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겨울 한파 미스터리 풀렸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기온이 더 내려가며 한파가 찾아왔다. 하지만 관측 기간이 너무 짧았다. 이 때문에 미국해양대기청(NOAA)에서 개발한 3차원 대기순환 모형을 도입해 시뮬레이션 실험을 했고 같은 결과를 얻었다. 또 이 실험을 통해 북극 상공의 기압이 증가하면서 극 소용돌이가 약해진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복잡한 이름을 붙였을 뿐이다. 뭐 측정하면 그냥 그렇게 된다는 것이다. 끝! 18세기 미국 남부의 한 백인 소년이 “왜 흑인은 노예로 살아야하죠?” 물었는데, “흑인이 노예인 것은 우주의 섭리야. 입 닥치고 공부나 해!”라고 답하는 거랑 비슷하다. 실제 ‘입 닥치고 계산(Shut up and calculate)’이나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얼굴이 섞여 있다. 여기에 다문화 가정이 늘어나면서 다양성은 점점 늘어가고 있다. 미국에서는 방송 등에서 이러한 다양성 을 의무적으로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아마 오래지 않 아 한국에서도 비슷한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진화, 천의 얼굴을 빚다PART 1. 인류의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내가 예상치 못했던 제3의 충격을 겪었다고 발표했다. 이 충격은 쓰나미에 비유됐다. 미국 칼텍 천문학과의 에드 스톤 박사는 발표에서 “성간공간은 보통 평온한 호수와 같지만, 태양에서 큰 폭발이 일어나면 충격파로 일렁인다”고 말했다. 이 충격파는 태양에서 폭발이 일어난 지 1년 뒤에 내게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깊어깜빡깜빡 잘 잊고 산만하기 그지없는 노인의 뇌에는 사실 굉장한 능력이 숨어 있어.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의 연구팀이 40년 동안 6000명의 인지 능력을 조사한 결과, 40~60대의 중·노년층 사람들은 어휘력이나 단어를 기억하는 능력, 공간을 인식하는 능력, 상황을 파악하고 결론을 이끌어 ... ...
-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아빠의 자녀가 훗날 공부도 잘하고, 성공적인 사회생활과 결혼생활을 했답니다.또 미국 뉴스쿨대학교 심리학과 하워드 스틸 교수가 100쌍의 부모를 대상으로 조사를 했어요. 그 결과, 1~6세 때 아빠가 자주 목욕시킨 아이들의 3%만이 10대가 돼서 친구를 사귀는 데 문제를 겪은 반면, 아빠와 목욕한 적이 ... ...
- 수학 유전자를 찾아라! 아인슈타인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4년 10호
- 가운데 다른 사람과 차이가 나는 부분을 일컫는다.수학 유전자 찾기의 문제점과 한계는?미국과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수학 유전자 찾기 프로젝트를 두고 많은 유전학자들은 의미 있는 성과를 내지 못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이런 연구를 하는 것만으로도 비난 여론이 거세다. 그 이유는 ... ...
- 비정상 회담 한국어 유창한 G11 비정상인가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최근 한국어가 수학을 배우는 데 영어보다 유리하다는 결과가 미국에서 나와 화제였다. 미국 노스웨스턴대와 텍사스 A&M대학 연구팀은 영어로 숫자를 셀 때 사용하는 언어가 24개 이상인 반면, 한국어로 수를 세는 데에 필요한 단어는 10개에 불과하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하지만 전문가들은 이견이 ... ...
- [만화뉴스] 지렁이의 전진, 수학으로 설명하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그런데 최근 지렁이의 움직임이 기존의 생각과는 다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하버드대 파올로 파올레티 교수와 그의 동료 마하드반 교수는 지렁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새로운 수학 모델을 고안해냈다. 이 모델은 기존의 ‘중앙 패턴 발생기(CPG)’ 모델로는 설명할 수 없었던 ...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수학동아 l2014년 10호
- 가드너가 1963년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11월호 칼럼에 소개해 화제가 됐다. 마틴 가드너는 미국 버클리대의 수학자 라파엘 로빈슨의 문제를 소개하면서 최소 31개의 이쑤시개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2달 뒤, 44명의 독자들이 27개의 이쑤시개로도 견고한 정사각형을 만들 수 있다고 제보했다. ... ...
이전5835845855865875885895905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