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185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이처’가 KAIST의 ‘에듀케이션 3.0’ 주목한 까닭
2014.10.19
다양한 연구 결과를 내놨다. 노르웨이 오슬로대 이론천체물리연구소 팀은 그동안
존재
여부에 대해 논란이 많았던 짧은 자기 고리를 찾아냈고,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센터 팀은 코로나 구멍 안에서 초고속 제트기류를 발견했다. 연구팀은 제트기류가 태양풍을 발생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 ...
[이주의 과학신간] 붕어가 물 속에 살듯 우리는 ‘oo’ 속에 산다
2014.10.19
사회문화적 맥락 없이 홀로
존재
하지 않는다는 저자의 평소 철학이 반영됐다. 지구상에
존재
하는 대형 포유류 중에서 인류의 수는 압도적으로 많다. 최상위 포식자의 수가 이렇게 많은 것은 지구 역사 이래 처음이다. 과연 이러한 상황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이며, 앞으로 인류의 운명은 어떻게 되는 ... ...
“화재 경고! 노트북 전지에 화재 경고!”
2014.10.14
0억 분의 1m) 두께의 얇은 나노구리막을 추가했다. 양극과 구리막 사이에는 전압 차이가
존재
하는데, 리튬 가시가 자라서 구리막에 닿으면 전압차가 사라진다. 연구진은 전압차가 0이 되는 순간 신호를 보내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메시지를 띄우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또 구리막과 음극 사이의 ... ...
[2014 노벨 과학상-인연] 존 오키프 교수와 나
2014.10.08
장소에서만 전기신호를 발화해 장소 정보를 처리하도록 특화된 장소세포가 해마에
존재
한다는 사실을 1971년 최초로 발견하여 이후로 해마의 공간 정보 처리 기능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를 해오고 있었다. 그렇기에 장소세포를 연구하며 자연스레 오키프 교수와 그의 연구실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 ...
비틀스의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Across the universe)’는 이런 느낌?
2014.10.07
붙였다. 초신성이 우주의 신비를 보여주듯이 생명체 안에서도 사라짐과 탄생이 늘
존재
함을 표현했다. 의약바이오컨버전스연구단 제공 ◀외로운 발레리나 (김룡·의약바이오컨버전스연구단장상) 마치 발레슈즈를 신은 발레리나가 외롭게 춤을 추고 있는 것 같은 ... ...
[2014 노벨 생리의학상] ‘뇌 속 GPS’ 발견한 뇌 신경과학자들 수상
2014.10.07
태생으로 미국 국적뿐 아니라 영국 시민권도 있는 오키프 교수는 1971년 뇌 속 해마에
존재
하는 장소세포가 현재 위치를 기억할 수 있게 한다는 사실을 처음 알아내 뇌 전문 분야 학술지 ‘뇌 연구(Brain Research)’에 논문을 발표했다. 장소세포는 출근길에 만나는 가로등과 같은 특정 지표를 기억했다가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날씬한 쥐 대변의 미생물 조성과 비슷해지는 것. 예를 들어 날씬한 쥐나 사람에서 많이
존재
하는 것으로 알려진 비피도박테리아나 엔테로코쿠스, 대장균(무해한 균주)의 비율이 늘어났다. 연구자들은 “위와 소장에서 소화되지 않은 사과의 식이섬유와 페놀화합물이 비만으로 변화된 장내미생물 ... ...
[이주의 과학 신간] 노벨상 수상자가 들려주는 예술 이야기 外
2014.10.05
CERN)다. 이곳에는 바벨탑보다 거대한, 지상 최대의 실험장치인 거대강입자가속기(LHC)가
존재
한다. 김동희 경북대 물리학과 교수는 이곳에서 여러 과학자들이 힉스 입자를 발견하기 위해 얼마나 노력하고 치열하게 경쟁했는지, 그 이야기를 한 권의 책에 담았다. 에코리브르 제공 ◆도도한 ... ...
지구 생명체, 외계에서 왔다
2014.10.03
산소가 거의 없다. 산소(O₂) 분자 형태로 있는 것보다 탄소와 결합해 이산화탄소(CO₂)로
존재
하는 게 더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원시 지구에 서식하던 식물이 광합성을 하면서 산소가 나타나게 된 것으로 추정했다. 윌리엄 잭슨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 ... ...
폐렴구균은 여섯 개의 얼굴을 갖고 있다
2014.10.01
폐렴구균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면서 페렴구균 DNA 속에 ‘메틸기’가 어디에
존재
하는지를 면밀하게 관찰했다. 메틸기가 DNA에 달라붙으면서 해당 세포를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그 결과 DNA 속 메틸기가 여섯 가지 패턴으로 나뉘며, 이에 따라 폐렴구균의 상태가 여섯 가지로 바뀐다는 사실을 ... ...
이전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