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3,36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도 생명체 생길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210
뜨거운 가스에는 있지만 얼음 입자에는 없는 원인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PAH가 얼음
표면
에 붙으면 다른 복잡한 유기물로 바뀌기 때문이다.구디파티 박사는 “우주 공간에서 생긴 이런 유기분자가 혜성이나 소행성을 타고 지구에 왔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천체물리학’ 9월 ... ...
마지막 관문, 토의·토론 통과하기
과학동아
l
201210
중 상당수는 우주 개발을 통해 얻은 기술이 민간으로 전파된 것이다. 프라이팬이나 옷의
표면
을 코팅하는 테플론이나 고어-텍스와 같은 물질은 우주 개발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개발된 것이다. 휴대전화로 외국에 있는 친구와 통화를 할 수 있는 것도, 외국에서 벌어지는 올림픽 경기를 실시간으로 ... ...
다 쓴 핵연료 골라서 다시 쓰자
과학동아
l
201210
개발해야 한다. 소듐냉각고속로용으로는 이런 장치가 이미 개발돼 있다. 납은 소듐보다
표면
장력이 약해서 센서에 접촉이 잘 안 돼 음파가 더 강해야 한다.땅에 묻고 후손에게 전달벨기에 원자력 연구센터에는 사용후 핵연료 처리를 위한 연구시설이 또 있다. 바로 실험용 지하저장고인 ‘하데스 ... ...
Welcome to 사이언스토이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9
과 콜라의 탄산염이 반응하면 순식간에 이산화탄소 거품이 많이 생기거든요. 멘토스
표면
에 있는 수많은 미세 구멍도 거품이 많이 생기도록 도와 주지요. 이렇게 콜라 속에 이산화탄소 거품이 많이 생기면 콜라병 속 압력이 높아져요. 그래서 콜라가 병의 좁은 주둥이 밖으로 ‘뻥~’하고 뿜어져 ... ...
태양은 완벽에 가까운 ‘구’
수학동아
l
201209
28일 주기로 자전한다. 태양의
표면
은 단단하지 않아서 자전하면서 원심력 때문에 약간 평평해진다. 세계 각국의 연구팀은 태양의 자전으로 평평해지는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지난 50년 동안 각종 기구를 이용해 태양의 크기를 측정해 왔다.그런데 최근, 태양이 완벽한 구에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다. ... ...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09
종이에 옮겨지는 잉크 필름의 두께는 5μm라고 했다(이 밖에 종이의 거친 정도와 잉크의
표면
장력, 점도 값도 필요하다). 1초에 5mm 속도로 펜을 움직일 때 수식에 대입하면 선의 두께가 0.82mm가 나온다. 실제 만년필로 선을 그렸을 때 측정한 두께는 0.7mm로 이론값과 꽤 가깝다.한편 펜촉을 종이에 대고 ... ...
호흡을 이용한 전통과학
과학동아
l
201209
차원에서 보면 친환경적이지 않고 생명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다. 플라스틱의
표면
을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물결 모양의 치밀한 조직이 있다. 통기가 가능한 틈이 거의 없다. 그러나 전통옹기는 이들과 달리 원형조직이다. 이 원형조직은 용기의 안과 밖 기체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숨구멍 역할을 ... ...
PART 3. 전기차보다 하이브리드
과학동아
l
201209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채택했다.그렇다면 프리우스의 연비가 가장 나은 이유는 뭘까.
표면
적으로는 1997년 일반에 판매된 세계 최초의 복합형 하이브리드 자동차일 정도로 오랜 연구 노하우가 축적됐기 때문이지만 과감하게 직렬과 병렬 하이브리드를 결합시킨 의도가 적중했다. 프리우스는 단순히 ... ...
태양은 가장 완벽한 원
과학동아
l
201209
받으리라는 게 기존의 이론이었다.이 새로운 결과는 태양
표면
의 변화보다 보이지 않는
표면
아래의 힘이 생각보다 훨씬 더 강하다는 뜻이다. 연구팀을 이끈 제프 쿤 하와이대 천문학과 교수는 “오랫동안 알고 있던 것과 달리 태양은 11년의 흑점 주기를 거치면서도 모양이 변하지 않는다”라고 ... ...
과학적인 지도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09
간격으로 평행하게 나타난 지도에는 항정선이 직선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실제 지구
표면
에서는 경선이 극점으로 갈수록 가까워지다가 한점에 모이기 때문이다. 극점에 가까워질수록 경선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는데, 지도를 만들 때 일정한 간격이 되도록 경선 사이를 좌우로 늘려 놓으면 항정선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