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354건 검색되었습니다.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몸 안에서 어떤 일을 벌이고 있는가가 하나둘 밝혀지면서 생각 이상으로 골치 아픈
존재
임이 밝혀지고 있다. 물론 최근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처럼 우군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생로병사에서 본격적으로 노(老)의 단계에 들어간 필자로서는 게놈 속에 잠자는 개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게 ... ...
나치가 원자폭탄을 먼저 개발했다면…
2015.01.11
보이는 반면 뇌의 움직임은 우리 눈에 즉각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내’가 ‘나’로
존재
할 수 있는 기묘한 이유를 뇌 속 여행기를 통해 알아보자. 지브레인 제공 ◆ 힉스 입자 그리고 그 너머 (리언 레더먼, 크리스토퍼 힐 著, 지브레인 刊) 힉스 입자는 고대 그리스의 데모크리토스가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2015.01.11
교훈을 얻을 수 있다. 관측의 주체는 인간이 아니라는 거다. 아니 지능을 가진 어떤
존재
도 아니다. 풀러렌이 공기분자와 부딪혀서 어느 슬릿을 지났는지 ‘우주’가 원리적으로 알 수 있으면 관측이 일어난 것이다. 이와 같은 관측을 물리학자들은 ‘결어긋남(decoherence)’이라 부른다. ... ...
남한 곳곳에 北 땅굴 있다고? 그건 ‘거짓말’
2015.01.09
전파 감지기(수신기)를 넣는다. 송신기에서 보낸 전파를 수신기가 받아 분석해 땅굴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하는 전파는 40~100메가헤르츠(MHz) 대역으로 휴대전화와 FM 라디오의 중간 정도다. 핵심은 전파의 속도다. 송신기와 수신기를 땅 위에서 바닥까지 20cm 간격으로 움직이면서 ... ...
원시인은 식인종?
2015.01.07
것도 바로 이웃의 아라와크 족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식인종은 인류 역사상 전혀
존재
한 적이 없는 걸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실제로 식인 풍습을 지닌 종족이 발견됐거든요. 파푸아 뉴기니에 살고 있는 포레 족입니다. 포레 족은 1940년대까지 외부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파푸아 뉴기니를 ... ...
“제 2의 지구, 이름이 뭐예요?”
동아사이언스
l
2015.01.06
蝕) 현상을 이용했다. 모성 앞을 행성이 지나면 모성의 밝기가 어두워지므로 외계행성의
존재
를 짐작할 수 있다. 지난해 방영된 SBS드라마 의 도민준(김수현 역)의 고향인 행성 역시 이같은 방법으로 이름이 붙여졌다. 이 외계행성의 이름은 'KMT184.05'로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준비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물리학자들은 “무한은 수학적 완결성을 위해 필요한 개념이지만, 물리 세계 어디에도
존재
하지 않는다”는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의 말을 유념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글 말미에 필자들은 학술지 편집자들에게 당부의 말을 남겼다. 즉 실험적으로 테스트할 방법이 없는 사변적인 연구결과들은 ... ...
두 얼굴의 양자역학
2015.01.04
이 말을 하면 내 앞에 있는 사람들이 동시에 이 소리를 듣는다. 파동은 여기저기 동시에
존재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동심원을 그리며 퍼져나가기 때문이다. 전자가 여러 개의 줄무늬를 보였기 때문에 파동이라고 한다면, 두 개의 구멍을 동시에 지났어야 한다. 실제 물리학자들은 전자가 두 ... ...
드디어 나왔네요, 인터스텔라의 과학
2015.01.04
한 가지 사명이 있었다”며 “그를 그저 교과서에 간략하게 기술되고 마는 익명의
존재
로 머물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고 밝혔다. 그의 이름은 헨리 구스타브 몰레이슨(Henry Gustav Molaison)이다.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3쪽자리 논문에서 시작된 100년의 혁명
2015.01.02
처음 검출되면서 세계적으로 화제가 된 중력파 역시 일반상대성이론이 옳다면 반드시
존재
해야 한다.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을 맞아 미국과 유럽은 각각 중력파 관측 프로젝트인 ‘라이고(LIGO)’와 ‘버고(VIRGO)’를 통해 본격적으로 관측을 시작한다. 오정근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은 ... ...
이전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