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네마 키드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지금이나 문제군요. 그나저나 잔상효과를 이용한 소마트로프 같은 조그만한 장난감에서
시작
한 영화가 이렇게 발전하게 될 줄 에디슨은 상상할 수 있었을까요. 같은 발명품도 에디슨과 뤼미에르처럼 그 의미를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서 결과가 완전히 달라지는 것 같아요 ... ...
Bridge. 달갑지 않은 늑대가 되돌아와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캐나다 앨버타주나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 사는 늑대를 옐로스톤에 들여와 방사를
시작
해 야생 늑대가 복원됐다.복원 효과늑대가 없었을 때는 이 일대에 엘크나 순록 등 우제류가 지나치게 늘어나 어린 버드나무나 사시나무가 사라졌다. 먹이가 부족해지자 병든 우제류가 늘어났고 사체를 처리하지 ... ...
Part 4. 우리 함께 살 수 있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먹이주기 활동을
시작
했다.1966년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두루미 먹이주기 활동이
시작
돼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 주민들의 환영이 인간과 두루미가 공생하는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두루미 먹이주기는 매년 10월부터 3월까지 이뤄지는데, 매월 약 9t의 옥수수를 공급한다. 이 놀라운 결과는 연구자들과 ... ...
농사는 인류를 부자로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몸의 크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팔뼈나 다리뼈의 길이를 재봤더니, 농경을
시작
한 집단에서 오히려 더 작았습니다. 몸집이 왜소해진 것입니다. 역시 굶주림과 영양 실조 때문이라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농경은 어떤 면에서 한 회사 주식에 ‘올인’하는 주식투자와 비슷합니다. 대박이 ... ...
“절대 공부하는 척만 하지 않아야”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공부해야겠다 싶었어요.”수학 성적이 2학년 때 3등급까지 떨어졌지만 이렇게 공부하기
시작
하면서 조금씩 예전의 재미를 다시 느꼈다. 그리고 교내 수학경시대회에서 상을 받으면서 자신감도 회복했다.“자신감이 정말 중요해요. 작은 상이 저에겐 자신감 회복의 기회가 됐어요. 그러니 공부가 ... ...
수학으로 수놓는 가을밤 불꽃놀이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불꽃 연출의 비밀은 삼각비?10세기경 중국에서부터
시작
된 불꽃놀이는 주로 축제에서 흥을 돋우는 데 쓰였다. 하지만 특별한 모양보다는 형형색색으로 빛나는 불꽃의 아름다운 모습을 즐기는 것이 전부였다. 그러다 점차 불꽃의 모양을 다양하게 연출하면서 불꽃놀이에도 수학이 필요하게 됐다 ... ...
수학쌤의 이중생활 영화를 꿈꾸다!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삼행시 인터뷰 안 슬 기 감 독 님 작품 중에 수학을 주제로 한 것도 있나요?처음 영화를
시작
할 때는 영화와 수학을 철저히 분리시켰어요. 그런데 어쩔 수 없이 시나리오에 묻어나더군요. 하루 종일 부딪히는 것이 수학과 학생들이니까요. 아직 영화화 된 작품은 없지만 제가 쓴 시나리오 중에는 ... ...
영상의학,수학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생략할 수 있다.왼쪽의 사이노그램을 살펴보자. 이 사이노그램의 세로축에는 0°로
시작
해 아래로 내려갈수록 180°까지 표시돼 있다. 각 각도마다 가로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 그래프의 높이를 명암으로 시각화 한 것이다. 흰색에 가까울수록 X선의 에너지 흡수가 많이 일어났다는 뜻이다. ... ...
황금의 수, 18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수 있다. 18을 통해 어떤 이야기들을 찾아볼 수 있을지 기대하면서 11월의 숫자 여행을
시작
해 보자.제1코스 블링블링, 18K의 비밀황금빛 광택이 나는 금은 고대로부터 지금까지 사람들이 가장 귀하게 여기고 좋아하는 귀금속이다. 기원전 3000년 경 메소포타미아인들은 금으로 만든 투구를 사용했으며, ... ...
짧고 굵게 집중하면, ‘원’도 문제없어!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대신 3.14를 사용해요. 그러나 중학교에서는 원주율이라는 무리수를 $π$로 표현하기
시작
합니다. 이 때 무엇보다 $π$의 정의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죠.중학교 1학년 때는 원 또는 일부의 둘레와 넓이를 구하는 것을 중심으로 배워요. 이때 학생들은 답을 쓸 때 ‘꼭 $π$를 붙어야 하는지’에 ... ...
이전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