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판도라 별서 나온 '우주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0603
워싱턴에서 열린
미국
천문학회 207차 모임에서는 ‘우주 토네이도’ 사진이 공개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적외선우주망원경 ‘스피처’가 찍은 이 사진의 주인공은 소용돌이치며 나선형으로 감아 올라가는 모습이 영락없는 토네이도다.‘우주 토네이도’는 남반구 하늘에서만 보이는 별자리인 ... ...
24년 터울 커플, 허긴스와 마거릿
과학동아
l
200603
계획이 세워졌고, 많은 천문학자들이 대낮에 코로나 사진을 찍으려고 시도했다.1885년
미국
의 천문학자 피커링이 부분일식 중에 코로나를 찍으려고 노력을 기울였으나 실패하고 말았다. 그는 태양 주변에 있는 지구 대기 산란광이 코로나보다 무려 300배나 밝아서 코로나를 찍는다는 것이 ... ...
개가 가축이 된 날
과학동아
l
200603
유전적으로 늑대, 여우 등과 갈라진 시기를 1만5000~ 4만년 사이로 추정하고 있다.그러나
미국
캔사스대 고고학자 다시 모레이 교수는 훨씬 늦게 개의 가축화가 진행됐다고 ‘고고과학회지’ 2월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개가 가축이 된 근거를 매장 풍습에서 찾았다. 연구팀은 세계 50여개 지역에서 ... ...
올림픽 하늘에 뿌리는 눈
과학동아
l
200603
수는 적다분포에 중심집중이 두드러진 은하단의 대표적인 예이다1958년 10월 2일에 발족한
미국
최초의 유인위성 발사계획 항공우주국(NASA)의 탄생과 함께 착수되었다직접적인 계획의 목적은 소련의 우주비행을 앞지르려는 것이었으나, 실제로 소련을 앞지르게 된 것은 다음 단계인 제미니 계획 ... ...
2. 거대로봇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03
거대로봇이 출현할 날이 오리라고 기대해 본다. 지금까지 등장한 가장 큰 로봇은 1985년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의 맥기 교수가 개발한 ASV라는 로봇이었다. 6개의 발이 달려 있었으며 무게는 3t, 사람이 직접 타고 조종했다. 당초 군사 목적으로 개발했으나 너무 크고 움직임이 느려 실용화엔 실패했다 ... ...
웃음의 프리즘
과학동아
l
200603
헐떡일 때 단일음 ‘하’를 한번 밖에 내지 못하지만 인간은 ‘하-하-하’하고 웃는다.
미국
볼티모어대의 신경과학자 프로바인 박사는 “침팬지가 헐떡이며 내는 소리는 인류가 웃게 된 선행단계”라고 주장해왔다. 저바이스 교수팀은 더 나아가 유인원의 헐떡임을 약 700만 년 전에 발생한 것으로 ... ...
기획5. 깊은 바닷속은 잔잔하다?
과학동아
l
200603
년전
미국
에서 트라이던트라는 잠수함이 침몰한 적이 있었다. 해군을 비롯한 전문가들이 나섰지만 원인은 끝내 수수께끼로 남았다. 지금 과학자들은 당시의 침몰 원인을 ‘파도’라고 추측하고 있다. 파도라고 하면 보통 해안가에서 보이는 수면 위의 파도가 떠오른다. 그런데 사실 깊은 바다 ... ...
도둑, 고주파에 딱 걸렸어!
과학동아
l
200603
많은 부피를 차지하고 있다. 홍 교수팀은 ‘원형편파레이더시스템’을 개발해 국내와
미국
에 특허를 출원한 상태다. 이 시스템은 송수신 안테나를 하나로 만들어 기존 안테나에 비해 부피를 반으로 줄였다.안테나 하나로 송수신이 가능한 기술은 이미 개발됐지만 전력효율이 낮은 것이 문제였다. ... ...
병술년 개띠해, 로봇 강아지를 키워보자
과학동아
l
200603
개띠해를 맞아 애완견에 대한 관심이 높다. 살아있는 강아지보다 귀여움과 자유분방함은 덜할지라도 애교가 넘치는 로봇 애완견 ‘로보펫’을 키워보는 것은 어떨까. 활 ... NASA) 출신의 과학자 마크 틸덴이 로봇 제작에 참여하고 있는 로봇완구업체로 유럽과
미국
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 ...
다이어트 호르몬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0602
있다. 그러나 렙틴이 어떤 방법으로 식욕을 억제하는지는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다.
미국
알버트 아인슈타인 의대의 조영환 박사는 이 호르몬이 뇌의 시상 하부에서 식욕을 촉진하는 물질의 합성을 억제해 식욕을 줄인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연구는 과학학술지 ‘뉴런’ 12월호에 실렸다.뇌의 ... ...
이전
584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다음
공지사항