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185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이 마신 물-와인에도 방사능… 과도한 공포심 버려야”
2014.09.11
매우 발전했다. 핵폐기물에 대한 심리적인 두려움 때문에 어떤 수준이든 방사능의
존재
자체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게 문제다. 핵폐기물 문제는 과학의 영역이 아니라 정치의 영역이 됐다. 대통령이라면 원자력발전에 대한 대중의 잘못된 인식이나 두려움을 불식해야 한다.” ―태양전지도 ... ...
Happy Birthday, 보이저 1호!
2014.09.05
“보이저 1호가 가설로만
존재
하는 소행성의 고향 ‘오르트 구름(Oort Cloud)’의
존재
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쌍둥이 탐사선 ‘보이저 2호’는 1호보다 16일 먼저 지구를 떠났지만 1호와는 다른 경로를 택했다. 목성과 토성까지는 비슷한 경로로 날아갔지만 그 뒤 보이저 1호는 태양계 ... ...
북극 얼음 좀 녹았을 뿐인데…
2014.09.03
해양 사이에 온도 차이가 커져 대기 중으로 열이 발생한다. 이 열은 중위도 상층에
존재
하는 행성파(planatary wave)를 활성화 한다. 그 결과 성층권의 온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성층권의 기압에 변화가 생기면서 여기 있던 북극 소용돌이의 속도가 줄어든다. 북극 소용돌이가 약해지면 이 안에 갇혀 ... ...
해남 메뚜기들은 왜 떼를 이루었을까
2014.09.01
떼를 ‘해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세로토닌은 대부분의 동물에 보편적으로
존재
하는 신경전달물질이기 때문에 설사 효과가 있다고 해도 함부로 쓰기는 어렵다. 그렇다고 무작정 살충제를 뿌려대는 것도 최선의 방제대책은 아닐 것이다. ○생물적 방제 가능성 있어 학술지 ... ...
악명 높은 ‘프랑켄 푸드’가 식량난 해결할까
2014.08.31
재출간됐다. 사실 ‘파동’으로 대표되는 양자역학은 우리와 멀리 동떨어진
존재
가 아니다. 잠을 깨우는 알람소리가 바로 파동이다. 아침에 눈을 떠 ‘앞을 보는’ 극히 평범한 행위는 양자역학에서 ‘측정’이라는 아주 복잡하고 오묘한 현상과 관계가 있다. 책은 아침에서 시작해 취침에 ... ...
이공계 출신 재계 리더들이 10년째 초등학교에…
2014.08.28
정 회장은 “윤 전 회장의 의지와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주니어 공학기술교실은
존재
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미래의 기술자 꿈나무를 키우는 것뿐 아니라 소외계층을 직접 찾아가는 활동도 소홀히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2009년부터 5년째 자원봉사 교사로 활동 중인 문경찬 씨(4 ... ...
청동기 시대 와인에서 꿀맛이?
2014.08.28
시대 사람들이 마셨던 포도주 성분을 분석해 꿀맛, 민트맛, 시나몬맛 등 다양한 맛이
존재
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앤드루 고 교수가 이스라엘 카브 지역의 왕궁 터에서 발견한 포도주 항아리들이다. - 앤드루 고 교수 제공 레이저 레이더로 분석한 포도주 항아리의 모습. - 앤드루 고 ... ...
땅콩 알레르기 막는 ‘착한’ 장내 미생물은?
2014.08.26
확연한 차이점을 얻을 수 있었다. 정상 쥐에서는 클로스트리디아(Clostridia) 속의 세균이
존재
했지만,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쥐에서는 이들 세균이 나오지 않은 것이다. 연구팀이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쥐에게 클로스트리디아 속 세균을 먹이고 장에 안착시키자 땅콩을 먹어도 알레르기 반응이 ... ...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엄마 탓?
2014.08.25
‘사이언스’에 실렸다. 결국 ‘세대를 이어가는 후성유전학적 유전’는 동식물에 걸쳐
존재
하는 현상이라는 말이다. 20세기 중반 무분별하게 사용된 DDT 같은 화학물질은 5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후손들의 DNA에 흔적을 남겨 현대인들의 각종 대사질환과 불임의 만연에 한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 ... ...
전자기판 투성이 태양전지에 엽록소가 쏘옥~
2014.08.25
엽록소를 이용해 햇빛을 전기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 식물의 엽록소는 지구상에 무한히
존재
하는 만큼 저렴한 가격으로 친환경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해 질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프론티어사업단인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 미래소재연구단’ 김광호 단장팀은 강정구 KAIST 신소재공학과 ... ...
이전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