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토종’ 개발아쉽게도 우리가 먹는 돼지와 닭의 부모는 대부분 외국에서 사오고 있다. 미국,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같은 나라가 이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재래돼지나 재래닭의 복원과 보존에 힘쓰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하지만 굳이 ‘토종’만 고집할 필요는 없다. 재래돼지와 재래닭이 가장 ...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조치하기 쉬운 게 해열제 투여다 보니, 남용이 심한 것이다. 세균감염 위험 먼저 살펴야미국이나 영국 등에서는 열에 대한 지나친 공포로 해열제를 잘못 써서 발생하는 피해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NICE는 “해열제 자체로는 열성경련을 막을 수 없다. 열성경련 예방을 목표로 해열제를 사용하지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프로테옴 연구에서 한국의 힘을 과시했다.앞서 소개한 팬디 교수팀의 연구도 김민식 미국 존스홉킨스대 박사가 제1저자로 연구를 이끌었다. 행콕 교수는 “한국인 과학자의 리더십과 추진력, 협력하는 능력이 젊은 과학자들의 뛰어난 역량과 결합하면서 C-HPP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 ...
- [fun] 다른 곳에는 없는 독특한 과학책과학동아 l2014년 11호
- ” 문화가 한 번 스며들면 그 뒤에는 알아서 찾게 된다. 번역판이 잘 팔리지 않는 미국에 과학만화 시리즈를 출판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문화상품은 계속 퍼트려야 한다.취재를 끝내고 나서는 기자의 눈에 불그레 변해가는 도봉산의 모습이 들어왔다. 새 잎이 나고 단풍이 들고 낙엽이 지듯이 ... ...
- 수달 VS 해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깨 먹을 수도 있지요. 뒷발은 넓적하고 길게 생겼답니다. 해달은 러시아와 알래스카, 미국 주변의 일부 바다에 살아요. 낮에 활동하기 때문에 바다 위, 암초, 빙하 위에서 자주 볼 수 있어요. 해달은 주둥이가 튀어나와있는 수달과 달리 머리와 몸 전체가 둥글둥글해서 둘을 구분할 수 있답니다 ... ...
- 햇빛 먹고 전기 만드는 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미래에는 햇빛으로 전기를 만드는 도로가 나올 전망이에요. 미국 전기엔지니어인 스콧 브루소는 도로에서 전기를 만들어 가로등이나 신호등을 밝히는 것은 물론, 가정으로 전기를 보내줄 수 있는 ‘태양광도로’를 개발했어요. 태양광도로는 태양전지판 위에 육각형으로 생긴 강화유리를 얹어 ... ...
- Part 2 테러리스트 검거, 데이터 분석이 책임진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위험이 되는 데이터를 모두 수집한 뒤 테러 위험이 어느 정도나 되는지 측정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9·11테러 이후 국토안보부를 중심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해 테러를 예측하는 동시에 금융 거래를 감시해 테러 자금도 찾고 있다.데이터 마이닝의 5가지 기법➊ 분류 : 정의를 통해 특정한 집단으로 ... ...
- [생활] 축구 선수의 팀 기여도 네트워크 분석으로 측정한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문제가 있다.네트워크 분석으로 축구 선수를 평가한다!2010년 루이스 아마랄 미국 노스웨스턴대 생화학과 교수팀은 축구 경기에서 선수 개개인의 기여도를 객관적으로 분석한 연구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유로 2008 경기 자료를 바탕으로 대회에 참가한 모든 선수들을 분석해 팀에 많이 공헌한 선수 2 ... ...
- [과학뉴스] ‘무서운 손’ 공룡, 50년 만에 정체 밝혀져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10월 24일, 이융남 지질박물관장이 이끄는 한국, 미국, 일본, 몽골 공동연구팀이 데이노케이루스의 전체 골격 화석을 거의 완벽히 복원하고 그 생태까지 밝혀냈다고 발표했다. 데이노케이루스는 1965년, 폴란드와 몽골 국제공룡발굴팀이 몽골 고비사막 남부 알탄 울 지역에서 ... ...
- [과학뉴스] 다이아로 반지? 이젠 뇌에 꽂아야지!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용해 센서의 내구성을 높이고 뇌신경 전달물질의 측정 성능을 높인다.이 기술은 현재 미국 메이요병원 신경외과 캔달 리 교수팀과 장동표 한양대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한국 연구자가 브레인 계획 6대 최우선 연구 과제에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이전5815825835845855865875885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