 이름 대신‘로케트’라고 그를 부를 정도였답니다. 대학 진학 이후 미국 유학을 가기까지 청년 채연석은 우리나라의 옛 로켓들을 연구하는 데 몰두합니다. 사실 우리 옛 선조들의 로켓 ... ...
“자연을 알면 더 사랑하게 돼요!” 최재천
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0
“자연을 알면 더 사랑하게 돼요!”1960년대 초반, 눈부시게 햇살이 따가운 여름날이었어요. 강원도 강릉의 한 시골 개울가 어귀에 소를 묶어놓고 ... “친구를 알면 알수록 그 친구가 좋아지는 것처럼 자연을 알면 자연을 사랑하게 된다.”
교수
님이 친구들에게 꼭 해주고 싶은 이야기랍니다 ... ...
이전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