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354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릴라가 오랑우탄보다 ‘주당’인 이유
과학동아
l
2015.01.26
분해하는 효소인 ‘ADH4’ 유전자를 비교해 사람과 침팬지, 고릴라에게 공통적으로
존재
하는 변이를 찾는 데 성공했다. ADH4 유전자의 294번째 아미노산이 알라닌에서 발린으로 바뀌어 있었는데, 이렇게 변이된 유전자는 변이되지 않은 유전자에 비해 알코올 분해 능력이 40배 높았다. 1200만~1300만 년 ...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운석이 알려주는 지구의 비밀
2015.01.25
이 운석은 액체상태의 감람석이 고체상태인 철과 니켈 합금 속에 들어 있는 형태로
존재
하다가 서서히 굳어서 지금과 같은 모습이 만들어졌다. 학자들에게 이 운석이 특별한 이유는 지구 자기장의 형성 원리를 설명하는 ‘다이나모 학설’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제임스 ... ...
IS 대원이 되고 싶은 김 군의 뇌 구조는?
2015.01.23
하거나 범죄를 저질러도 다치거나 잡히지 않는다고 믿는다. 때로는 스스로 고독한
존재
를 자처하며 자기 감정에 깊숙이 빠져들기도 한다. (중략) 일부러 남들이 잘 모르는 특이한 문화를 즐기며 ‘나는 남보다 먼저 이들의 진가를 알고 있다’는 식으로 행동하는 것이다. 소수의 진실을 아는 사람을 ... ...
‘슈퍼지구’ 내부는 이렇게 생겼구나
2015.01.23
시작했다. 밀로 박사는 “슈퍼지구 내부에 암석이 녹아 만들어진 ‘마그마의 바다’가
존재
할 수 있다는 뜻”이라며 “슈퍼지구의 지각 바로 아래 맨틀과 그 아래 핵 사이의 경계면이 이런 상태일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까지 우리 은하에서 발견된 외계 행성은 1000개가 넘는다. 밀로 박사는 ... ...
요즘 드라마 ‘남주’는 왜 다 ‘다중인격’일까
2015.01.23
환자는 특별한 외부 자극이 없어도 인격이 시시때때로 바뀔 수 있다. 보통 주된 인격이
존재
하며 나머지 인격은 이와 상반된 성격인 경우가 많다. 김 원장은 “다른 인격이 한 일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자신을 ‘우리’라고 칭하며 다른 인격까지 기억하는 경우도 있다”고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루게릭병으로 불리는 근위축성 측상경화증, 뇌손상이나 뇌병변 등 세상엔 수많은 질환이
존재
한다. 청각이나 시각 같은 감각기능은 정상적으로 살아 있으면서도, 운동기능과 언어기능을 상실하면 감금증후군 환자가 된다. 세계적인 이론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과 영화 ‘슈퍼맨’의 주인공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
2015.01.19
그 중간 어디쯤에 적중확률의 희생은 적으면서 오경보확률이 낮은 최적의 역치가
존재
한다. 예를 들어 수치가 50일 때 적중확률이 0.7, 오경보확률이 0.4라면(찍는 경우에는 0.7) 양 극단보다 이 지점을 병에 걸린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는 게 ‘통계적으로’ 비용 대비 이익이 가장 크다는 ... ...
“그녀가 날 사랑하도록 프로그래밍했나요?”
2015.01.18
사실을 알게 된다. 시간이 흐를수록 칼렙은 자신을 부른 네이든은 물론 자기 자신의
존재
조차도 제대로 믿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 칼렙은 과연 에이바의 인격이 잘 짜여진 프로그램의 결과인지, 아니면 진정한 인공지능인지 구분할 수 있을까. 자연스러운 대화는 물론 수 만 명의 남성들과 ... ...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
2015.01.18
나오면서 상황은 미묘해진다. 양자역학적으로는 전자 하나가 여러 장소에 동시에
존재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호 글을 바탕으로 간단한 쪽지 시험을 보자. 사진을 찍었더니 A라는 장소에서 전자가 발견되었다. 사진을 찍기 바로 직전에 전자는 어디에 있었을까? “그야 당연히 A 아닌가?”라고 ... ...
뇌 건강해야 심장도 튼튼… 돌연사 막으려면 뇌 건강 살펴라
2015.01.13
않거나 약하게 반응했다. 또 연구진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심장세포의 표면에
존재
하는 BDNF 단백질 수용체가 건강한 심장세포와 그렇지 않은 세포에서 조금 다르다는 사실 알아냈다. 이 수용체는 BDNF 단백질이 내보내는 화학신호를 세포 안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단백질 수용체는 ... ...
이전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