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354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세포 역분화 스위치 첫 규명
2014.12.11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생성 기전을 밝히고 이와 함께 F-클래스 유사만능줄기세포의
존재
를 규명했다”며 “앞으로 F-클래스 유사만능줄기세포의 생산 효율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후속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같은 날 서 교수 연구팀은 국제 공동 연구진과 함께 유도만능줄기세포 ... ...
사람만 죽이는 장티푸스 균, 도대체 왜?
2014.12.10
세포에는 특정 효소(CMAH)가 이 당 분자의 구조를 바꿔 ‘글리콜뉴라민산(Neu5Gc)’으로
존재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문제는 아세틸뉴라민산이 있는 세포에는 장티푸스 균이 잘 달라붙는다는 점이다. CMAH 효소가 있는 동물은 표면의 구조가 바뀌어 장티푸스 균이 달라붙지 못했다. 실제로 사람의 ... ...
우리 몸에 이로운 미생물이 있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4.12.10
이해가 필요하다. 우리 몸에는 많은 미생물이
존재
하고, 몸 밖에는 더 많은 미생물이
존재
한다. 일반적인 환경뿐만 아니라 100도가 넘는 온도에서 살거나 뼈를 녹일 정도의 산성도가 높은 극한 환경에서 사는 미생물도 있다. 서울대학교 천종식 교수는 서울 정독도서관에서 ‘융합 기술로 바라본 ... ...
NASA “화성에 수백만년 동안 물 있었다”
동아일보
l
2014.12.10
시상식 패션 [관련 뉴스] - NASA “화성에서 물 발견” 공식 확인 - 화성서 생명체
존재
했을 민물호수 흔적 발견, ‘놀라워’ - 화성에도 눈이 나풀나풀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 ...
성체줄기세포만 쏙쏙 찾는 기술 나왔다
2014.12.09
표지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허 연구원은 “몸속에 극소수로
존재
하는 성체줄기세포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기술을 개발한 만큼 성체줄기세포를 대량배양해 질병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세포사멸과 질병’ ... ...
A형 독감예방 주사 한 대 맞았을 뿐인데…
2014.12.09
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인플루엔자 아형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항체를 가진 참가자도
존재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독감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이 같은 항체를 가진 사람이 없었다. 토마스 연구원은 “감염된 적이 없는 다양한 아형 인플루엔자에 대한 항체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회사인 셈이다. 그렇다면 흉선에 있는 오래 된 줄기세포들은 정말 더 이상 쓸모없는
존재
들일까. 면역세포인 T세포는 골수에서 공급된 줄기세포(전구세포)가 흉선에서 분열, 분화해 공급된다. 이때 골수에서 온 줄기세포는 흉선에 있던 줄기세포와 세포경쟁을 벌여 그 자리를 차지한다(왼쪽). ... ...
노인폐렴, 기침 등 초기증상 안보여 더 위험
동아일보
l
2014.12.08
환자가 기침할 때 튀는 분비물에 의해 전파된다. 이 균은 평소에도 코와 목의 점막에 늘
존재
한다. 환절기에 몸의 면역력이 약해지면 이 균이 혈액이나 뇌수막에 침투해 ‘패혈증’ ‘뇌수막염’ 등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킨다. 특히 겨울에는 감기에 걸려 기침을 하면서 기관지와 폐점막이 손상을 ... ...
한국판 스미스소니언박물관, 민자연사연구소
2014.12.04
표본을 빠짐없이 모으는 데 애를 썼습니다. 그래야 박물관을 찾으시는 분들이 지구상에
존재
하는 모든 종류의 광물을 보고 갈 수 있으니까요.” 실제로 미국 스미스소니언박물관, 영국 자연사박물관 등 유명 박물관을 가도 250종의 광물을 모두 보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국내 ... ...
전원 꺼져도 정보 보존되는 ‘강유전체’ 수수께끼 풀려
2014.12.03
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또 연구진은 강유전체와 전극 사이에
존재
하는 양자역학적 에너지 장벽의 차이 때문에 거대전극효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상부전극에 어떤 물질을 쓰느냐에 따라 전자가 강유전체를 통과하는 양자역학적 흐름이 크게 달라진다는 것이다. ... ...
이전
584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