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185건 검색되었습니다.
허블이 찍은 굴 성운 NGC 1501, 구름이 감싼 모양 “신비로워”
동아닷컴
l
2014.11.13
홈페이지를 통해 허블이 찍은 굴 성운 ‘NGC 1501’을 공개했다. 성운은 별과 별 사이에
존재
하는 가스 덩어리와 티끌의 집합체를 뜻한다. 공개된 사진 속 ‘NGC 1501’은 중앙에 밝게 빛나는 별이 보이고 그 주변을 거품이 일고 있는 구름이 감싸고 있다. 이런 특이한 모습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NGC 150 ... ...
녹조 광합성이 방사능 물질 제거한다
2014.11.12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미세조류와 미생물을 이용해 오염수 및 오염토양 등에
존재
하는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친환경 기술 개발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생물자원공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바이오리소스 테크놀로지’ 11월호에 실렸다. ... ...
세계 최고 입자물리연구소, 여성이 접수
2014.11.05
불리는 힉스 발견 결과를 직접 발표했다. CERN의 힉스 발견 덕분에 50여년 전 힉스의
존재
를 이론적으로 예측한 영국의 피터 힉스 교수와 벨기에의 프랑수아 앙글레르 교수는 2013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지아노티 박사는 ‘타임’이 선정한 2012년 올해의 인물로 선정되기도 했다. 한편 ... ...
위를 줄인다고 비만이 해결될 수 있을까?
2014.11.03
수용체가 활성화돼 일련의 생리반응이 일어난다는 것. FXR은 간과 지방조직, 소장 등에
존재
하는데 작용이 활발해지면 지방흡수율이 떨어지고 혈당 조절도 개선된다. 아울러 장내미생물의 조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학술지 ‘사이언스’에는 생리 메커니즘을 규명해 수술을 ... ...
사랑도 알고리즘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2014.11.02
너머에 있는 행성에까지 탐사 위성을 보내 그곳의 대기와 지질을 분석해 물과 얼음의
존재
를 추적하고 있는 것이다. 오토마톤의 비밀을 풀기 위한 노력은 이처럼 여러 방면에서 계속되고 있다. 특히 학제 간 연구 과정에서 과학적인 주제를 인문학자들이 어떻게 풀어내고 있으며 인문학적인 ... ...
“진리와 지식을 갈구하는 진정한 과학자라면…”
2014.11.02
감염된 자라면, 감상자는 전염된 숙주로서 예술작품의 생명을 보존하고 유지시키는
존재
라고 볼 수도 있지 않을까요?” 김 교수는 여기에 이어 미생물학이 ‘누군가를, 혹은 무엇인가를 보고 싶어 하는 사람의 욕망’에서 시작됐다고 설명한다. 김 교수는 “그리스신화에도 이 욕망은 잘 표현돼 ... ...
간·신장 훼손 안 시키는 면역억제제 후보물질 개발
2014.10.29
환자는 낮아진 면역력 때문에 병원균 감염에 취약해질 수 있다. 연구팀은 면역세포에만
존재
하는 단백질인 ‘오라이 칼슘채널(Orai Ca Channel)’을 차단해 세포내 칼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화합물 ‘AnCoA4’를 개발했다. 이 화합물은 면역세포의 칼슘통로(채널)를 막아 면역세포의 활동을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못하는 생체물질을 합성해 공급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숙주와 파이를 나눠먹는
존재
다. 즉 우리가 섭취한 영양분의 6% 정도는 장내미생물의 몫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저용량 항생제 복용으로 장내미생물 숫자를 억제할 경우 그 에너지가 숙주의 성장에 쓰인다는 것. 또 장내미생물은 숙주의 ... ...
대한민국 여성 세종기지 월동연구원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21
인식이 아직도 사회에 많은 것 같아요. 생물학적인 다름에는 장점과 단점이
존재
하지만, 그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노력하면 어느 순간 동등한 대우를 받는다는 것을 느꼈답니다. 본인의 단점을 극복하려는 여성들이 늘어날수록 과학계에선 없어선 안 되는 인물이라는 인식을 넓혀갈 수 있을 거라 ... ...
“반도체를 뇌에 꽂자는 아이디어 덕에 노벨상까지 받았네요”
2014.10.21
결과라며 논란이 일었다. 이후 장소세포뿐만 아니라 위치와 방향을 인식하는 격자세포의
존재
까지 밝혀지면서 오키프 교수의 연구는 빛을 발할 수 있었다. 그는 “지금도 시간이 나면 오후 6시 이후에도 연구실에 간다”며 “노벨상을 수상하면서 가장 좋았던 점도 (정년 걱정 없이) 하고 싶은 ... ...
이전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