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산 기술로 얼음 바다 가르다
과학동아
l
200601
주변에서 천연자원이 활발히 개발됨에 따라 다수의 쇄빙선을 건조해 운영하고 있다.
미국
은 2차대전 때 건조된 쇄빙선 4척을 시작으로 ‘폴라스타’(Polar star), ‘폴라씨’(Polar sea) 같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출력을 가진 쇄빙선을 보유하고 있다.상업적 목적뿐 아니라 극지방의 연구, 탐사 활동을 ... ...
과학 대중화에 뛰어든 블랙홀 박사
과학동아
l
200601
한국 천문학의 능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킬 방안을 털어놓았다.박 원장은 “일본이나
미국
처럼 대형 망원경을 해외에 건설하는 게 간절한 소원”이라며 “그러면 우리 천문학이 우물 안 개구리 수준을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별을 따던 소년이 별 박사가 된 후 또 다른 꿈을 꾸고 있는 ... ...
과학자와 예술가의 유쾌한 음모
과학동아
l
200601
당시 양 작가는 비행로봇을 보고 1937년에 있었던 힌덴부르크 비행선의 참사사건과
미국
의 9·11테러에 연결시키는 작가적 상상력을 드러냈다. 양 작가는 비행선에 감시카메라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주제의식을 담았다. 때마침 비행로봇의 활용방안을 고민하던 강성철 박사는 새로운 연구 ... ...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1
마침내 북극으로 가는 항로를 찾아내서 후대의 탐험가들에게 길을 열어 주었지요. 1909년
미국
의 탐험가 피어리가 북극점을 정복하자 방향을 돌려 남극으로 향한 아문센. 결국 그는 개썰매를 타고 남극점을 밟는 데 성공했고, 영국의 스콧과 벌인 남극점을 향한 경쟁은 전설로 남을만큼 ... ...
생명을 살리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01
세균을 없애는 방법에 대한 최근 연구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이 책에 따르면 2002년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살모넬라균의 일종인 쥐티푸스균을 치사량이 넘게 생쥐에 감염시킨 다음 P22라는 박테리오파지를 넣어줬다. 그 결과 박테리오파지를 투여한 생쥐는 살아남았지만 ... ...
120억년 전 별빛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01
바람에 놀랐다. 사정을 알아보니 이 교수팀에서 파견한 연구원 4명 덕분이었다.이들이
미국
에서 우수한 연구 결과를 낸 데다 위성 궤도 운영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10개를 1년 만에 모두 개발하며 눈부신 활약을 펼친 것이었다. 이 교수를 만난 NASA 책임자는 “개발비에 신경 쓰지 않아도 좋다”고 180도 ... ...
로봇이 군부대를 구하다
과학동아
l
200601
강력한 방사능 물질이 있다. 사람이 옆에 있다면 보호복을 입어도 30초 후에 죽을 정도다. 만일 이 물질이 실수로 노출됐다면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실 ... 물질을 컨테이너 안에 넣는데 성공했다.이 소식을 보도한 네이처 인터넷 뉴스는 “로봇 영웅이
미국
정부를 구했다”라고 논평했다 ... ...
현실이 된 '투모로우'의 재앙
과학동아
l
200601
서유럽으로 흘러가는 난류의 양이 1950년대와 비교해 30%나 줄어들었다.브라이든 박사는 “
미국
과학자들이 조사해 아직 분석하지 않은 데이터를 분석하자 비슷한 패턴이 나왔다”며 “난류가 줄어든 현상은 2004년 한번 뿐만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의 스튜어트 커닝햄 박사는 “이런 변화는 ... ...
2005년 과학계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0601
08_심해지는 기후변화기후변화의 유력한 증거들이 잇따라 나오면서 이를 무시해 온
미국
정치인들마저 관심을 갖게 됐다. 심해수의 온난화, 허리케인의 증가, 극지 빙하의 감소, 철새의 이동경로 변화 등 기후변화는 점점 더 인류의 심각한 재앙이 되고 있다.09_세포의 신호 전달 규명세포가 주변 ... ...
향수를 좋아한 낭만 고릴라
과학동아
l
200601
그릴 정도다.야생 상태에서 고릴라가 도구를 사용하는 모습도 2005년 처음 공개됐다.
미국
야생보호협회 토머스 브로이어 박사팀은 아프리카 콩고의 한 국립공원에서 야생 고릴라 두 마리가 기다란 나무막대기를 이용해 물 길이를 재는 장면을 촬영해 ‘생물학 공중도서관’에 발표했다. ... ...
이전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