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쌍둥이 도형 만드는 렙타일
과학동아
l
200412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스핑크스가 렙-4 도형이라는 사실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골룸
교수
였는데, 이것은 지금까지 발견된 유일한 렙-4 오각형이기도 하다(그림 1). 같은 요령으로, 6×9=54 개의 작은 정삼각형으로 스핑크스를 나눴다가 다시 6개의 정삼각형을 모으면 스핑크스가 렙-9 도형임을 확인할 ... ...
고대 로마 화장품, 처방은 현대적
과학동아
l
200412
, 즉 주석의 원석이 포함돼 있는데 이는 크림을 희게 만들기 위한 처방이다. 에버쉐드
교수
는 “녹말과 지방을 섞으면 괜찮은 핸드크림이 나오지만 여기에 석석을 더하면 반투명한 흰 크림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실제 연구자들이 이 처방을 재현해 만든 크림은 흰색이다. 연구자들은 “고대 ... ...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12
태생 하이델베르크·뮌헨·괴팅겐·파리 등지에 유학, 1866년 페테르부르크 공과대학
교수
로 부임하고 81년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할로겐을 검출하는 방법의 하나 러시아의 화학자 F K 바일슈타인이 고안하여 이렇게 명명되었다구리선을 분젠버너로 가열한 다음 여기에 미량의 ... ...
황우석연구소 설립, 줄기세포 논란 가열
과학동아
l
200412
2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에서 열린 세계생명윤리학회에 참가한 미국 하버드대 댄 브록
교수
는 “원숭이나 개로 실험하는 것과 인간배아를 실험에 쓰는 게 뭐가 다르냐”며 “결국 연구목적의 도덕성이 기준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배아복제의 가이드라인을 엄격히 확립하는 게 중요하다”고 ... ...
하루 사과 한 개로 뇌세포 손상 걱정 끝
과학동아
l
200412
보호한다고 밝혔다. 케르세틴은 사과에 가장 많이 들어있는 항산화물질이다. 이
교수
는 뉴욕주에서 재배된 빨간 사과를 사용했다.그는 이미 2002년 케르세틴이 정상세포를 해치는 암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따라서 그는 “이전의 연구가 보여주듯이 사과를 먹으면 암 ... ...
인간은 타고난 장거리 선수
과학동아
l
200412
구분되는 면”이라고 말했다.그렇다면 이들은 왜 장거리 주자가 됐을까. 리버만
교수
는 “우리 조상은 청소동물로 맹수가 먹다 남긴 고기를 먹기 위해 하이에나와 경쟁한 것으로 보인다”며 “지평선 멀리 독수리 무리가 보이면 그리로 달려가 찌꺼기를 챙겼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나노분자로 테라급 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12
연구 등 기초와 응용기술이 다양하게 필요한 분야의 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한편 정
교수
는“아직도 학생과 연구자들 사이에서 독창적인 기술은 선진국에서 나오고 우리나라는 이를 답습한다는 의식이 팽배해 있다”며 “우리도 세계 최고가 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창의성을 불어넣어주는 것이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12
영국의 저명한 이론물리학자인 폴 디랙은 물리학에 대한 철학적 의미를 묻는 태도에 대해 늘 회의적이었다. 물리학자는 엄밀한 수식을 통해 자연의 법칙을 드러낼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아이러니컬하게도 디랙이야말로 물리학에서 최대의 철학적 난제 중 하나를 던진 장본인이다. 디랙은 현대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12
이런 구조의 유동성을 일으키는 C유전자는 왜 아직까지 사라지지 않고 있는가. 맥마누스
교수
는 “뇌의 구조에 적당한 변동이 생기면 오히려 특정한 기능을 더 잘 수행할 수 있다”며 “따라서 DC형인 사람은 뇌의 구조가 경직된 DD형이나 흐트러진 CC형보다 생존에 유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
종이로봇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12
아시아 기술의 현황을 파악하려고 나온 이들의 눈에 띄었던 것이다. 미국 관계자들은 김
교수
연구단의 발표에 매료돼 즉석에서 연구비 지원을 제안했다고 한다. 단순한 현상에서 색다른 발상으로 이어진 아이디어가 전세계에 주목을 받게 된 셈이다 ... ...
이전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