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353건 검색되었습니다.
네팔, 인도판-유라시아판 충돌 지점… 학자 50명 1주일전 현지서 대책회의
동아일보
l
2015.04.27
발생 빈도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미뤄 한반도에도 지진에 취약한 활성단층이
존재
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주성하 zsh75@donga.com·이종석 기자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즐겨입는 20대女 ‘이것’ ... ...
크림생맥주, 정말 맛있기는 한 거니?
과학동아
l
2015.04.25
판매까지 모든 과정을 책임지는 맥주 전문가다. 와인으로 치면 소믈리에 같은
존재
다. *크림생맥주 정확한 정의는 없지만, 이 기사에서는 조밀하고 부드러운 거품이 있는 맥주를 의미한다. ● 거품의 유지력은 맥아와 홉으로부터 “거품의 실체는 맥주 안의 탄산기체예요. 기네스나 킬케니 같은 ... ...
DDT, 그 영욕(榮辱)의 역사
2015.04.20
것. 염소계탄화수소인 DDT(정식 이름은 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로에탄)은 천연에는
존재
하지 않는 분자다. 곤충의 이온 채널을 교란해 신경계를 망가뜨려 강력한 살충효과를 지니지만 척추동물에는 독성이 적고 특히 사람에게는 더 그렇다. 살충제로는 바람직한 특성이다. 반면 생분해가 잘 안 돼 ... ...
현존하는 세상에서 가장 큰 동물들을 소개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04.16
그렇다면 지금은 멸종했지만 지구 역사상 가장 큰 조류는 무엇일까요? 2500만년 전에
존재
했던 ‘펠라고니스 샌더시’로 추정됩니다. 펠라고니스 샌더시는 날개 길이가 최대 7.3m로 갈매기와 흡사한 모습이었다고 하네요. ◇ [양서류] 쥐라기시대 거대 도롱뇽의 후손 ‘중국장수도롱뇽’ wikipedia ... ...
‘로제타’가 착륙한 ‘추리’에 자기장은 없었다
2015.04.14
미약하나마 자기장을 갖고 있었던 만큼 이들이 뭉쳐져 만들어진 혜성에도 자기장이
존재
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혜성의 자기장이 정확하게 측정된 적은 없었다. 보통 자기장 관측은 탐사선이 천체 주변을 지나가는 동안 이루어지는데 혜성은 워낙 크기가 작은데다 자기장을 ... ...
화성에 얼음 말고 소금물도 있다
2015.04.14
퇴적암처럼 보이는 암석들이 눈에 띈다. - NASA 제공 화성 표면 밑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
할 가능성이 발견됐다. 사비에르 마르틴-토레스 스웨덴 룰리아대 우주기술학과 교수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로봇 ‘큐리오시티’가 보내온 자료를 분석한 결과 물의 어는점을 낮추는 ... ...
원소기호 103번 ‘로렌슘’을 아시나요
2015.04.12
원자력 발전과 관련된 원자번호 90번 ‘토륨’과 92번 ‘우라늄’으로 이들은 자연에
존재
한다. 하지만 103번 로렌슘의 경우 중이온가속기에서 원자 단위로 합성할 수 있어 로렌슘의 특징을 분석한 연구 결과는 매우 드물다. 이번 주 ‘네이처’에는 이 로렌슘의 이온화 가능성을 최초로 측정한 ... ...
‘신의 입자’ 찾은 가속기 ‘시즌2’ 시작
2015.04.10
순간 동안
존재
했다가 4개의 뮤온 입자로 붕괴되기 때문에 뮤온 입자를 검출하면 힉스의
존재
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최수용 한국-CMS 단장(고려대 물리학과 교수)은 “뮤온 입자 검출기의 성능을 향상시킨 뒤 장착을 끝냈다”면서 “앞으로 LHC가 암흑물질과 반물질 등을 찾아내는 데 기여할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물리화학적 환경이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 피브로인은 명주샘 안에서 용액상태로
존재
하는데 거미줄로 만들어지는 통로에 따라 수소이온지수가 중성(pH7.6)에서 약산성(pH5.7)으로 떨어지고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높아진다. 이 과정에서 피브로인이 가지런히 배열하면서 강력한 섬유가 ... ...
서울~대전 쉬지 않고 달릴 수 있는 배터리 나온다
2015.04.06
2차원 구조의 나노시트를 얻어냈다. 그리고 이를 벽돌처럼 한 장씩 쌓아올려 빈 공간이
존재
하는 3차원 구조의 전극을 만들었다. 이렇게 만든 전극은 전하를 잡아둘 표면적이 늘어나 높은 에너지밀도를 보였다. 슈퍼커패시터용 전극으로 각광받고 있는 그래핀 전극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또 ... ...
이전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