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354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인원에서 인간으로 진화시킨 ‘뇌확장 유전자’ 찾았다
2015.03.01
뇌가 커지며 인간 뇌처럼 주름이 생긴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유전자의
존재
유무가 인간과 유인원이 진화상 다른 길을 걷게 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며 “인간의 뇌를 거대하게 만든 가장 중요한 유전자를 찾아냈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사이언스’ 2월 26일자에 ... ...
스트레스 유발요인 6가지… 너저분한 공간, 산만하게 만든다
동아닷컴
l
2015.02.27
만든다. 주변을 최대한 정돈하고 지내는 게 바람직하다. 두번째는 신경질적인 동료의
존재
다. 주변에 신경이 예민한 동료가 있으면 자신도 그와 비슷한 행동을 하게 된다. 동료의 예민함이 자신에게 전이되기 때문으로 이렇게 되면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세번째는 소셜미디어에서 ... ...
“누구나 ‘가슴’ 하면 그녀를 떠올릴 수밖에”
2015.02.27
영국 과학전문지 ‘네이처’가 1997년 2월 27일자에 게재한 논문에 등장, 세상에 그
존재
를 공식적으로 알리게 됩니다. 바로 ‘세계 최초 복제동물’이란 타이틀로 말이죠. [좌] 복제양 돌리를 향한 매스컴들의 취재 열기, [우] 네이처 1997년 2월 27일자 표지 - 영국 로슬린연구소, 네이처 제공 사실 ... ...
“우주의 지름길 웜홀, 언젠가 인류가 만들 날 올겁니다”
동아일보
l
2015.02.25
다룬 영화 ‘콘택트’ 제작 때도 자문역을 맡았다. “광대한 우주를 볼 때 외계인이
존재
한다고 믿는 편이에요. 인류보다 기술적으로 진보된 문명이 있을 겁니다. 다만 행성 간 거리가 너무 멀어 향후 수세기 동안 인류가 외계 문명을 만나는 상황은 일어날 것 같지 않아요.” 과학소설을 읽으며 ... ...
2㎛ 몸 속에 2mm 염색체, 어떻게 들어있을까
2015.02.23
있었지만 근본적인 물리학적 근거가 필요했다. 연구진은 DNA가 세포 내에 다양하게
존재
하는 다양한 크기의 단백질 입자가 움직일 수 있도록 자신의 몸을 최대한 응축시키는 ‘디플리션 효과’를 확인했다. 복잡한 방 안에서 탁자 등을 한쪽 벽으로 밀어 붙여 가족들이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 ...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
2015.02.23
한 1981년 논문에 나와 있는 실험과 같은 패턴이다(유인원이 사람보다 좀 더 ‘합리적’인
존재
라 프레임에 따른 차이가 적은 걸까?). 이런 경향은 보노보냐 침팬지냐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성별에 따른 차이는 있었다. 즉 수컷인 경우 프레이밍 효과가 더 컸고 암컷은 프레임의 영향을 받지 ... ...
숙녀의 변비약은 어떻게 탄생했나
2015.02.22
위대한 발명들의 뒤편에 숨겨진 인간적인 발명가들과 함께 더 인간적인 우연과 착오가
존재
한다는 사실을 들춘다. 가령 중·고등학교 과학실험 시간에 한 번쯤은 접해봤을 홍자색 염료 ‘페놀프탈레인’이 설사약으로 쓰이게 된 과정이 흥미롭다. 지독한 병충해로 포도 농사를 망치는 일이 2 ...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2015.02.22
않고 물리량을 확실히 예측할 수 있다면 이 물리량에 대응되는 물리적 실재의 요소가
존재
한다.” 표현이 까다롭다. 측정과 관련한 양자역학의 기묘한 특성을 의식하며 정의했기 때문이다. 양자역학은 측정하기 전까지 결과에 대해 아무것도 알 수 없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면 이렇다. 당신 앞에 ... ...
양자를 훔친 악동들
2015.02.15
확신이 들면서 깊은 경외감을 느꼈다. 원자의 내부에 기묘하고도 아름다운 질서가
존재
했던 것이다. 온갖 수학으로 장식된 경이로운 자연이 자신의 모습을 보여줬다는 것 자체가 나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기쁨이었다.” _하이젠베르크 ● 세계대전과 함께한 물리 혁명 토고의 아인슈타인 동전 - ... ...
이종사촌-친사촌, 누가 나를 구해줄까?
2015.02.13
이모의 자녀인 반면 친사촌은 아빠, 삼촌으로 이어지는 불확실한 연결 고리가 두 개나
존재
하는 관계”라고 설명했다. 흥미롭게도 한국인들은 이종사촌 다음으로 친사촌이 2위를 차지했다. 전 교수는 “우리나라는 명절에 친가에 모이는 문화가 있다”면서 “외가보다 친가 친척과 오랜 시간을 ... ...
이전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