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을 감동시킨 과학자 황우석
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19
만나 생명과학자로서의 삶이 얼마나 중요한지 설명해주는것도 다 그런 이유 때문이죠.
교수
님 자신이 어린시절 '모든 사람이 잘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겠다'는 꿈을 가지고 생명과학에 헌신한 것처럼 지금의 우리 어린이들도 과학의의미와 보람을 깨닫길 간절히 바라고계신답니다 ... ...
황산보다 100만배 강한 '슈퍼 산' 합성
과학동아
l
200412
카보란산의 구조를 보면 탄소와 11개의 붕소 원자가 꼭지점에 위치하는 정20면체다. 리드
교수
는 “이 구조는 원자들이 가장 안정한 상태로 존재하게 한다”며 “카보란산은 석유정제나 제약 등 많은 분야에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태양흑점 주기 농작물 생산 좌지우지
과학동아
l
200412
하이파대 천체물리학자인 레브 푸스틸닉
교수
와 농업경제학자인 그레고리 욤 딘
교수
는 20세기 미국의 밀 가격이 태양흑점 주기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했다.이들은 과학기술이 발달해 농작물이 불리한 기후 조건에서도 더 잘 자라고, 농작물 시장 자체가 세계화 됐으며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 ...
집먼지진드기는 춥고 눅눅한 걸 좋아해
과학동아
l
200412
사는 집먼지진드기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해충이다.영국 런던대 마셀라 우치
교수
팀은 집먼지진드기의 생태를 조사한 결과 이 녀석들이 온도는 낮고 습도는 높은 환경을 좋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온도와 습도가 다양한 환경을 만들어놓고 집먼지진드기의 이동 경로를 추적했다 ... ...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12
국내 최초로 두 다리로 걷는 인간형 로봇 ‘KHR-2’를 개발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오준호
교수
는 우리나라 두 발 로봇 기술을 이렇게 평가했다.키 120cm, 몸무게 54kg의 KHR-2는 두 다리로 사람처럼 부드럽게 걷는다. 연구팀은 로봇에게 걸음마를 가르치기 위해 사람이 걷는 모든 동작을 저속 카메라로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12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일본 신슈우대 생물학과 타카히로 아사미
교수
팀은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는 껍질을 가진 달팽이에서 시계반대방향의 껍질을 갖는 돌연변이체가 태어날 경우 자라서 제대로 짝짓기를 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짝짓기를 하려면 생식기가 서로 맞물려야 ... ...
패스트푸드, 비만의 주범?
과학동아
l
200412
것이다.그렇다면 패스트푸드의 ‘천국’에 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뭘까. 최영선
교수
는 “소비자가 적절한 열량을 섭취할 수 있도록 정보가 충분히 주어져야한다”면서 “패스트푸드에도 당연히 영양표시가 필요하다. 이는 상당수 영양학자들이 동의하는 부분”이라고 밝혔다. 영양표시를 ... ...
B형 남자는 바람둥이?
과학동아
l
200412
피가 엉겨버린다. 이것이 A형과 B형이 서로 수혈할 수 없는 이유다.울산대 의대 권석운
교수
는 “사람의 피와 미생물 사이에서도 비슷한 일이 일어날 수 있다”며 “미생물 중에는 사람과 똑같은 혈액형을 갖고 있는 것도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B형의 피에 침입한 A형 미생물을 생각해 보자. 피 ... ...
고전물리학 고집한 현대물리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412
발견했다는 기쁨도 잠시 뿐이었다. 얼마 후 PTR의 오토 룸머와 베를린대 실험물리 조
교수
인 에른스트 프링스 하임이 실험을 통해 높은 온도의 긴 파장에서는 빈의 공식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이는 빈의 공식을 이론적으로 유도해낸 플랑크의 일반 공식이 틀렸다는 얘기였다 ... ...
어디서나, 누구나 컴퓨터를 입는다
과학동아
l
200412
의료정보시스템과 정기삼
교수
와 스타일리스트과 이현미
교수
가 담당했다. 이
교수
는“먼저 각 장치의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고 옷에 붙였을 때 입는 사람이 불편하다고 느끼지 않도록 디자인하는게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다 ... ...
이전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