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18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공간에서 유기분자 찾아냈다
2014.09.29
- ESO 제공 최근 운석에 묻어 있는 아미노산 같은 복잡한 유기분자가 실제로 우주 공간에
존재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코넬대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쾰른대 공동연구팀은 성간물질(ISM)에서 유기분자를 발견했다고 과학저널 ‘사이언스’ 26일자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칠레 북부의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미래 모습이 궁금하면 과천 가 보세요
2014.09.28
‘아이작 아시모프’의 소설 속에 등장하는 로봇은 이미 산업에서는 빼 놓을 수 없는
존재
가 돼 있다. 게다가 그가 1942년에 내 놓은 로봇공학의 3원칙 역시 현실에서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립과천과학관 제공 미래가 궁금하면 SF소설을 보는 것이 한 가지 방법. 아니면 미래를 적극적으로 ... ...
톰슨로이터, 노벨과학상 수상후보 한국 과학자 첫 지목
2014.09.26
석좌초빙교수로도 재직 중이다. 그는 2004년 사람에 따라 DNA 조각이 일부 없거나 몇 개 더
존재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단위반복변이(CNV)’라고 이름 붙였다. 2007년에는 탄수화물을 소화하는 데 필요한 효소인 ‘아밀레이스’를 만드는 유전자(AMY1)의 개수가 사람마다 다르다는 사실을 ... ...
국내 연구진, 남태평양 바다에서 신종 미생물 2종 찾아냈다
2014.09.25
25일 밝혔다. 생물분류학 데이터들을 살펴본 결과 이번에 발견된 두 미생물은 지금까지
존재
하는 미생물 ‘속(Genus)’ 중에서는 어느 것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속(Genus)이란 생물분류학에서 생물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종(Species)'보다 더 넓은 개념이다. 연구진은 두 미생물에 ‘오츠로버가 ... ...
헉! 500nm 작디 작은 나노입자도 먹이사슬 타고 전달
2014.09.24
체내에 농축되는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종류에 따라 누적이 심각한 나노입자도
존재
할 수 있다”며 “오늘날 나노입자의 활용이 늘어나는 만큼 생태계로의 유입을 방심해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성과는 독성학 분야 국제학술지 ‘나노톡시콜로지(Nanotoxicology)’ 온라인판 8월 1 ... ...
슈퍼박테리아 만드는 ‘카멜레온 유전자’ 찾았다
2014.09.23
민첩하게 적응해 생존할 수 있다”며 “이런 메커니즘은 세균뿐 아니라 인간 유전체에도
존재
하는 만큼 향후 중요한 연구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나 그렇게 만만한 대장균 아니야”
2014.09.21
구슬로 얽혀 있는 실이 바로 박테리오파지의 DNA다. 하지만 대장균은 그리 호락호락한
존재
는 아니다. 박테리오파지가 자기 몸속에서 DNA를 증식하지 못하도록 박테리오파지의 DNA를 인지하고 모조리 잘라내기 시작한다. 이때 박테리오파지의 DNA를 찾아 없애는 역할은 ‘캐스케이드(Cascade)’ ... ...
짝 찾아 400km 헤엄쳐 이동하는 ‘니모’
2014.09.17
추적했다. 해당 지역의 해류를 분석한 결과,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해류가
존재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어린 흰동가리들이 이 해류를 타고 쉽게 이동할 수 있었던 셈이다. 또 북쪽에서 이동해 온 어린 개체들은 남쪽 지역 군집에 어울려 살면서 남쪽 개체들과 교배해 후손을 낳는 것으로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기자회견자리에서 “이 프로젝트는 고(故) 사사이 요시키 박사의 연구가 없었다면
존재
할 수 없었다”며 고인에게 감사를 표했다. 2011년 12월 1일자 ‘네이처’에는 배아줄기세포로 초보적인 형태의 뇌하수체를 만드는데 성공했다는 연구결과를 실었다. 각종 호르몬을 만드는 뇌하수체는 동물의 ... ...
"공기 전염 에볼라는 당분간 불가능"
과학동아
l
2014.09.15
등에 대해 진지하게 질문했다. 성 교수는 “한국에는 이번에 문제가 된 과일박쥐는
존재
하지 않는다”며 “애완용 수입 과일박쥐가 일부 들어와 있지만, 에볼라와는 관계가 없으니 안심해도 좋다”고 말했다. 백신에 대해서는 “아직 임상 실험에도 돌입하지 못한 상태”라며 “대량생산까지는 몇 ... ...
이전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