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3,369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예기자, 물의 행성을 탐험하라 !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6
정말 작은 행성인 것 같아.맞아~. 지구의 바다를 한 곳에 담아 놓은 것 같아. 그리고 보니
표면
의 70%가 바다로 덮인 지구가 바로 물의 행성이구나! 이번 ‘어린이과학동아’ 취재 임무는 물의 행성 지구의 바닷속을 탐험하는 거였어.맞아, 언니~. 우리 기사를 읽고 많은 친구들이 아쿠아리움에서 ... ...
웬록과 맨드빌의 과학으로 따는 금메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5
선수의 잠영이번 올림픽에서는 박태환 선수의 잠영을 유심히 관찰해 보세요. 물 속은
표면
보다 저항이 작기 때문에 잠영 거리가 길면 그만큼 유리하답니다. 그래서 세계적인 선수들은 잠영 거리가 길어요. 박태환 선수는 원래 잠영으로 헤엄치는 거리가 8m 안팎이었지만, 특별 훈련을 해서 그 거리를 ... ...
우산 vs 양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4
연잎에 떨어진 빗방울은 곧 동그랗게 뭉쳐져 연잎을 타고 굴러 떨어진답니다. 연잎
표면
이 물방울을 밀어내는 작은 돌기로 덮여 있기 때문이에요. 이 연잎을 흉내 내면 여러 방수제품을 만들 수 있지요. 최근에는 포스텍 화학공학과의 용기중 교수가 연잎을 모방해 물속에서도 작동하는 ‘방수 ... ...
Part 1 . 2013년, 태양은 과연?
과학동아
l
201212
끼칠 수 있느냐고 묻자 이 연구원은 “이런 화염은 거의 태양의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표면
으로 다시 떨어진다”고 설명했다.플레어에 신경을 쓰는 이유는 흔히 코로나 질량 방출(Coronal Mass Ejection)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CME는 태양 주위에 희미하게 빛나는 부분인 코로나의 물질이 태양 밖으로 ... ...
화학자가 본 플루오린화 수소 유출 사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212
것도 당연하다. 세포막 때문에 다시 기체 상태로 배출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표면
에 달라붙은 플루오린화 수소는 해가 뜨고 나면 곧바로 기화해서 공기 중으로 확산되었을 것이 분명하다. 그렇다고 가축을 모두 죽이고, 나무를 모두 베어내는 것을 합리적인 대책이라고 할 수 없다 ... ...
최고의 요리에 도전하라! 매스 셰프
수학동아
l
201212
있는 수조에 넣고 정확한 시간 동안 조리하는 방법이다. 이 때문에 조리하는 동안 재료의
표면
온도가 물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석쇠에 구울 때처럼 육즙이 증발해 버리지 않기 때문에, 고기 맛을 한층 더 좋게 만든다.하지만 수비드 조리법은 불과 몇 분 차이로도 음식 맛이 ... ...
Part 3. 태양의 눈부신 비밀
과학동아
l
201212
관측 위성으로는 2017년 발사 예정인 유럽의 솔라 오비터(Solar Orbiter)가 있다. 역사상 태양
표면
에 가장 가까이 근접할 계획으로 지금까지 자세히 볼 수 없었던 태양의 극지방을 관측할 계획이다. 또한, 일본은 히노데의 뒤를 이어 2015년 발사 예정으로 솔라-C를 개발하고 있다. 이들은 태양의 더 많은 ... ...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 여행
과학동아
l
201212
자극도 중요하지만 호르몬의 작용도 매우 중요하다. 산성 음식물이 십이지장을 자극하면
표면
에 있는 내분비세포가 산성과 지방성 음식물에 반응해 세크레틴과 콜레사이스토키닌이라는 호르몬을 분비한다. 세크레틴은 이자를 자극해 소화액을 분비하게 한다. 콜레사이스토키닌은 담낭(쓸개)을 ... ...
Part 2 . 새끼흑점의 서바이벌
과학동아
l
201212
않았지만 새끼흑점은 흑점폭발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새끼흑점이 태양
표면
의 자기시스템을 불안정하게 만들어 CME나 플레어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기존 흑점 주변에 자기적으로 반대인 새끼흑점이 새로 나타나면 자기재결합으로 폭발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새끼흑점이 마치 ... ...
내 머릿속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1212
전기 신호를 컴퓨터로 전달하면 이론적으로 모든 뇌 활동을 읽어낼 수 있다. 하지만, 뇌
표면
은 주름이 많이 잡혀 있어 각 신경세포마다 바늘을 꽂는 건 현재 기술로 어렵다”고 밝힌 적이 있다. 필자가 원고 마감을 한 직후인 2011년 12월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의 존 로저스 교수팀은 얇고 잘 휘어져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