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353건 검색되었습니다.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있다. 연구자들은 좀 더 정교한 실험방법으로 인간의 혈중 이리신 농도를 측정했지만
존재
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 사람뿐 아니라 운동을 상징하는 동물인 말의 혈액에서도 이리신이 없었다고 한다. 아직 결론이 나지는 않았지만 이 정도면 2009년 만성피로증후군 논문의 전철을 밟을 것 ... ...
‘사이코패스’가 말하는 사이코패스
2015.03.22
존재
가 부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의가 불분명할 뿐 정신의학계에서도 사이코패스의
존재
를 대체로 인정하고 있고, 일반인과 사이코패스를 구분 짓는 생리의학적인 특징을 찾기 위한 연구 또한 진행 중이다. 뇌의 여러 곳 중 사이코패스와 관계가 깊을 곳으로 의심 되는 곳으로는 전두엽이 있다. ... ...
해부학, 이제 스마트폰으로 공부하세요~
2015.03.22
좋아서 자기 몸길이의 50배나 되는 거리를 뛸 수 있다. 새 책 ‘상상하기 어려운
존재
에 관한 책’에는 미스타케우스처럼 사람들이 잘 알지 못하는 동물을 소개한다. 햇빛을 받을 때마다 여러 빛깔로 반짝여 영어로는 ‘비너스의 허리띠’로 불리는 띠빗해파리, 아기 같은 얼굴을 한 도롱뇽 ... ...
[2020 미래 바이오 전략] 줄기세포 치료제 시장, 한국이 선점 나섰다
2015.03.20
국내 바이오 벤처가 줄기세포 기술로 개발했다. 크론병은 소화기관에 정상적으로
존재
하는 세균에 대한 과도한 면역반응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우리 몸의 조직을 적으로 알고 스스로 공격해 여기저기 염증이 생긴다. 안트로젠은 크론병으로 염증이 생겨 소화기관에 구멍이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 치키노사우루스 복원 가능할까
동아일보
l
2015.03.18
동아일보] 닭과 공룡을 합성한 듯한 모습의 공룡이 실제로
존재
할 수 있을까. 미국 몬태나주립대 고생물학자인 잭 호너 박사팀은 공룡을 닮은 닭 ‘치키노사우루스’를 만들어 공룡을 재현해 보려는 엽기적인 연구를 하고 있다. 호너 박사팀이 공룡을 재현하는 데 닭을 고른 이유는 닭이 현존하는 ... ...
광자 한꺼번에 ‘순간이동’ 성공
2015.03.17
광자들을 순간이동 시킬 수 있었다. 정 교수는 “기존에 알려진 한계를 넘어 양자상태로
존재
하는 많은 광자들을 한꺼번에 순간이동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양자컴퓨터의 확장성을 개선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5cm 크기 10분 만에 인쇄하는 3D프린터 개발
2015.03.17
창을 붙이면 ‘데드존’이 생긴다. 자외선(UV)을 비춰도 잉크가 굳지 않고 액체로
존재
하는 지점이다. - 카본3D 제공 3D프린터의 액체 잉크 용기 아래에 산소를 투과시키는 창을 붙인 뒤 창 아래 자외선(UV)을 쪼이면 잉크가 굳지 않는 얇은 층인 ‘데드존(Dead Zone)’이 생긴다. 데드존 위에서는 ... ...
6억 년 전 해면 동물 화석 발견
2015.03.16
수는 없지만 이들의 선조격으로 볼 수 있다고 저자들은 주장했다. 한편 6억 년 전 해면이
존재
한다는 건 이들과 공통조상으로부터 갈라져 나온 진정후생동물의 선조들도 살았을 거라는 뜻이다. 즉 아직 이들의 화석을 찾지 못했을 뿐이라는 말이다(어쩌면 에디아카라 화석군에서 이미 찾았을지도 ... ...
목성의 달 ‘가니메데’ 밑에 지구보다 더 큰 바다 숨었다
2015.03.16
NASA팀이 이 오로라의 사진을 분석한 결과 소금물이
존재
할 때 나타나는 보조자기장이
존재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가니메데는 목성의 주위를 도는 위성이지만 지구의 절반 정도로 크기가 크다. 이번에 발견한 바다는 수심이 지구보다 10배가량 깊은 97㎞ 정도로, 두꺼운 얼음층(약 153㎞) 아래에 ... ...
암 조기 진단 가능한 광학현미경 개발
2015.03.16
하지만 이 중 생체 조직에서 영상정보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빛(단일 산란파)이 일부
존재
하는데 연구팀이 이를 찾는 방법을 개발해 현미경에 적용한 것이다. 그 결과 기존 광학현미경으로 고해상도 영상을 얻을 수 없었던 깊이 1mm 이상의 조직 속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최 교수는 ... ...
이전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