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위대한 역사의 비밀 수학을 사랑한 王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때 우리나라 고유의 역법이 만들어졌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시차가 생기기
시작
했다. 정조는 역법을 연구하는 관리에게 1777년부터 100년 동안, 천문과 절기를 예측하는 책을 만들게 했다. 결국 5년간의 작업 끝에 87년간의 절기를 예측한 을 편찬한다.정조는 세종대왕이 그랬던 것처럼 ... ...
Part 4. 검은 태양이 유혹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다시 브리즈번 공항으로 가서 국내선을 타고 케언스로 이동했다. 본격적인 일식 탐사가
시작
되었다. 이번 일식은 육지에서 볼 수 있는 지역이 한정돼 있어 호주 북동부 해안에 있는 케언스로 세계 각지의 일식 관측자들이 한꺼번에 몰려들었다. 원정대는 케언스에 도착해 숙소를 정하고 가까운 ... ...
수학 생각만으로 뇌는 이미 ‘고통’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피하려는 경향을 보였다.지안 교수는 “수학 불안도가 높은 사람의 뇌는 수학 공부를
시작
한다는 생각만으로도 화상에 의한 고통을 경험할 때와 같이 반응한다”며 “수학 불안을 다른 공포증과 동일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그러나 다행히도 수학 불안감이 수학 성취도 저하로 직접 ... ...
[knowledge] 하늘에서 땅끝까지, 식물과 달리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더 큰 이익을 주고 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이중구 해외생물소재허브센터장은 “연구의
시작
부터 최종단계까지 중국 농업과학원과 긴밀한 관계를 갖는 국제 프로젝트”라며 앞으로 더 좋은 연구 결과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보였다. 생명연은 중국 쿤밍 뿐만아니라 코스타리카 헤레디아(2008), ... ...
내 머릿속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않는 소형 심부뇌자극 임플란트 장치가 개발됐다. 이 장치는 최근 휴대전화에도 쓰기
시작
한 무선전력전송 기술로 충전한다. 2주에 한 번씩 2시간 동안 전력 전송 안테나에서 일정한 거리 안에 머무르기만 하면 충전이 완료된다. 덕분에 임플란트 시스템의 크기와 무게가 많이 줄어들기는 했다. ... ...
단백질 어떻게 보시나요? 3D로 봅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문득 미세한 단백질의 구조를 어떤 방법으로 이리 상세하게 볼 수 있는지 궁금해지기
시작
했다.우리나라에 단 1대 뿐인 ‘모스키토’옆 실험실에서 현미경을 닮은 커다란 실험기구를 찾을 수 있었다. 혹시 저 기구가 단백질 구조를 속속들이 들여다 볼 수 있는 초고배율 현미경일까. 실험기구의 ... ...
Part 1 . 2013년, 태양은 과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대해 더 잘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태양폭풍을 감시하고 예보할 수 있는 시스템은 아직
시작
단계다. 우리나라에서는 천문연이 2007년부터 우주환경예보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플레어 발생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흑점을 꾸준히 관측한다. 이 연구원은 “현재 적중률은 60~70% 정도”라고 밝혔다. 흑점의 ... ...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태양광 공장의 발단은 물을 태양광을 이용한 광분해로 산소와 수소를 얻으려는 시도에서
시작
됐다. 분리한 수소는 수소자동차나 연료전지 등에 활용한다. 그런데 현실 세계에서 수소자동차를 구경하기는 어렵다. 수소가 너무 비싸기 때문이다. 아직은 수소라는 청정에너지를 얻기 위해 전기 ...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서기관이 달력을 계산하기 위해 칠판처럼 쓰던 곳”이라며, “장기력에서 말하는 ‘재
시작
주기’는 현대인이 쓰는 ‘년(年)’처럼 천체 관측을 토대로 만든 달력 단위일 뿐 세계 멸망을 뜻하는 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현대인의 달력이 12월 31일이 되면 한 해(년)가 끝나지만, 그것으로 세상이 ... ...
“성공은 ···· 기다림에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사실이 밝혀졌다. 이 단장은 “비신경세포가 신경세포를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 치매가
시작
되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고 있다”고 말했다.연구자가 창의력을 발휘하려면 기다릴 줄 아는 여유가 필요하다는 이 단장에게 짖궂게 “너무 여유를 주면 게으름을 피우는 과학자도 많이 생길 수 있다”고 ... ...
이전
584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